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on perception

검색결과 525건 처리시간 0.028초

성인남성의 건강증진행동 강화를 예측하기 위한 건강지각과 건강관심 및 건강증진행동의 구조적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perception, Health-concerned and Health promote behavior to predict Health promote behavior increasing among adult male)

  • 강현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797-2805
    • /
    • 2014
  • 본 연구는 성인남성들이 지각하는 건강지각과 건강관심 및 건강증진행동의 구조적관계를 규명하여 건강증진행동의 강화를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주1회부터 주4회 이상 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대상을 표집하고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주4회 운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주1회 참여하는 집단에 비하여 높은 건강관심과 건강증진행동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건강지각은 운동참여수준을 변별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타당하게 하는 구조방정식 분석결과에서도 건강하다고 지각하는 것은 오히려 건강증진행동을 약화시키고 특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경우 건강 증진행동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선행연구를 토대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striction Rules on Free Choice Activities at Their Classroom)

  • 원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85-493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자유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J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학급 내 자유놀이에 대한 제한 규칙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묻는 설문지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흥미영역 중 미술영역에 대한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는 세 가지 유형의 제한 규칙 중 인원수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제한 규칙의 필요 이유에 대한 교사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인원수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일부 영역으로 쏠리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였다. 시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다양한 흥미영역에서 놀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육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공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각 흥미영역 고유의 교육목표를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유아의 놀이 권리와 연계하여 자유놀이 제한 규칙의 의미와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시각장애자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초음파형 전자보행유도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Ultrasonic Electronic Travel Aid for the Blind)

  • 김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3권4호
    • /
    • pp.227-232
    • /
    • 2002
  • 시각장애인의 보행을 유도하기 위한 전자보행기로, 소닉가이드, 모와트센서, 바이오닉 지팡이 등이 개발되었으나, 가격이 비싸거나, 훈련이 어렵다는 이유 등으로 국내에서는 거의 보급되어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각에 의한 장해물을 인식 개념을 고려하여 주변의 장해물의 파악에 특별한 훈련이 필요치 않으며, 저렴한 가격의 전자보행기의 개발 을 위한 기본 연구로 시각장애인의 장해물인지특성의 검토 및 장해물 인지특성을 고려한 초음파형 전자보행유도기의 프로토콜을 통한 보행시험을 실시하였다.

  • PDF

학교 유형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요인과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Factors and Patterns Related to Stress Perception of Students from Different Types of High School)

  • 임서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98-606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 유형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인지 요인과 이에 대한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제14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 중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29,380명이다.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 있는 요인을 일반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건강상태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대상 요인에 대하여 동일 유형의 고등학교 집단 내 분석 및 집단 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집단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스트레스 인지가 높았다. 두 학교 유형에서 스트레스 인지는 다수의 공통적인 요인들과 집단 특이적 요인들이 관련되어 있었다. 공통으로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주요 요인은 우울감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 주관적 수면충족 그리고 성별 순이었다. 그러나 각각의 요인들이 스트레스 인지와 관련이 있는 양상은 학교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파악 및 중재를 위한 정책 수립에서 공통적인 스트레스 인지 관련 요인을 고려함과 동시에 각 집단의 특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반영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 및 심각성 인식에 따른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및 이용 시 정서 특성 차이 비교 (Effects of Adolescen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Pers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Irrational Perception in Smartphone Usages and Related Emotional Behavior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222-230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의존성 수준과 개인의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집단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분류된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분류된 집단에 따라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스마트폰 이용 시 정서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자료 중 청소년(만10~19세)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2,033명이었다. 분석 방법으로 ${\chi}^2$검정, 다변량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의 심각성 정도와 심각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고려했을 때, 스마트폰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038명(51.1%),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480명(23.6%),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 365명(18.0%),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 150명(7.4%)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네 집단에 포함되는 비율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이 다른 세 집단보다 올바르지 못한 스마트폰에 대한 신념 수준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높은 집단'이 '위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과 '일반사용자군이면서 과의존성에 대한 심각성 인식이 낮은 집단'보다 스마트폰 이용 시 느끼는 긍정 정서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성 특징을 이해하고, 과의존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과의존성에 대한 개인의 인식을 함께 살펴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숲체험활동의 교육적 효과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 강영식;김정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334-342
    • /
    • 2019
  • 본 연구는 자녀의 숲체험 활동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이 교육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실증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체험 운영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의 차이에 있어 숲체험 교육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고, 숲체험을 지원하는 교사의 수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지 부모의 인식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어린이집이 미세먼지가 많은 날과 날씨가 안좋은 날을 제외하고 매일 숲체험에 참여에대해 적당하다고 생각하는지에 따라 교육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고, 숲체험 장소에 따라 교육효과의 차이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하루동안 숲체험 활동하는 시간에 따른 교육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숲체험 활동에 관한 부모의 인식에 따른 소통의 차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유아의 숲체험 활동 전반에 대한 부모의 인식에 따라서 교육효과와 소통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실외야외활동에 따른 인솔 교사의 수와 미세먼지에 따른 날씨와의 연관성 및 숲체험 장소와 교육소요시간 등에서 교육적 효과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다름은 이들의 공통된 관심사항으로 유아들의 안전한 교육활동과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hina private antidesertification afforestation support project and evaluation

