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협력적 노사관계가 신뢰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on Trust and Commitment)

  • 김성건;김중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137-150
    • /
    • 2016
  • 협력적 노사관계는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협력적 노사관계는 노사 양측의 이해관계로 구축이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협력적 노사관계가 구성원들의 조직신뢰 및 노조신뢰와 조직과 노조에 대한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민주노총 소속 12개 기업 300명의 조합원을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협력적 노사관계는 조직신뢰와 노조신뢰에 긍정적 효과를 가진다고 나타났으며 이 두 신뢰는 모두 조직몰입과 노조몰입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으며 쌍방의 이익을 달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명성 경쟁 등 대립적 노사관계의 틀을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노조의 전략변화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며, 기업에 입장에서도 신뢰를 통한 조직의 몰입을 통한 기업의 발전의 근원을 위해서는 협력적 노사관계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공장 고도화 수준의 조직수준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Level for the Advancement of Smart Factory)

  • 옥지호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281-29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terminants of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the advancement of smart factory. We suggested three determinants of the organizational level such as CEO's entrepreneurship, high-involv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e population of our survey was manufacturing SMEs, and we took a sample and conducted a survey of 232 companies. Since the level of smart factory advancemen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on an ordinal scale,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hypothesis. Findings - The higher the level of high-involv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smart factory advancement. As the level of high-involv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reases by one unit, the probability of smart factory advancement increases by 22.8%. On the other hand, the CEO's entrepreneurshi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smart factory advancement. Interestingly,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negatively affected to the level of smart factory advancement, contrary to the hypothesis predic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explored determinan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hat affect the advancement of smart factories. Through this, various implications are presented for related research and policy fields.

사회적 자본이 노사관계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Industrial Relations and Firm Performance)

  • 이영찬;김영재;이승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10권4호
    • /
    • pp.133-15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industrial relations and firm performance, and to find out social capital is the antecedent factor of industrial relations.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xtensive survey on department managers and labor delegates of 110 Korean manufacturing firms. From the result, we identified that the industrial relations are more cooperative as the level of social capital increases, and the firm which has good relations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shows high performance. In addition, two factors of social capital (Trust/Participation) directly affect to the firm performance.

  • PDF

병원 경영시스템 분석을 통한 생산적 노사관계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Reform Strategies on the Productive Industrial Relations through Analysis of the Hospital Management System)

  • 안상윤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0-12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orm the productive industrial relations in hospital. Because the industrial relations of hospital is antagonistic each other and this problem cause a low productivity. In Korea, hospitals maintain their ownership structure, strategy is controlled by government, short process of management, and culture of grade. The executive of hospital doesn't gain the confidence of union. This circumstances is related with the antagonistic industrial relations.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spital management system through experiential and literature study, and is to present a reform strategies for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of improving productivity in hospital. As a results, if the hospital manager hopes to improve productivity, they should introduce expert management system rather than ownership and management system. And it is need to execute the hospital initiative strategy rather than to depend on the government. Moreover, the hospital can achieve productive industrial relations as a middle-long term visions in management process and horizontal organization culture. Although this study is limited by literature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settle productive industrial relations in hospital and to accomplish the additional study.

  • PDF

국가경쟁력(國家競爭力) 강화를 위한 노사관계(勞使關係) 발전전략(發展戰略) (On the Industrial Relations to Enhance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 김호균
    • 노동경제논집
    • /
    • 제26권2호
    • /
    • pp.129-160
    • /
    • 2003
  • 한국경제(韓國經濟)의 지식경제화(知識經濟化)를 촉진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노사관계(勞使關係)가 확립되어야 한다. 과거 대량생산경제에서는 혁신의 기초가 노동을 실물자산으로 대체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노사간의 이해대립은 물론 혁신에 대한 노동자의 저항도 불가피한 것이었다. 그러나 지식경제(知識經濟)에서는 지식노동(知識勞動)과 실물자산(實物資産)이 서로 보완관계에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과 숙련에 대한 투자는 수확체증(收穫遞增)을 보이고 있으므로 지식경제(知識經濟)에서는 지식(知識)과 숙련을 증진시키는데 노사가 공동의 이해관계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지식경제(知識經濟)에서는 협력적(協力的) 노사관계(勞使關係)가 가치창출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필수적이다. 한국에서 협력적(協力的) 노사관계(勞使關係)를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노사정위원회(勞使政委員會)'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 PDF

