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Chinese Cultural Characteristics on the Navigation Design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중국인의 문화적 특성이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 펑지아난 (동아대학교 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 서종환 (동아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Received : 2020.02.13
  • Accepted : 2020.03.25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s of the user experience in mobile device interaction is navigation design. Navigation design plays a key role in enabling users to perform their desired functions and to access the information and content they need by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rocess, differences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users may affect the navigation design, and thus the user experience may represent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study compared the navigation design of popular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analyzed the reasons. Based on this comparison, we proposed that the Chinese preferred rich information, colorful images and various menu styles, while Americans preferred simple designs, layouts and limited types of menu. In addition, two types of mobile shopping application navigation design schemes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Chinese and American users' preference, and the validity of our study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모바일 디바이스의 인터랙션에 있어서 사용자 경험의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이다. 네비게이션 디자인은 사용자들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필요한 정보와 콘텐츠에 접근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들의 문화적 특성과 배경의 차이는 네비게이션 디자인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 경험은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는 중국과 미국의 인기 있는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고찰하고 그 원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중국인들은 풍부한 정보와 화려한 이미지, 다양한 메뉴방식을 선호하며, 미국인들은 단순한 디자인과 레이아웃, 제한된 유형의 메뉴 방식을 선호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두 가지 방향의 모바일 쇼핑 어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여 중국과 미국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타당함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G. Hofstede,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 Abridged edition, Sage publication, 1980.
  2. A. Marcus, "Mapping user-interface design to cultural dimensions," In Unpublished paper based on a paper prepared for a CHI 2002 Workshop and a paper prepared for Advanced Visual Interfaces, 2002.
  3. R.E. Nisbett, and T. Masuda, "Culture and point of view," Proc.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vol. 100, no. 19, pp. 11163-11170, 2003. https://doi.org/10.1073/pnas.1934527100
  4. R. Gabriel, "The rise of "worse is better"," Lisp: Good News, Bad News, How to Win Big. vol. 2, no. 5, 1991.
  5. A. Marcus, and E. Gould, "Crosscurrents: Cultural Dimensions and Global Web User Interface Design," Interactions, vol. 7, no. 4, pp. 32-46, July/August 2000. https://doi.org/10.1145/345190.345238
  6. R. Nisbet, The Geography of Thought, Free Press, 2004.
  7. 이봉만, 나건, "동서양 문화적 관점을 통한 광고디자인의 차이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8권, 제4호, 259-272쪽, 2017
  8. 장녕, 김세화, "문화 차이에 따른 웹사이트 인터페이스 디자인 비교연구: 중국과 미국의 포털사이트 비교,"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315-316쪽, 2012
  9. 이건표, "문화가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32-133쪽, 2001
  10. 원지영, "국가별 야후 사이트의 웹 디자인 비교 연구: 메인페이지를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129-159쪽, 2009
  11. 최성익,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나타난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성향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0권, 제1호, 603-614쪽,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