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ocial Value of Living Culture as the Foundation of Local Culture : Focusing on the Case of 'Gosaek Nongak Conservation Association' in Suwon

지역문화 근간으로서 생활문화의 사회적 가치 연구 : 수원 고색전통농악보존회 사례를 중심으로

  • 정지은 (수원문화재단 문화국 공연부) ;
  • 장웅조 (홍익대학교 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 Received : 2020.08.31
  • Accepted : 2020.09.26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Living culture emphasizes cultural activities in daily life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nd aims to integrate art with daily life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In this process, the values that individuals and society should have, are evoked and restor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xt and processes in which the values of the living culture are expressed as local culture, we analyzed the case of 'Gosaek Nongak(community band music, dance and rituals in Korea) conservation association' in Suwon area and tried to diagnose how art and daily life are integrated and restoring community life in the actual field. For this purpose,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categorize the social impacts of living culture activities and public support due to individual, community, and local influences. We found that public support for living culture led to increased artistic development and human interaction in the community, and that individuals who are thus empowered to seek artistic experience and actively interact with other people, emerge as vital subjects and practitioners of culture and arts in their local community.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activities of living culture facilitated the formation of local identity for members and local residents. Through living culture activities, members and local residents became more aware of being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found value and meaning in participating in daily life and cultural activities.

생활에 밀착한 일상 속 문화 활동을 강조하는 생활문화는 예술과 일상의 통합과 타자와 소통하는 공동체적 삶을 지향하고 이 과정에서 개인과 사회가 가져야할 가치들을 환기시키고 회복한다. 본 연구는 이렇게 지역문화로서 생활문화의 가치가 발현되는 개별적이고 복잡한 맥락과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수원 지역의 '고색전통농악보존회' 생활문화 활동 사례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예술과 일상이 어떻게 통합되며 공동체적 삶을 회복시키고 있는지 진단한다. 문헌자료와 참여관찰, 인터뷰를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개인, 공동체, 지역영향으로 생활문화 활동과 공적지원의 사회적 영향을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생활문화 공적 지원으로 늘어난 활동경험은 공동체의 예술적 발전과 인적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고 더불어 개인은 예술적 본성을 찾고 지역사회에 영향을 주는 문화예술의 주체이자 실천가로 거듭나고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도 함께 참여하는 생활문화 활동의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지역사회 일원으로서의 정체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화(2015), 담론으로 본 지역문화정책의 의미, 지역과 문화 2(2), 87-111
  2. 강윤주 외(2017), 생활예술, 파주: 살림.
  3. 김기봉(2016), 생활문화와 생활예술의 개념 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4. 김세훈 외(2008), 공공성, 파주: 미메시스
  5. 김응천, 김재범(2014), 예술공론장 개념을 통한 예술의 공공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예술경영연구 29: 5-28.
  6. 김인설(2012), 사회자본이론을 통해서 본 예술의 사회적 영향, 문화예술경영학 연구 5(2): 3-19.
  7. 박신의(2013),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분석과 정책적 함의, 문화정책논총 27(1): 57-75. https://doi.org/10.16937/JCP.27.1.201301.57
  8. 박환영, 이란섭(2017), 현대 도시 공간 속 세시의 전승과 변이양상, 한국사상과 문화 90(90): 405-430.
  9. 배영동(2015), 전통적 마을민속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 비교민속학 0(58): 97-136.
  10. 신경림(2004),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서순복(2007), 문화의 민주화와 문화민주주의의 정책적 함의. 한국지방자치연구 8(3): 23~44.
  12. 양혜원.김현경.윤지연(2019), 예술의 가치와 영향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3. 임재해(2010), 마을의 잔치문화에 갈무리된 축제성과 인간해방의 길, 남도민속연구 21: 205~241.
  14. 임 환(2014), 문화예술공동체 활동이 지역의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박사논문.
  15. 정광렬(2014), 문화가 있는 삶을 위한 지역문화진흥 방향, 국토: 5-13.
  16. 정광렬(2016), 생활문화 활성화를 위한 정책기반 구축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7. 조광호(2015), 생활문화 활동조사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관광문화연구원.
  18. 최미세(2014), 문화예술의 공적가치와 문화민주주의, 독일어문학 64: 395-415.
  19. 최미숙(2012), 문화예술의 가치 및 효과 제고를 위한 문화예술지원 심의기준 및 평가기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20. 최정낭(2018), 노년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예술기반 실행연구,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21. 고평생태교통문화마을협의회(2020), 고평 생태교통 문화마을사업 백서.
  22. Brown. A. S. (2006), An Architecture of Value. Grantmakers in the Arts Reade,r, 17(1) 18-25
  23. Colaizzi, P.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a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 48-71). Open University Press: New York.
  24. McCarthy, K. F., Ondaatje, E. H., Zakaras, L., & Brooks, A. (2001), Gifts of the Muse: Reframing the Debate about the Benefits of the Arts. Rand Corporation.
  25. Mulcahy, K. V. (2006), Cultural policy: Definitions and theoretical approaches. The Journal of Arts Management, Law, and Society, 35(4), 319-330. https://doi.org/10.3200/JAML.35.4.31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