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difference

검색결과 1,108건 처리시간 0.026초

문화와 커뮤니케이션 관계 파악을 위한 분석 방법론 수립에 관한 연구 - 사용자의 문화적 차이를 고려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ommunication with Considering on the Difference of Culture in Focus Group Interview)

  • 정지연;김정하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210-215
    • /
    • 2008
  • 기술의 발전과 급속한 세계화가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시장이 확대되면서 디자인이란 영역은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시대의 핵심 역량과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로 화두가 되고 있다. 과거 디자인이 '미적인 아름다움', '장식', '감성의 만족'들을 추구했다면 이제는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또한 다양한 문화를 배경으로 한사용자를 중심으로 분명히 다른 가치가 존재하며 그에 따른 다른 방법들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최근 상품 개발 과정이나 평가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론과 같은 문화적 기반의 명확한 사용자의 니즈(needs) 파악이 가능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문화의 배경 및 개인의 기질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적 특성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문화적 특성은 개인 기질에까지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화적 특성과 개인의 기질을 근간으로 MBTI에 나타난 결과에 따라 대조군을 설정하고 문화적 특성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실제적인 분석 방법론을 수립하였다.

  • PDF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Navigation Design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 펑지아난;서종환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9권2호
    • /
    • pp.63-68
    • /
    • 2020
  •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랙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이다.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와 콘텐츠에 접근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문화적 특성과 배경의 차이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경험은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는 중국과 미국의 인기 있는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고찰하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중국인들은 풍부한 정보와 화려한 이미지, 다양한 메뉴방식을 선호하며, 미국인들은 단순한 디자인과 레이아웃, 제한된 유형의 메뉴 방식을 선호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두 가지 방향의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여 중국과 미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지류.섬유질 유물에 대한 대기유해가스($SO_2$, $NO_2$)의 영향 (The Effects of $NO_2$ and $SO_2$ Gas on the Paper and the Textile Cultural Properties)

  • 이규식;한성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7호
    • /
    • pp.65-99
    • /
    • 1996
  • We exanmined the each effect of $NO_2$ and $SO_2$gas, the maincomponets of air pollutants, on the deterioration of 6 organic materials with Gasexposure cabinet. The organic materials were used 2 kind of papers(Korean paper, Oldbook paper) and 4 kind of textiles (Cotton, Silk, Hemp, ramie) in gas exposure experiments. In order to know how to change of physical conditions, the materials were exposed to 2000, 1000 ppm. h of $SO_2$dose, to 100 ppm. h of $NO_2$ dose at 65% RH. The color differenc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coeffient, mass reduction and fabric status of each materials were discussed the following below.1. The color difference of cotton and hemp was larger than that of silk and ramie in the presence of $SO_2$ gas. and the color difference of korean paper was less than that of the textile materials in the presence of $SO_2$ gas.2. The tensile strength of cotton fell suddenly at 100ppm.h of $SO_2$ dose and even became 56% of the unexposed cotton.3. The weight of 6 materials began to decrease in the presence of $SO_2$ gas.4. The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of the materials tended to decrease at 12.5ppm.h of $NO_2$ especially silk was the strongest tendency to decrease.5. Cotton, hemp and ramie were influenced by $SO_2$ gas more than by $NO_2$, but silk were influenced by $NO_2$ more thang by $SO_2$ at 10ppm.h of each noxious gas.

  • PDF

문화재 전시 공간에 대한 활성탄의 습도 제어 및 유해가스 제거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Humidity Control Capability and Removal Toxic Gases of Activated Carbon to the Display Environment of Cultural Properties)

  • 강새롬;최유리;강대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의 문화재 전시 환경에 대한 습도 및 유해물질 제어 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흡 방습 성능 실험 결과, 저습과정(RH $30{\rightarrow}55{\rightarrow}30%$)에서는 박물관에서 주로 사용되는 Silica계 조습제에 비해 활성탄의 흡습량이 많은 반면 방습량은 적었다. 흡습속도는 활성탄이 Silica계 조습제에 비해 빠르고 방습속도는 Silica계 조습제가 빨랐다. 중습과정(RH $50{\rightarrow}75{\rightarrow}50%$)에서는 활성탄에 비해 Silica계 조습제의 흡습량이 근소하게 많았으며 방습량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흡 방습 속도는 활성탄의 흡습 속도가 Silica계 조습제에 비해 빠르고 방습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해물질 흡착 실험에서는 활성탄을 적용한 환경이 Silica 계 조습제를 적용한 환경에 비해 Formaldehyde의 농도가 낮았다.

