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urse Feedback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a Critical Thinking Course for Korean Nurses in RN-BSN Program

  • Je, Nam-Joo;Lee, Shin-Young;Lee, Seonah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58-68
    • /
    • 2019
  • Critical thinking is essential to implementing the nursing process requiring timely decision making.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critical thinking course for nurses in the RN-BSN program. The study used a pre- and post-test design with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convenience sample of 24 working nurses attending a health college. The control group was 24 fellow nurses. The nursing process-based critical thinking course was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o and half hours a week for 8 weeks. Teaching methods included lectures followed by a summary and quiz, brainstorming and action learning, and lecturer feedback. A pamphlet about views of professional occupation was provided to the control group.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test scor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did not in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solving process, and clinical competence. It is necessary that a robust educational program or training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nurses are provided in clinical settings and that nurses keep going on thinking critically in their practice.

Designing Online Public Education Contents in Korean Medicine Using the Rapid-Prototyping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Model

  • Jiseong Ho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74-88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Korean-themed online public education content in Korean medicine using rapid prototyping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RPISD). This study presents cases of developing and converting face-to-face general education programs designed to increase the interest i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medicine for the public into online programs within a short timeframe.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is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which used the RPISD model to analyze the available resources utilized in the rapid development of public educational content and propose systematization and optimization measures by analyzing the needs of clients, learners, and the environment. The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DUBG)Open Course>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model procedure, which involved needs analysis, development of course materials and manuscript, and storyboard creation and its filming and editing. Usability tests were conducted at all stages, and the opinions of clients, instructors, experts, and instructional designers were accommodated and reflected at each stage. Results: Using the rapid prototyping model, <Treasured Mirror of Eastern Medicine(DUBG)Open Course> was organized into five classes of 20 minutes each. Each class was developed in Korean and included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ubtitles in addition to Korean under the cooperative instructional design among clients, subject-matter experts, instructional designer and learners. Conclusion: The cooperative instructional design of stakeholders is significant in developing Korean medicine public education content online through extensive interaction and feedback from stakeholders in the early stage of educational content development.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웹기반 코스 스케줄링 멀티 모듈 시스템 (A Course Scheduling Multi-module System based on Web using Algorithm for Analysis of Weakness)

  • 이문호;김태석;김봉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90-297
    • /
    • 2002
  • 웹의 등장은 멀티미디어 기술과 컴퓨터 통신 기술 개발의 가속화 및 이를 응용한 컨텐츠 개발에 촉진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새로운 형태인 웹을 기반으로 한 교육(WBI : Web-Based Instruction)이라는 교수 모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준을 고려한 학습 및 평가 방식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많은 교육 시스템들은 학습자 성향에 맞는 학습 과정을 적절히 서비스해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과 학습자가 학습 과정에 따라 학습을 진행함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을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코스 스케줄링 멀티 모듈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먼저 학습자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며, 이 성취도 계산을 통해 나온 단원별 취약성을 에이전트의 스케줄에 적용하여 학습자에게 취약한 과목을 재학습 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러한 학습 환경에 따라 반복된 학습을 통하여 완전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 PDF

멀티 에이전트를 이용한 코스 반복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urse Relearning System using Multi-agent)

  • 이종희;이근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8B권6호
    • /
    • pp.595-600
    • /
    • 2001
  • 최근,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새로운 형태인 웹을 기반으로 한 교육(WBI:Web-Based Instruction)이라는 교수 모형이 제시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코스웨어의 주문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며 그에 따라 웹 기반 교육 시스템에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교육 에이전트의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되고 있는 많은 교육 시스템들은 학습자 성향에 맞는 코스를 적절히 서비스해 주지 못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과 학습자가 코스를 학습함에 있어서 취약한 부분을 재학습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를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취약성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코스 스케쥴링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먼저 학습자의 학습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개인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계산하며, 이 성취도를 에이전트의 스케쥴에 적용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코스를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러한 코스에 따라 능력에 맞는 반복된 학습을 통하여 적극적인 완전학습을 수행하게 된다.

  • PDF

수업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평가의 비교를 통한 공과대학 수업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Suggesting Directions for Course Improvement at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Comparison of Instructors' Self Evaluation and Students' Evaluation of Courses)

  • 민혜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35-4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t college of engineering based on analysis of differences from course evaluation of students and instructors. Data was collected from 86 instructors' ratings on courses and their 3004 students' ratings on courses at college of engineering in a two-year, a three-year college and a University from 2010 to 2013. The results of the survey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atistics from the several questions between the instructors and the students as well as between the course in a two-year, a three-year college and in a University. First, instructors' self evaluation of the course is higher than students' satisfaction ratings of the course on the average. Instructors' self evaluation are high on the questions 'The subject was proper for the course', 'The course provided the latest theory and trend of the field', and 'Fairness and objectivity about the exams and the assignments'. Also,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on the questions is significant in the statistics. The professor must make sure that students know well how to organize the course content and the method for feedback to test result and homework. Second, instructors have higher satisfaction ratings on the six questions and students have higher satisfaction ratings on the one question('Mak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effectively') at a two-year and a three-year college. However, students have higher satisfaction ratings on the three questions('Mak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effectively', 'Concern about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Use of E-learning and media equipments') and instructors have higher satisfaction ratings on the one question. It means instructors at a University feel pressure on a teaching and they are unsatisfied with their teaching skills. Third, the result of comparing six parts of the questions shows that students' satisfaction ratings are higher on 'Students participation' and 'Application of media equipments' parts whereas instructors' self evaluation are higher on 'Exams and assignments' part. Fourth, the question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effectively' is significant in statistic based on comparison of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comparison of in a college and a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ratings are higher than instructors' self evaluation.

