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itical Path Method Network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반복작업 PERT 네트워크의 확률기반 주공정 산정기법 (Probability-based Critical Path Estimation for PERT Networks of Repetitive Activities)

  • 이규진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595-602
    • /
    • 2018
  • 건설공사의 공정 계획에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방식의 공정표는 CPM방식과 PERT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공정표에서는 주공정선의 산정은 전진 계산과 후진 계산을 통하여 가장 합계기간이 크게 산출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PM 기법에서는 각 액티비티의 소요기간이 고정된 값으로 제시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주공정선의 산정이 용이하다. 그러나 PERT 네트워크에서는 소요기간이 확률적으로 주어지므로 단순히 특정 경로 상 액티비티 기간의 합계만으로 주공정은 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며, 확률에 기반하여 산정된 예상기간에 의해 최가능 주공정으로 제시되어야만 PERT의 목적에 부합할 것이다. 이는 목표 기간에 따라 주공정선이 변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예상 기간이 더 작은 경로가 최가능 주공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PERT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경로별로 예상기간의 비교를 통해 확률적 의미를 가진 최가능 주공정을 도출하는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다. 체계적인 대안 경로 도출을 위해 작업 구획과 작업 공정이 교차하여 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의 네트워크 반복 작업 공정표를 대상으로 하여 대안 경로 도출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도출된 경로를 대상으로 예상 기간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예상기간이 목표 기간을 초과할 확률을 기반으로 하여 최가능 주공정을 산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 최가능 주공정은 고정된 경로가 아니며 목표 기간과 표준편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법은 건설 공사와 같이 목표 공사기간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간 예측의 리스크를 명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임계경로 탐색과 프로젝트 활동 일정 수립 (A Critical Path Search and The Project Activities Scheduling)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1-150
    • /
    • 2012
  • 본 논문은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PERT/GANTT 차트를 쉽게 그릴 수 있는 임계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프로젝트 일정을 결정하는 임계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CPM (Critical Path Method)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CPM은 프로젝트 수행 활동들의 수행 기간과 상호 의존 관계에 따라 초기에 작성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대해 임계경로를 계산하는데 5 단계를 수행하며, $T_E$ (The Earliest Time)을 계산하는 노드 (활동)들의 순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지 않아 특정 노드의 $T_E$를 정확히 계산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CPM으로 얻은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의 활동들의 수행 순서가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할 수 없어 Lucko는 9 단계를 거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반면에,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초기에 작성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에 대해 너비우선 탐색으로 노드들을 레벨로 재배치하여 수행 순서를 사전에 결정한다. 다음으로, 각 레벨에 속한 노드들을 임의로 선택하여 $T_E$를 계산하는 단계만을 거쳐 임계경로를 즉시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각 레벨에서 임계경로에 속한 노드들의 $T_E$를 기준으로 임계경로에 속하지 않은 노드들의 $T_E$에 따라 약간의 이동으로 프로젝트 활동들의 수행 순서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하도록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10개의 실제 프로젝트 데이터에 대해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모든 프로젝트에서 임계경로를 구할 수 있었으며, 활동들의 수행 순서를 시각적으로 명확히 표현하였다. 또한, 제안된 알고리즘은 CPM의 5단계를 1단계로 단축시키는 장점과 더불어 활동들의 수행순서를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Lucko의 9 단계 수행 과정을 2단계로 간단히 하였으며, PERT/GANTT 차트로 즉시 전환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조합논리회로를 위한 새로운 Path-Based 타이밍 최적화 알고리듬 (Path-based new Timing Optimization Algorithm for Combinational Networks)

  • 양세양;홍봉희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29A권9호
    • /
    • pp.85-93
    • /
    • 1992
  • In this paper, the new timing optimization algorithm for combinational networks is proposed. First, we introduce the concept of P-path redundancy which is the extension of redundancy concept used in the testing of combinational networks. In this approach, the critical delay is minimized by removing the P-path redundant side inputs of the critical path, and more accurate timing optimization is possible by systematically considering the statically unsensitizable paths as well as the statically sensitizable paths. It's possible with all previous longest path based approaches that the critical delay of resulting network after timing optimization may be even increased. However, the proposed method guarantees to exclude such a possibility, and can be applied to optimize the timing of combinational networks in technology independent, and dependent phase.

