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rporate entrepreneurship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 Jun-Young Lee;Sung-Ho Bang;K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68-174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entrepreneurship and to find out the impact of CEOs in the restaurant industry on corporate performance when they hav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 need entrepreneurship to take risks and jump into the market to generate profits. Entrepreneurship is not limited to the abilities or resources hel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 ability or resources held, and entrepreneurship to act means the spirit to take uncertainty and preempt opportunities through innovative activities [1]. In this study, the CEO's entrepreneurship was set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corporate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By applying and analyzing how the CEO's entrepreneurship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staurant industry and the impact relationship on corporate performance are analyzed. To this end, 100 CEOs working in the restaurant industry will be surveyed using the Likert 5-point scale[2]. And an empirical analysis will be conducted through the SPSS program[3]. Entrepreneurship is a spirit that can take risks and seize opportunities through bold challenges to generate profits.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s a key factor for improving corporate performance, and from related studies, the entrepreneurship of the CEO of the restaurant industry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혁신적 조직 구조 확립이 사내 기업가정신과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novative Structure to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 김진수;황인호
    • 중소기업연구
    • /
    • 제42권3호
    • /
    • pp.245-274
    • /
    • 2020
  • 4차산업혁명은 산업 및 기술간의 융합을 통해 기업 환경을 급격히 변화시키고 있으며, 조직은 생존을 위해 다각적인 혁신을 요구받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쟁환경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하여 사내 기업가정신을 통한 사내벤처 활성화가 국내 기업에 전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많은 기업이 사내기업가정신에 대한 준비와 역량이 부족함에 따라 조직내 혁신을 통한 혁신활동 성과 및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사내 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파악함은 물론 혁신활동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내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통한 기업의 혁신활동과 기업성과를 제고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표본은 2017년 한국청년기업가정신 재단에서 수행한 2017년 기업가정신 실태조사: 기업편 데이터 중 10인 이상 기업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가설검정은 유효표본 1,326개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 연구 모델의 경로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사내 기업가정신이 혁신적 아이디어 활동성과와 기업 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적 비전 및 전략, 혁신적 조직 문화 수립이 사내 기업가정신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혁신적 운영체계가 사내 기업가정신과 아이디어 활동 성과간의 긍정적 영향관계를 강화하는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내 기업가정신과 성과간의 관계 및 혁신 조직 구조와 사내 기업가정신과의 다각적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사내 기업가정신 관련 선행 연구의 학술적 시사점을 가지며, 사내 기업가정신 확산 및 성과로 연계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공공조직의 사내기업가정신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ublic Organizations: Focusing on Domestic Public Sector Practices)

  • 박영상;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83-98
    • /
    • 2016
  • 본 연구는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던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내 사내기업가정신 (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조직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요인으로 혁신추구성,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 자율성이 공공조직의 유효성 요인인 창의성발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구성원의 개인적 기업가정신 요인으로 혁신추구성과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공공조직에서의 사내기업가정신은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기업가 정신 함양여부 정도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의 기업가정신이 공공조직 문화로 확산되기 위한 파괴적 혁신과 변화를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혁신과 변화를 장기적으로 지속,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부문에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보급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공부문에서의 업무와 분야를 바탕으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외식산업의 기업가 정신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ntrepreneurship and Its Effects on Corporate Performance in the Foodservice Industry)

  • 박기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3-165
    • /
    • 2009
  • 사업 규모가 크지 않은 외식산업에서는 어려운 경영환경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원동력으로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이 요구된다. 기업가 정신은 외식사업을 혁신적으로 경영할 뿐만 아니라 기업 성과(corporate performance)도 증대시킨다는 연구결과들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 기업가(entrepreneur)가 기업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기업가 정신이 중요하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춰 기업가의 성취 욕구(need for achievement)와 기업가 정신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울러 기업가 정신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외식산업에서 기업가의 성취 욕구가 기업가 정신에서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가 정신의 혁신성(innovativeness)과 사전 대응성(proactiveness)이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사전대응성이 기업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식산업에서 기업가 정신의 혁신성과 사전대응성이 기업 성과를 높이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사내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장지향성과 급진적 혁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arket Orientation and Radical Innovation)

  • 송정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43-35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cludes: Firstly, to examine the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on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econdly,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arket orientation, radical inno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269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Busan, Ulsan, Gyeongju city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its hypotheses. All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with SPSS 18.0 and AMOS 18.0. This study reports findings as follow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market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Seco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radical innovation. Thir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radical innov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ket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s positively related. Fif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Sixth,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adical innov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the market orient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radical innovation. The market orientation and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lso, the radical innovation played as a partial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벤처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기업가정신을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mediated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Venture upon Corporate Performance)

