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4초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

  • 정여원;김유미;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496-1506
    • /
    • 2020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의 부위별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가지(Leaf), 수피(Bark), 목재(Wood), 뿌리(Root)로 분리하여 99.9 % 에탄올에 추출한 시료로 항산화, 미백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평가는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2 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으로 확인하였다.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mushroom tyrosinase 저해 활성 평가, MTT assay를 통한 편백나무 추출물의 세포독성평가를 진행하였으며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과 melanin 생합성량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 결과 편백나무 부위 중 수피(Bark) 추출물이 가장 효능이 우수하였으며 B16F10 melanoma cell내 편백나무 수피(Bark)는 tyrosinase 활성 억제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편백나무 수피 에탄올 추출물의 안전하고 우수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물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영 전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평가 및 성분 분석 (Antioxidative Effects and Component Analysis of Extracts of the Rumex acetosa L.)

  • 정유민;김호재;이수현;장도윤;최예찬;민나영;공봉주;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91-40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영 전초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수영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사용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_{50}$)의 크기는 아글리콘 분획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50%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아글리콘 분획($45.10{\mu}g/mL$)이 가장 큰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Fe^{3+}-EDTA/H_2O_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_{50}$)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아글리콘 분획 > 50%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68{\mu}g/mL$)에서 가장 큰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L-ascorbic acid ($6.88{\mu}g/mL$)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산소인 $^1O_2$으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있어서, 수영 전초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1{\sim}25{\mu}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tau}_{50}$, 104.80 min)은 가장 큰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MS을 이용하여 수영 전초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orientin, isoorientin, vitexin, isovitex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수영의 전초 추출물이 $^1O_2$을 비롯한 활성산소종을 소광 또는 소거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품종이 다른 뽕잎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탐색과 항산화 효과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 leaves (Morus Alba L.))

  • 조영제;주인식;김병오;김정환;이병구;안봉전;추재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34-343
    • /
    • 2007
  • 108종의 표본묘목으로부터 채취한 뽕나무잎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와 Helicobacter pylort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하였다. 항산화효과 중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물 추출물에서는 양면상 등 13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었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는 고수9 등 59종의 뽕잎에서 80%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이 확인되어, 물 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과 80% ethanol 추출물 모두에서 대부분의 뽕잎 추출물들이 90% 이상의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TBARS 값은 control값이 $0.493{\times}10^{-2}{\mu}M$로 나타났으며, 물 추출물에서는 청운뽕, 도내, 축무, 사천금, 수원상 1호, 불전 2호, 오노다마구와, 야마나까다까스께를 제외한 모든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80% ethanol 추출물에서도 대축면을 제외한 107종의 품종에서 대조구보다 낮은 TBARS 값을 나타내어 산화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TBARS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에서는 많은 종류의 뽕잎 80% ethanol 추출물에서 2이상의 높은 PF를 나타내었으며, TBARS값과 PF값 모두 80%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뽕잎 품종별 추출물로 Helicobacter pylori균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한 결과 108종의 뽕잎 중에서 감락상, 다호조생, 신일뽕, 국상 27호, 개량십문자, 국부, 수중상, 백광 6호, 이상, 사천금, 영변추우, 사175, 당상 2호, 청목노상 및 수중상 등 15 품종의 뽕잎에서 저해환을 나타냈으며, 그 중 물 추출물에서는 다호조생 품종이 지름 13mm의 저해환을, 알코올 추출물에서는 청목노상 품종이 지름 15mm의 저해환으로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천연 항균제 및 생리활성 물질로의 이용가능성을 추측할 수 있었다.

항균 효능이 있는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기능성 향장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by Nano-encapsulation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 서용창;노라환;권희석;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3
    • /
    • 2013
  •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 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 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 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 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가든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 Sage (Salvia officinalis L.))

  • 조영제;주인식;윤동혁;천성숙;안봉전;김정환;김명욱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96-301
    • /
    • 2008
  • 가든 세이지 추출물의 추출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가든 세이지는 60% ethane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최적 추출조건으로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phenol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 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4.4%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96.9%,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30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entrol의 $0.62{\times}10^2\;{\mu}M$에 비해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8{\times}10^2\;{\mu}M$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100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활성억제 효과는 75.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활성도 $200\;{\mu}g/ml$ 농도의 액체배지에서 63.4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생리활성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Dendrobium speciosum 에탄올 추출물의 melanin 생성 억제 효능 및 주름개선 효과 (Anti-melanogenesis and Anti-wrinkle Properties of Korean Native Dendrobium speciosum Ethanol Extract)