COVID-19로 인한 비대면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효과성 연구: 감성지능과 공감능력 (A Study on Effectiveness of Online Interactive Cinematherapy Course Due to COVID-19: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pathic Ability)

  • 임애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7-66
    • /
    • 2021
  •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하여 비대면 수업을 실시하게 된 대학의 강의 환경에서 토론을 전제로 개발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이 비대면 환경에서도 감성지능과 공감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COVID-19 전후,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을 각각 경험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수강생으로, 대면수업 수강생 212명, 비대면수업 수강생 139명으로 구성되었다. 대면수업 수강생은 연구자와 수강생 간의 구조적 질문과 수강생 간의 토론을 실시하였으며, 비대면수업 수강생은 토론을 대체하기 위해 연구자와 수강생 간의 이메일을 활용한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수업으로 진행한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은 감성지능 중 타인감성이해와 감성활용능력이 증가하였고, 공감능력 중 인지적 공감과 두 하위요인인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모두 향상되었으며, 정서적 공감 중에서는 공감적 관심이 향상되었다. 대면수업의 효과와 비교한 결과, 타인감성이해, 인지적 공감, 관점 취하기, 상상하기, 공감적 관심이 공통적으로 향상되었고, 대면수업에서는 자기감성이해가, 비대면수업에서는 감성활용능력이 각각 향상되어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효과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피드백을 통한 질적연구에서는 교수자의 소통능력과 관심이 비대면 상호작용적 영화심리치료 수업의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비대면수업으로 전환될 수업 환경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환경보다는 교수자와 학생 간의 소통과 교수자의 역할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임상실습 입문교육에서 형성평가 후 되먹임 및 재시험의 효과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Feedback and Remediation after Formative Assessment i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

  • 이용직;최손환
    • 의학교육논단
    • /
    • 제18권1호
    • /
    • pp.38-43
    • /
    • 2016
  •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effect of feedback and remediation after formative assessment (FRFA) by comparing the FRFA score and that of summative assessment (SA) in a course on clinical skills. In March 2015, 33 subjects underwent evaluation of their ability to perform a complex clinical skill using a real-time ready-made mobile assessment form tool, and through e-mail they were supplied with their feedback and final score (the pass group earned 2 points; the intermediate group earned 1 point; the nonpass group earned 0 points) followed by their self-reflection. The nonpass group underwent a re-test and e-mail feedback again until they passed the test, given the ease of performance. In December 2015, the 33 subjects took a 10-item SA, and one of the 10 items addressed a similar clinical skill.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core on the FRFA and the score on the SA was evaluated statistically (p=0.05) through data analysis, variance distribu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software ver. 16. The increase from the score on the SA to that on the FRF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4.5{\pm}9.29$) in the pass group and the intermediate group, and was $29.7{\pm}11.49$ in the nonpass group of the formative evaluation (p<0.001). Using an FRFA could decrease the range i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core and increase the minimum score among the subjects.

지적분야 과정평가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urse evaluation model in the Cadastral Field)

  • 서용수;최승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97-312
    • /
    • 2016
  • 현 정부는 미래 국가 경쟁을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의 자격제도 개편을 통하여 자격과 산업현장을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교육 훈련과정을 이수하고 내,외부 평가를 거쳐 합격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국가기술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로 직업교육과 자격을 본격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지적분야의 NCS 및 학습모듈은 이미 특성화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에서 교육 훈련에 활용되고 있으나, 지적분야와 관련하여서는 아직까지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도입되지 않아 현행 국가기술자격검정을 통하여 자격을 취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지적분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을 위한 NCS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사례기반학습법을 적용한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인체생리학 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a Human Physiology Course)

  • 김나현;박지연;전상은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78-8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CBL) 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a human physiology course. Method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BL scenarios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June, 2013. Nursing students (n=142) who registered for a human physiology course were assigned into either a control or CLB group.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s for 14 weeks. The CBL group received the same 14-week lectures and an additional 5 CBL sessions.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questionnaire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Seven students in the CBL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for a focus-group interview.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hi}^2$-test and t-test,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59% of the CBL group answered with a positive impression on the CBL approach as it helped them to feel a sense of achievement, excitement, to form their identity as nursing students, and so o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BL could be a challenging but useful learning method in a physiology course for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ies with guidance, such as instructors' questions and feedback design are needed to utilize CBL more effectively.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 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