  • 정대용;노경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863-1872
    • /
    • 2010
  • 최근 기업가정신 관련 선진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를 원천으로 한 자원자본인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벤처기업에게 다양한 자원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동태적 역량의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171명의 벤처기업 기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에 근거한 자원 자본인 사회적 자본은 조직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업가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조달관점에서 태생적인 불리함을 지니고 있는 벤처기업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변화와 혁신의 요구를 상대적으로 치열하게 경험하고 있는 벤처기업은 외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조직기업가정신 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준점을 얻었다.

정보시스템 컨설팅 만족도와 기업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sulting and the corporate performance)

  • 김정민;이형용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4호
    • /
    • pp.189-202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IT consulting and entrepreneurship based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finan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and satisfaction of IT consulting on the basis of ecosystem. In addition, this study, did empi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PLS(Partial Least Squares) in order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f IT consulting on entrepreneurship.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of IT consulting on entrepreneurship, which increase the influence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However, the second order factor of enterprise ecosystem has no effect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find out that the important role of IT consult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f SMEs on Corporate Capabilities, Dynamic Capability and Technical Performances in South Korea

  • Yi, Ho-Taek;Han, Chang-Nam;Cha, Yong-B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4호
    • /
    • pp.135-147
    • /
    • 2018
  •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the interest towards founding companies and in line with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on start-up support, discussions are rife about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the management and performances of these compan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SMEs, it is expedient to acquire and deploy consistent entrepreneurship, differentiate corporate resources, ensure the appropriate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the integration of such factor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environment. This research examines relationships among entrepreneurship, three components of corporate capabilities, dynamic capability and technical performance based on resource-based view and the dynamic capability theory. The authors als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corporate life cycle. To test the hypothesis, we conducted a survey on 352 technologies -innovative SMEs located in South Korea via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s. The findings confirm the hypothesis that SMEs' entrepreneu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ree kinds of corporate capabilities (e.g., marketing, R&D, operations capability), and it had a positive effect on dynamic capability, whiles dynamic capability also had an influence on technical performances. The findings also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corporate life cycl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y and technical performances respectively.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both practitioners and academicians are discussed.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관계 : 성별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ve Behavior: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유준;박재춘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1-202
    • /
    • 2020
  • 본 연구는 제조산업에 재직 중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 사내기업가정신 및 혁신행동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실증하였다. 전국 제조산업의 노동자 1,037명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사내기업가정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사내기업가정신은 부분매개역할을20200907 하였다. 즉,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사내기업가정신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넷째,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사내기업가정신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 즉, 여성은 남성에 비해,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높을수록 사내기업가정신이 더욱 강화되었다. 마지막으로 사내기업가정신과 혁신행동 강화에 대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 수준(역량, 태도, CEO 지원)이 기업의 기업가적 문화와 구조, 운영체계에 미치는 영향: 국내 디자인기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mployee's Entrepreneurship Level (Capacity, Attitude, CEO Support) on Entrepreneurial Culture, Structure and Operation Systems of Corporate: Focused on Design Corporate in Korea)

  • 김선주;최승욱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103-116
    • /
    • 2016
  • 불확실한 미래와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은 혁신적인 경영활동을 필요로 한다. 주요 선진국들은 가치와 비전을 창출하는 경영전략으로 디자인을 통해 다양한 고부가가치 창출하여 벤처 및 창업기업의 육성과 기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은 디자인을 활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고 신제품 및 서비스로 신시장을 개척하는 디자인산업에 많은 관심과 지원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은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이 요구되며, 기업가정신의 함양을 통해 창조적인 기업으로 이끌어야 한다. 이제 기업가정신은 개인적 수준을 넘어 조직적 수준에서 효과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성공적인 기업가정신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적 활동이 적극적으로 요구되는 디자인산업 내 디자인기업 구성원 351명을 대상으로 사내 기업가정신의 개인 및 조직 관점에서 실증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디자인기업 구성원의 기업가적 역량, 기업가적 태도, CEO 지원은 문화와 구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성원의 기업가적 역량, 기업가적 태도, CEO 지원은 운영체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사내 기업가정신의 활성화를 위한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디자인기업의 사내 기업가정신 수준을 높여야 하는 당위성을 강조하고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기업가정신 제고의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개인 수준에서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이 조직 수준에서 발현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운영체계를 마련하여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