  • 심미옥;이효은;장지훈;정호경;김태묵;김민석;정원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55-1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Dendrobium speciosum 에탄올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억제를 통한 멜라닌형성 저해 효과 및 주름개선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Dendrobium speciosum추출물은 α-MSH만 처리한 군에 비해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시킴으로서 멜라닌 함량을 감소시켰다. 더 자세한 메카니즘을 알아보기 위하여 멜라닌 합성 관련 유전자인 Tyrosinase-related protein-1, tyrosinase-related protein-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Dendrobium speciosum처리군에서 유전자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Dendrobium speciosum처리 시 type I procollagen 합성이 증가함으로써 Dendrobium speciosum처리가 collagen 생합성을 증대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Dendrobium speciosum에탄올 추출물 처리 시 멜라닌합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및 티로시나아제 활성을 저해시켜 멜라닌 합성이 감소됨에 따라 효과적인 미백활성을 가지며 collagen합성을 증대시킴으로서 주름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Campanula takesimana Nakai Extract)

  • 김미선;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31-1337
    • /
    • 2012
  • 본 연구는 섬초롱(Campanula takesimana Nakai)의 생리효능을 체계적으로 밝히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in vitro 에서 80%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였다. 섬초롱 에탄올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35.18%였으며, 이에 대하여 용매별로 분획한 수율은 water 분획물이 74.53%로 가장 높았으며, n-butanol, n-hexane, ethyl acetate, chloroform 순이었다. 섬초롱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276.26 m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섬초롱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IC_{50}$ 값이 0.13 mg/mL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0.5 mg/mL 농도에서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98%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이는 항산화 대조군인 ascorbic acid의 활성과 비교 시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력은 분획물 모두 1 mg/mL 농도에서 ethyl acetate 분획물이 유의적으로 높은 흡광도 수치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은 1 mg/m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섬초롱은 n-butanol 분획물 70.56%, ethyl acetate 분획물 62.27%로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n-butanol 분획물 34.77%, ethyl acetate 분획물 30.85%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초롱의 추출물 및 분획물 중 ethyl acetate와 n-butanol 분획물의 경우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천연물소재로서 식품 첨가물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he Fraction Isolated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85-890
    • /
    • 2010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에서 추출한 분획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여 화장품소재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산돌배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60% acetone-$H_2O$(6:4, v/v)로 추출하고, 아세톤 가용부를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아세톤 및 물 가용부를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 MeOH을 용출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고 또한 MeOH를 전개용매로 사용한 MICgel을 이용했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Silica-gel TLC로 확인하였다. 폴리페놀 함량은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에서 914 mg/g으로 정량되어 높은 함량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을 이용하여 항산화효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의 100 ppm농도에서 80%이상의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 중 한 분획물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은 1000 ppm에서 77%의 활성을 보였다. 분획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10 ppm에서 38%의 저해률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의 아세톤 분획물은 항산화효과를 가진 천연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품소재로서의 인삼복합물의 항염증 및 미백효능 검증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of ginseng complex as a cosmetic material)

  • 장영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35
    • /
    • 2018
  • 본 연구는 화장품 소재로서 인삼복합물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인삼복합물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염증, 미백 효과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는 인삼(A), 상황(B), 리기다소나무(C)를 각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A)1 : (B)1 : (C)0.5의 비율로 혼합한 시료를 사용하였다. 대식세포(RAW 264.7 cells)내에서 시료의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MTT assay를 이용한 샘플의 독성평가와 nitric oxide 생성 저해 활성 및 염증관련 단백질 및 유전자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미백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멜라노마(B16F10 cell)를 이용해 MTT assay를 통한 샘플의 독성평가,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및 멜라닌 생합성량을 측정하였다.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내에서 시료의 nitric oxide 저해 활성 결과는 $25{\mu}g/mL$ 농도에서 71.2%의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western blot 실험결과 iNOS, COX-2 단백질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 활성 억제 실험에서 인삼복합물의 농도 $50{\mu}g/mL$에서 36.8%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멜라닌 생합성 억제 평가 결과에서 농도 $50{\mu}g/mL$에서 47.8%의 감소를 나타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인삼복합물의 우수한 항염증, 미백 효능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안전한 천연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로부터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Compound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s)

  • 윤소정;김진성;조분성;김정환;이선호;안봉전;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59-165
    • /
    • 2011
  • 로즈마리 추출물의 phenol 함량은 25.7 mg/g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Helicobacter pylori 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clear zone이 $100{sim}200{\mu}/disc$의 phenol 농도에서 각각 11, 12, 14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H. pylori 에 대한 저해효과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Sephadex LH-20과 MCI-gel CHP-20 column을 이용하여 normal phase type인 $ethanol{\rightarrow}H_2O$와 reverse phase type인 $H_2O{\rightarrow}methanol$로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용출한 결과 H. pylori에 대한 탁월한 저해활성을 나타낸 5종류(compound A~E)의 단일 물질로 분리하였다. 5가지 각각의 물질은 H. pylori에 대한 항균력이 미약하였으나, 2종류 이상의 다중 물질의 항균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10~16 mm의 clear zone을 형성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fast atom bombardment (FAB)-Mass, $^1H$-NMR, $^{13}C$-NMR과 IR spectrum을 사용하여 구조 동정한 결과 protocatechuic acid, coumar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및 rosmarinic acid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