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s

검색결과 1,776건 처리시간 0.024초

스포츠마케터 인재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융합형 교육과정 개발 (Developing Competency Based Integrated Curriculum for Fostering Sports Marketer in Sports Industry)

  • 김진세;안재한;김미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49-462
    • /
    • 2018
  • 이 연구는 스포츠산업 분야 인재인 스포츠마케터 양성을 위한 역량기반 융합형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심층인터뷰 및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스포츠마케터가 되기 위한 필요 역량을 도출하고 역량 프로파일을 작성한 다음 전문가 검증을 거쳐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스포츠마케터 역량모델은 경력유형별로 스포츠마케팅/PR과 스포츠이벤트로 구분하였으며 공통기본역량은 스포츠마인드 등 6개, 전문역량은 스포츠스폰서십 등 12개로 나타났다. 역량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스포츠마케터 교육과정은 스포츠산업의 이해, 스포츠마케팅커뮤니케이션, 스포츠관련 법률, 스포츠시설의 이해, 스포츠시설의 경영, 스포츠스폰서십, 스포츠미디어, 스포츠라이선싱, 스포츠에이전트, 이벤트 기획, 이벤트 운영, 제안서 작성법, 스포츠이벤트 현장실습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스포츠마케터 양성 교육과정은 스포츠산업 관련 대학, 민간교육 기관에 활용되어 스포츠산업 인재 양성 및 보급에 기여할 것이다.

치위생과 학생의 임상실습에 따른 만족도와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tisfaction and Stress Factor of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박미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43-249
    • /
    • 2006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이 현장임상실습에 따른 만족도와 스트레스요인에 관한 것을 알아보고자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의 치위생과 3학년 183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12일부터 10월 1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SPSSWIN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보통이상이 86.3%, 실습만족도는 보통이상이 75.9%, 향 후 직업만족도는 보통이상이 91.8%로 나타났다. 2. 스트레스요인으로는 이상가치영역이 $3.54{\pm}1.2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인관계영역이 $1.74{\pm}1.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살펴보면, 전공만족도는 학과선택 동기(p = 0.003), 향후 직업만족도는 학과선택 동기(p = 0.03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만족도들 간의 상관관계는 전공만족도가 높을수록 실습만족도가 높아지고 향후 직업만족도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요인으로는 역할영역,이상과 가치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Work Values on the Students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선미;김송전;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39-244
    • /
    • 2005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직업관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지역에 위치한 3개 대학 치위생과 학생 4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직업관 유형 중 보수와 명성 지향적 직업관이 4.1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부적 항목 중에서는 경제적 보상이 4.42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세부적 직업관의 유형 중 성취와 능력, 경제적 보상과 지위, 인정과 지위에 있어 특히 높은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 있어서 자아실현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치위생과 선택동기(P = .042)가, 기여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학교(P = .011), 학년(P = .023), 치과위생사 유무(P = .045), 치위생과 선택동기(P = .023)가 보수와 명성 지향적 직업관에 있어서는 학교(P = .000), 학년(P = .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와 치과위생사 이미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ofessional Attitude and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강재경;김경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3-269
    • /
    • 2006
  •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와 치과위생사에 대한의 이미지를 알아보기 위해 3개의 3년제 대학과 1개의 4년제 대학의 치위생과 1, 2, 3학년 학생 7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0.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는 3.47점,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는 3.24점으로 나타났다. 2.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는 1학년이 가장 높았고, 실습경험이 없는 사람이 있는 사람보다 높았으며, 적성에 맞는 사람, 치과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 평생직으로 생각하는 사람, 가족이나 친지에게 추천하겠다고 하는 사람, 전문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학제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3. 치과위생사에 대한 이미지는 1학년이 가장 높았고, 실습경험이 없는 사람이 있는 사람보다 높았으며, 적성에 맞는 사람, 치과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이, 평생직으로 생각하는 사람, 가족이나 친지에게 추천하겠다고 하는 사람, 전문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p < 0.05) 학제나 아르바이트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4.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문직 태도의 점수가 높을수록 치과 위생사의 이미지 점수가 높은 것으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r = 0.680).