Ethylene oxide계 훈증 약제에 의한 문화재 재질의 안정성 연구 (Stability Assessment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by Fumigants Containing Ethylene Oxide)

  • 정소영;김영희;이정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46-59
    • /
    • 2015
  • 본 연구는 문화재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훈증방법 중에서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를 포함하는 훈증 약제가 문화재 재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지류, 섬유, 금속, 안료 등 4종류의 시험편을 제작하고 훈증처리 전 후의 색상, 무게, 표면 변화, 그리고 지류와 섬유 시험편에 대한 적외선 분광분석을 실시하였다. 훈증처리는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에틸렌 옥사이드 + $HFC_{134a}$, 에틸렌 옥사이드 + $CO_2$ 등 2종류의 훈증제 처리군을 실험군으로 하였다. 색차 측정 결과, 소다회를 이용하여 증해한 한지, 은, 면, 견, 모시, 황색 안료 등에서 색상 변화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은 시험편에서 평균 6.0 이상의 높은 색차 변화가 측정되었다. 그러나 은 시험편의 경우 훈증제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시험편의 색차가 약제를 처리한 것보다 오히려 높게 나타나 훈증제 처리가 시험편의 색상 변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훈증처리 시 주의가 요구된다. 무게 측정에서는 전체적으로 0~2% 정도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금속 시험편의 변화가 가장 적었고 지류 시험편의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편의 표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일부 시험편 표면에서 색상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은 시험편에서 가장 큰 변화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지류와 섬유 시험편을 대상으로 한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에서 성분상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볼프스부르크 문화센터의 건축 특성과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Wolfsburg Cultural Center)

  • 정태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7-54
    • /
    • 2011
  • In Alvar Aalto's designs, important factors of complex building designs including Wolfsburg cultural center are that they insinuate how to develop each architectural type and how to combine them in a building. The humane and physical background studies, and wholistic and systematic approaches are adopted to fulfill research purposes. Comparison with other buildings are necessary to reveal true meaning of this building. The result of analysis show characteristics of Wolfsburg cultural center as follows; hybrid composition of mass and elevation, spatial effect using level difference and light, massing variation of roof, and creating space for various activities. Wolfsburg cultural center designed in late 1950s has greatly affected Aalto's later works through various architectural experiments because it is the first cultural complex project that combined various architectural types. Especially library in the cultural center has shown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to famous fan-type libraries of 1960s while maintained features about Viipuri library. Wolfsburg cultural center act as an another type which present new principles of clustering, massing and exterior design. Its true meaning lies in forming a humanizing place beyond spatial configuration.

디자인의 문화적 특성 판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각교재의 효과 - 동양의 창살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lide presentation of representative cultural space to enhance students' cultural discriminating abilities - focusing on oriental latticeworks -)

  • 김경숙;이연숙;정현원;심재희;박지연;김연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5-78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t to determine the effect of slides exposure of different cultural architecture and interiors on students discriminating abilities of cultural differences among China, Japan, and Korea. Pre-test post-test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To measure students cultural discriminating abilities, a scale of 48 graphic items representing latticeworks of 3 countries was designed. For the treatment, 20 pictures showing representative architecture and interior spaces of each country thereby a total of 60 slides was selected. Subjects were 118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nterior design. After measuring students' critical ability, the slide images were shown in country's order without explanation. After the exposure, post measures with the same instruments were done. To fi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aired t-test was used. result indicated that the slide exposure have direct and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ultural discriminating abilities. Therefore the model can be efficiently used in the educational setting to give student experience of cultural diversity.

  • PDF

한국적 이미지의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 영향요인 -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비교 연구 - (Factors of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a Korean Image - Comparison of Korean and American Consumers -)

  • 조윤경;이유리
    • 복식
    • /
    • 제59권4호
    • /
    • pp.54-66
    • /
    • 2009
  •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fashio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image, targeting Korean and American consumers. Its purpose was to identify Korean and English consumer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to compare difference of its influence factor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of which design sources were derived from the Korean culture. The quantitative research using on-line questionnaires was targeted at American and Korean consumers. A total of 400 responses were us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data analyses using SPSS 13.0, are as following. First, for American consumers, uniqueness-see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toward of cultural product with Korean image, followed by service of salespersons, change-seeking, and appearance of salespersons. For Korean consumers, easy accessibility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ttitude. Second, for American consumers, uniqueness-seeking and appearance of salesperson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ultural product with Korean image. For Korean consumers, no attributes were related to purchase intention. This research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that will compete in the global market presents exploratory information targeting domestic and foreign consumers and will contribute to the strategic aspect of newly growing high-added-value industries.

흰개미 서식처의 미생물 다양성 및 특이성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soil microorganism isolated from termite nest)

  • 홍진영;김영희;조창욱;김수지;이정민;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7호
    • /
    • pp.5-15
    • /
    • 2016
  • 국내 목조문화재의 흰개미 피해는 토양과 인접한 건축물의 기둥하부에 주로 발생하지만 흰개미의 유입은 주변 야산의 부후된 목재나 수목 제거 후 남겨진 그루터기에 서식하는 흰개미가 인접한 건물로 유입되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목조문화재 생물피해 조사에서 흰개미 서식이 확인된 그루터기를 제거하면서 수거된 보은 법주사, 여수 흥국사, 그리고 보성 이용우 가옥의 그루터기와 주변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그 결과, 세균의 분포 비율이 높았고 지역에 따라 세균 군집에 명확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보성 이용우 가옥 내 토양에서 다양한 세균이 다량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보건교사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Cultural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Nurses)

  • 신정은;박수인;이혜정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66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cultural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nurs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109 school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s across three large cities in South Korea. The da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s, a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chool nurses who had experience caring for multicultural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ultural competency (t=8.75, p=.004). Factors affecting their cultural competency were aware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beta}=.17$, p=.006) and transcultural self-efficacy (${\beta}=.69$, p<.001), which explained 58.6%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training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school nurses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multiculcural families, including interventions to enhance transcultural self-efficacy, in order to enhance their cultural competence and to help them provide tailored care for multicultural student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