  • Ji, Seung-Yong;Lee, Sang-Hyuk;Lee, Oh-Kyu;Choi, Jaey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288-297
    • /
    • 2016
  •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ivate antidesertification afforestation support project' in the Kubuqi Desert through a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interviews with relevant personnel. Based on this survey, gender, age,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roj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project was evaluated based on the OECD/DAC criteria using survey resul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levant personnel. The survey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nts answered most of the questions positively, claiming that they were receiving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through the project. However, most of the participants answered negatively to questions regard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oject and relevant information.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project were not found, whereas, age and occupational differences in perception were found. Older age group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Participants in the agro-livestock industry and office workers showed higher levels of perception compared to middle/high school students, the unemployed and college students. Teenagers, in particular, showed the lowest level of perception of the project, and thus, promotional activities targeting teenager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Results of this evaluation of the project based on the OECD/DAC's five criteria (relevance, effectiveness, efficiency, impact, and sustainability) showed that the project operated effectively for the most part.

보육교사의 전문성인식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부모 협력 관계의 매개 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n Child-care Practice in Respect for Child's Rights: The Mediating Effects of Teacher-Parent Co-operation)

  • 이수영;김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5-71
    • /
    • 2024
  •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whether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impacts the performan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whether the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 mediates this associ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ere 220 teachers in Daejeon who assessed the performan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nd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s through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Results: First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and the teacher-parent cooperation relationship on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showed that each variabl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e among childcare teachers directly impacts the performance of respecting young children's rights and,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teacher-parent cooperative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To ensure high-quality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it is essential to consider not only professional perception but also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parent.

한국-우즈베키스탄 친선 한방병원 내원환자의 비만 설문 조사 (A survey on obesity conducted in the Korea-Uzbekistan friendship hospital of Korean medicine)

  • 권동현;류영진;오승윤;김호준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27
    • /
    • 2012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ethnic and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the obesity of Uzbekistan. Methods: From 139 patients, visited Korean-Uzbekistan friendship hospital of Korean Medicine, gathered the information of the sex, height, weight, ethnic group, 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self-desired weight, self-perception of weight status and experiences of weight reduction. Also patients completed the 10 questions about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disease. Results: Koreans in Uzbekistan showed a significant lower value of body mass index (BMI) and a significant higher understanding between obesity and disease than other ethics.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the obesity were not confirmed. People of Uzbekistan showed a little experience of weight reduction. Conclusions: Koreans in Uzbekistan have a different prevalence and perception of the obesity with other ethnics.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metabolic factors, and prevention programs for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re needed for the public health of Uzbekistan.

역량 중심 임상 본초학 교육을 위한 한의과대학생의 보건의료분야 국제개발협력 인식도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International Healthcare Development Cooperation of Korean Medicine Students for Competency-based Clinical Herbology Education)

  • 김현석;양운호;나창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46
    • /
    • 201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of herbology and the possibility of collaborative learning of herbology with another discipline. This study will present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to find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es and can be applied to the education of herbology. Methods : An onlin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nd sent through SurveyMonkey to 242 korean medicine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questionnaire comprised questions pertaining to herbology education in Korean Medicine universities and international healthcare cooperation educatio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ere evaluated,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wo types of questions were evaluated. Results : Among the questions about herbology education, those regarding the necessity of learning clinical cases using herbal medicines for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were scored the highest. Students were mostly interested in the effects and indications of herbal drugs. Even students answered they did not learn abou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79.85%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careers related with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or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Three types of correla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herbology education about its effects and indications needs further improvement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Furthermore, herbology can play a critical role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for Korean medicine students if a well-designed career program is developed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