  • PDF

치위생전공 학생의 분노표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r Expression on Self-Esteem in Dental Hygiene Students)

  • 한양금;유지수;김한홍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0-216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치위생전공 여학생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분노에 대한 감정표현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고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편의 추출된 대전광역시와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치위생과 598명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5월 20일부터 2014년 6월 5일까지 수집하였다. 자아존중감과 분노표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분노표현과 자아존중감은 부적상관관계(p<0.01)를 보였으며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괴롭힘(p<0.01), 언어 심리적 폭력(p<0.05), 따돌림(p<0.01)과도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 자아존중감의 하위영역 중 부모양육태도 및 관계(p<0.01)만이 분노표현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수들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는 학년(p=0.040), 학교 성적이 낮은 하 집단보다 상 집단(p<0.001)과, 중 집단(p=010)인 경우 분노표현의 하위영역인 괴롭힘(p=0.002), 언어 심리적 폭력(p=0.035), 따돌림(p<0.001)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9.3%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자아존중감은 분노표현과 높지는 않지만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졸업 후 다양한 대인관계, 즉 환자, 치과의사, 동료 치과위생사 및 치과관련 다양한 직종분야의 사람들과의 밀접한 관계에서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에게 개인 및 학과 또는 대학 차원에서 자신을 존중하고 타인을 배려할 수 있도록 자기계발 및 자아존중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수요자 관점에서 커피 전문점 종사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A Study on the Education Programs for Employees in Coffee Restaurants from the Employers' Viewpoint)

  • 민계홍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71-28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요자 관점의 커피 전문점 종사원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어떤 교과목을 이수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현재 커피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대학의 외식경영, 외식 서비스, 커피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를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T-test,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커피 관련 교과목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전체적으로 커피 전문점 종사원들이 인식하는 교육 교과목은 중요도 보다 수행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원가관리와 커피학 이론에서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교과목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IPA 분석에서는 I사분면은 약점 항목으로 원가 관리, 외식마케팅, 커피학 이론 과목이 해당이 된다. II 사분면은 유지 항목으로 외식 서비스, 커피 추출 실습, 에스프레소, 카페라테와 카푸치노, 라떼아트 과목이 해당된다. III사분면은 필요성이 결여되는 과목들로 외식경영, 외식 프렌차이즈, 서비스 실무 영어, 커피 로스팅 과목이 해당된다. IV사분면은 중요도는 낮으나 수행도가 높은 과목들로 산업체 현장 실습 과목이 해당된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선행 연구의 부족으로 인하여 커피 전문점 종사원의 특징적인 요소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설문지역을 수도권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표본이 전체 커피 전문점을 대표했다고 할 수가 없다고 생각된다.

  • PDF

운전재활에 대한 부산 경남지방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Study on the Degree of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Driving Rehabilitation of the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Busan and Gyeongnam)

  • 송민옥;장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5-95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도 및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알아보고,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경남, 부산 지역의 전문대학 작업치료과 학생 317명이었다. 설문지는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15개 문항과,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관련 9개 문항 그리고 대상자 특성에 관한 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배부 및 회수 기간은 2013년 5월 12일부터 6월 20일었다. 결과 : 운전재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3명(23.1%)였으며, 직접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은 47명(14.8%)였다. 운전재활을 알게 된 경로 및 경험한 경로는 모두 학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운전재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운전재활 전문가 및 운전재활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운전재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운전재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인식도와 요구도에 대한 학년별 차이에서는 3학년이 1,2학년보다 인식도와 요구도가 높고, 학교별로 A학교가 C, D학교보다 유의하게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결론 : 운전재활분야에서 작업치료사들의 영역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를 담당하게 될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정규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PDF

치기공과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제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students' stress in dental laboratory college - focusing in Daegu and Jeju -)

