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for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연구

  • Yu, Nan Sook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유난숙 (전남대학교 가정교육과,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5.09.20
  • Accepted : 2015.12.16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hereafter PBL) for per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BL to the course. A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was carried out for 17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2nd of March till 11th of June in 2014. Pre- and post-tests to measure teacher disposition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pplying PBL. Three questions for PBL were developed, were determined after obtaining verification of the questions from 5 experts, and were used for the course entitled 'Teaching practice'; Developing teaching-learning plan, establishing plan for homeroom class management, and designing assessment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The processes of PBL include defining the problem, planning problem solutions, reassessing the problem, identifying possible solutions, and performance presentation. Procedures for solving one problem of PBL took 4 weeks and teacher disposition assessment for effectiveness of PBL was carried out for pre- and post tests. The reflection journal showed that even though it was their first experience of PBL, instructor's feedback, group activities, and individual activities were helpful for solving the problems of PBL. The result of dependent t-test for paired sample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 tests, which means that there was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pplying to PBL on teacher disposition of prospective Home Economics teachers.

본 연구는 예비가정과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직과목 수업에 PBL을 적용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를 수강신청한 1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PBL 수업을 2014년 3월 2일부터 6월 11일까지 15주에 걸쳐 실행함으로써, PBL의 적용가능성과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BL을 위한 문제는 수업계획서 작성하기, 학급경영계획서 작성하기, 기술 가정 평가계획서 작성하기 등 3개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받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PBL은 문제 만나기, 문제해결 계획 세우기, 탐색 및 재탐색하기, 해결책 고안하기, 발표 평가하기 등의 순서로 한 개의 PBL 문제당 4주동안 진행하였으며, 문제해결안을 발표할 때마다 문제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의 PBL 문제를 평가한 결과에 의하면, '실무현장에서의 실제 상황을 익힐 수 있는 좋은 문제였다', '토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였다'에 높은 점수를 주었다. 성찰일지를 분석한 결과 예비가정과교사들은 PBL을 처음 접했을 때 많이 당황스러워했지만, 그룹활동에 열심히 참여하고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교수자로부터, 다른 그룹 구성원들로부터 피드백을 주고받으면서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의 평균비교를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유의수준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PBL을 적용한 예비가정과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수업이 예비가정과교사들의 교직인성 수준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가정과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능력 등이 길러지기를 원하는 교사교육자에게 본 연구가 학생중심의 교수 학습 모형 설계에 대한 중요한 사례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Keywords

Cited by

  1.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vol.28, pp.3,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16.09.28.3.17
  2. 가정교과의 소비자교육이 중학생의 소비자역량에 미치는 효과 vol.30, pp.2, 2018, https://doi.org/10.19031/jkheea.2018.06.30.2.1
  3. 일반가정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주관적 건강상태, 정신건강과 인터넷 중독 성향 vol.16, pp.12, 2015, https://doi.org/10.14400/jdc.2018.16.12.383
  4.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개념 '관계' 단원에 구현된 교과역량 분석 vol.31, pp.2,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19.06.31.2.1
  5. 핀란드 가정과 교육과정의 역량 기반 교육과정 사례 연구 vol.31, pp.4, 2015, https://doi.org/10.19031/jkheea.2019.12.31.4.19
  6. 다문화 청소년과 비다문화 청소년의 안전하지 않은 성관계 경험의 비교 vol.33, pp.1, 2015, https://doi.org/10.15434/kssh.2020.33.1.39
  7.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성행태 실태 분석: 제15차(2019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 이용 vol.18, pp.3, 2015, https://doi.org/10.22678/jic.2020.18.3.073
  8. Factors Associated With Using Contraception Among Sexually Active Adolescents in Monocultu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vol.37, pp.6, 2015, https://doi.org/10.1177/1059840519901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