  • PDF

워크플로우 임계 경로에 관한 분석 (Analyses on the Workflow Critical Path)

  • 손진현;장덕호;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8권4호
    • /
    • pp.677-687
    • /
    • 2001
  • 임계 경로는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 분야를 포함하여 많은 컴퓨터 공학 분야들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워크플로우에서 임계 경로는 여러 개의 예상 수행 경로들 중에서 가장 긴 평균 수행 시간을 가지는 하나의 경로로 정의되며, 이 개념은 워크플로우 옹용 영역들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 으로 특정 워크플로우에 대해 동시에 수행되는 워크플로우 인스턴스들이 여러 개가 존재하므로 워크플로 우 환경에 적합한 새로운 임계 경로 결정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먼저 워크플로우 특징들을 쉽게 분석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대기 행렬 네트워크 모델에 대해서 언급한다. 그리고, 이 모델을 기반으로 워크플로우 임계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추가적으로. 워크플로우 임계 경로 개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응응 영역들을 몇가지 소개한다.

  • PDF

확장된 구조적 워크플루우 스키마에서 워크플로우 임계 경로의 결정 (Finding the Workflow Critical Path in the Extended Structural Workflow Schema)

  • 손진현;김명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9권2호
    • /
    • pp.138-147
    • /
    • 2002
  • 워크플로우에서 임계 경로의 개념은 워크플로우 자원 및 시간 관리 등과 같이 워크플로우의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임계 경로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워크플로우에서의 제어 흐름 구조는 기존의 전형적인 그래프 혹은 네트워크 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복잡한 업무 흐름을 워크플로우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다양한 워크플로우 제어 구성 자들을 정의한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정의된 구조적 워크플로우 스키마에서 임계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evelopment of a Flash-based Schedule Management Tool for Smart Devices

  • Jang, Myunghou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58-565
    • /
    • 2012
  • Schedule management of construction work is critical to complet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in a given period of tim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and multiple tools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the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using smar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for managing construction schedules via a smart device using Flash. The interactive and graphic properties of Flash enable the development of an app that can allow a field manager to manage schedules easily and efficiently. A prototype was implemented using Adobe Flex Builder, and a sample network was applied in a smartphone. It is convenient for a construction manager to manage construction schedules using the tool because Flash controls graphic components easily. In further studies, network diagrams such as CPM (Critical Path Method)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app.

Evaluating Schedule Uncertainty in Unit-Based Repetitive Building Projects

  • Okmen, Onder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21-34
    • /
    • 2013
  • Various risk factors affect construction projects. Due to the uncertainties created by risk factors, actual activity durations frequently deviate from the estimated durations in either favorable or adverse direction. For this reason, evaluation of schedule uncertainty is required to make decisions accurately when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a new computer simulation model - the Repetitive Schedule Risk Analysis Model (RSRAM) - to evaluate unit-based repetitive building project schedules under uncertainty when activity durations and risk factors are correlated. The proposed model utilizes Monte Carlo Simulation and a Critical Path Method based repetitive scheduling procedure. This new procedure concurrently provides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without interruption and the maintenance of network logic through successive units. Furthermore, it enables assigning variable production rates to the activities from one unit to another and any kind of relationship type with or without lag time. Details of the model are described and an example application is present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model produces realistic results regarding the extent of uncertainty inherent in the schedule.

EERA: ENHANCED EFFICIENT ROUTING ALGORITHM FOR MOBILE SENSOR NETWORK

  • Hemalatha, S;Raj, E.George Dharma Prakas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389-395
    • /
    • 2022
  • A Mobile Sensor Network is widely used in real time applications. A critical need in Mobile Sensor Network is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during routing as the sensor nodes have scarce energy resource. The nodes' mobility in MWSN poses a challenge to design an energy efficient routing protocol. Clustering helps to achieve energy efficiency by reducing the organization complexity overhead of the network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nodes in the network. This paper proposes"EERA: Energy Efficient Routing Algorithm for Mobile Sensor Network" is divided into five phases. 1, Cluster Formation 2.Cluster head and Transmission head selection 3.Path Establishment / Route discovery and 4,Data Transmission. Experimental Analysis has been done and is found that the proposed method performs better than the existing method with respect to four parameters.

Primary user localization using Bayesian compressive sensing and path-loss exponent estimation for cognitive radio networks

  • Anh, Hoang;Koo, Ins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0호
    • /
    • pp.2338-2356
    • /
    • 2013
  • In cognitive radio networks, acqui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rimary user is critical to the communication of the secondary user. Localization of primary users can help improve the efficiency with which the spectrum is reused, because the information can be used to avoid harmful interference to the network while simultaneity is exploited to improve the spectrum utilization. Despite its inherent inaccuracy,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on range has been used as the standard tool for distance measurements in the location detection process. Most previous works have employed the path-loss propagation model with a fixed value of the path loss exponent. However, in actual environments, the path loss exponent for each channel is different. Moreove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radio channel, when the number of channel increases, a larger number of RSS measurements are needed, and this results in additional energy consumption. In this paper, to overcome this problem, we propose using the Bayesian compressive sensing method with a calibrated path loss exponent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U localiz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