시장개방과 노사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 한국의 제조업을 대상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rade Openness and Industrial Relations: The Cas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김우영
    • 노동경제논집
    • /
    • 제28권2호
    • /
    • pp.55-92
    • /
    • 2005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조업에 있어서 산업별 시장개방의 차이가 기업의 고용전략과 노사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살펴본다. 우선 기업의 고용전략 면을 살펴보면 시장개방이 확대될 때 혁신전략 또는 노동비용절약적인 전략 중 어느 특정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는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시장개방이 임금이나 고용에 매우 미약한 영향을 미쳐왔다는 기존의 외국 연구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세계화 등으로 시장개방이 확대되면 기업이 노동비용절약적인 정책을 보다 더 확대할 것이라는 일반적 우려가 적어도 우리나라 제조업 부문에서는 실증적으로 증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장개방과 노사관계에 관한 연구 결과는 좀더 흥미로운데, 시장개방도가 높은 산업에 속하는 기업일수록 협력적 노사관계를 가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장개방이 확대될 때 노동조합이 존재하는 경우에 협력적인 노사관계가 보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대외경쟁'라는 공동의 적이 생기면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 노사가 더 합심해서 타계하려고 노력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예비유아교사의 협동학습에서의 갈등경험 의미 탐색 (A Research on Meaning of Conflict Experience in Cooperative Learning Activ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마지순;안라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45-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출현하는 갈등경험과 갈등해결 경험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과정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바람직한 협동학습이 진행 될 수 있는 기초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W대학에 재학 중인 85명의 예비유아교사로 저널쓰기, 비형식적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에서 구성원 모임, 공정성, 대인관계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는 협동학습과정에서 모임시간의 자율성을 확보하고, 반성적 사고, 동료 간의 정서적 지지, 타인 이해 하기, 함께 하는 시간을 통해 갈등을 해결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하는 갈등 경험의 의미는 지각된 책임감의 형성, 타인 배려를 통한 자신의 성장, 호혜적 이타성 경험, 협동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함께 직접 만나 협동학습을 하는 시간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과, 갈등해결을 위하여 교수자는 적절한 시기에 학습자의 공정한 참여와 평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고, 협동 학습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제공할 때 협동학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지역협력형 지역개발 모델의 평가방법론 연구 -산학관 협력체계에 관한 의견조사와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Improvement on the Existing Valuation Method of the Government, University and Industry Cooperative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 백기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9-138
    • /
    • 1998
  • 1980년대 선진국에서 대두된 내생적 지역재발정책에 따라 우리 나라에서 1990년대 이후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산학연지역컨소시엄사업, 지역협력연구센타사업 등 주요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사업의 효과여부에 대한 평가방법을 탐색하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현대과학기술의 협력연구 필요성과 지역개발의 방향을 접목시켜 지역협력형 지역개발의 개념정립을 시도하고, 주요 사업의 현황을 검토하고 그러한 사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협력연구의 유형, 대학과 기업, 관청사이의 협력연구 현황과 문제점 인식의 차이 등을 도출하여 평가의 일환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협력사업을 주 대상으로 평가체계와 평가요소를 정리하고자 하였으며 현행 주요사업의 평가방법과 의식조사 내역을 바탕으로 평가방법의 향후방향을 고찰하였다.

  • PDF

휴양콘도미니엄의 무형자산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angible assets in resort condominium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 임재화;나승렬
    • 산학경영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7-171
    • /
    • 2007
  • 본 연구는 휴양콘도미니엄의 무형자산이 시장경쟁력 및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콘도미니엄이 가지는 서비스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외부적 무형자산을 브랜드자간, 그리고 고객관계자산으로, 내부적 자산은 인적자산, 서비스운영자산으로 구분하여 총 9개의 변수로 무형자산을 재구성하여 측정하였다. 국내 주요 콘도미니엄을 대상으로 자료수집을 하였으며 측정척도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해서 인적자산, 고객관계자산, 서비스운영자산, 그리고 브랜드자산의 요인구조를 도출하였다. 요인화된 자산변수와 경영성과로서 시장경쟁력과 재무성과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의 내용을 보면 대체적으로 무형자산이 높을수록 콘도미니엄의 시장경쟁력과 재무성과가 높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재무성과에 있어서 브랜드자산과 서비스운영자산이 영향을 미치지 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숲 체험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operative Art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Happiness Fullness)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309-317
    • /
    • 2019
  • 본 연구는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S어린이집의 A반 유아 실험집단 20명과 B반 유아 통제집단 20명을 대상으로 동일연령의 환경이 비슷한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 충만감에 대해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추어 계획한 2개월간 16차시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연계활동을 주제로 실외활동을 한 후 사전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재창조능력, 인간관계, 목표달성, 통솔력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행복충만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에서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의 리더십과 행복충만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기제와 동시에 촉진요소임이 판정되었다. 이는 유아의 숲 체험 협동 미술 활동이 유아에게 놀이를 제공하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유아들의 즐거움과 행복충만감을 촉진하게 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