  • 김정숙;정효경;박남규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1-1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roject is to assess students' stress during clinical rotation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enhancing professional skills as well as the quality of clinical rotations among the students of dental technology. The participants included 200 sophomores and juniors from dental laboratory college located in Daegu and Jeju. Data was collected December 7, 2007, and March 7, 2008, by survey samplings. A total of 185 completed survey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When age and stres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younger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stress related to their environment, role, and activities. Regarding grade level and stress, students in lower levels were slightly (p<.01) more likely to have stress (Sophomore =2.91, junior =2.49). When the stress level was compared with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 less students were satisfied, the higher their level of stress was. The study found a slight (p<.05) difference between groups [satisfaction group (M=2.44), group in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M=2.58), and dissatisfaction (M=2.8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major and overall stress. Again, it appears that stress levels increase as satisfaction with the chosen major decreases. Third, the intensity of stress was affect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practiced, classmate relationships, roles, goals and values, and activities, and areas of performance. It showed that the groups unsatisfied and in-between with the quality of practice have more intensified stress than the group with satisfaction. The study showed a slight (p<.01) difference amongst groups [(satisfaction group (M=2.17), group in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M=2.68), and dissatisfaction (M=2.96))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quality of the clinical rotation and overall stress. It appeared that higher levels of stress were seen with lower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verall, students' level of stress was correlated with age and grade level,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major and the quality of the clinical rotation. Furthermore, schools need to focus on improving the environment where students practice, classmate relationships, roles, goals and values, and activities, and areas of performance. Dental laboratory colleges should concentrate on the basic case with the quality of clinical rotation and the chosen major. More skillful teaching and properly assigned clinical rotations and classes, along with a strong practical knowledge base applicable to clinical rotations will be needed in order to address these sources of dissatisfaction.

  • PDF

한국노인의 건강상태에 대한 조사연구 (Health Status of Elderly Persons in Korea)

  • 최영희;김문실;변영순;원종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7-323
    • /
    • 1990
  • This Study was done to design and test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including physical, psychologyical and social dimens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July 18 to August 17, 1990. Subjects were 412 older persons in Korea. A convenience sample was used but the place of residence was stratified into large, medium and small city and rural areas. Participants located in Sudaemun-Gu, Mapo-Gu, and Kangnam-Gu, Seoul were interviewed by brained nursing students, and those in Chungju, Jonju, Chuncheon, and Jinju by professors of nursing colleges. Rural residents were interviewed by community health practioners working in Kungsang-Buk-Do, Kyngsang- Nam - Bo, Jonla Buk -Do, and Kyung Ki- Do. The tool developed for this study was a 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and then test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tool contained 20 physical health status items, 17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items and 38 social health status items. Physic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 to six factors such as personal hygiene, activity, home management, digestive, sexual, sensory, and climination functions.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to two factors, mental health and emotional health. Social health status items clustered into seven factors, grandparent, parent, spouse, friend, kinships, group member and religious role functions. Data analysis included percentage, average, S.D., t-test and ANOV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 1. The tool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developed for this research had a relatively high reliavility indicated by a cronbach=0.97793. 2. Average score of the subjects physical health status was 4, 054 in a 5 point likert scale,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was 3.803, social health status was 2.939 and the total average was 3.521. The social status of the subjects was the lowest and the next was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 physical health status was the highest. 3.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health status, the amount of pocket money were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and family structure was related mental-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health status. Occupation was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status. Area of residence was related to metal-emotional and social status. Source of living in the expeneses was related to physical and mental-emotional health status marital status to mental-emotional and social health status, and the number living in the home physical health status and religion to social health status. The following conciusions were derived from the above results ; 1. The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was relatively sound but social health status was the most vulnerable. The Social activity for Korean elderly is needed to improve social health. 2. Educational background,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 amount of pocket money must be considered in the health assessment criteria of the elderly, Family structure, marial status, occupation, residence variables and sources of living expense must also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3. A healt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 elderly, and provision of an occupational socioeconomic welfare policy will be useful in order to increase social health status of Korean elderly.

  • PDF

의료기관과 심사기관의 심사업무인식도 비교연구 - 종합병원 청구직원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사직원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Review Work of Medical Institutions and Review Institutions - Focusing on Insurance Claim Officers at General Hospitals and Review Officers at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

  • 이수연;하호욱;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71-97
    • /
    • 2004
  •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awareness level of review standards, continuing education, and awareness about the need for speciality and educational courses in order to improve quality of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work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policies of personnel development and continuing education to smoothly perform hospital's insurance claim work and Agency's review work. The analysis unit of the study is individuals, and survey was conducted among hospital's claim officers and Agency' review officers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hospital's claim officers and Agency's review officers have conflicting awareness about review standards; more Agency's review officers think that current review standards are universal and reasonable, while more hospital's claim officers believe that they need to be revised. Especially, hospital's claim officers replied that it is possible that review results can differ according to government's policie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pinion that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awareness level of review standard. In particular, both groups share the opinion that review results can differ according to officer's interpretation of review standards. Third, Both review officer groups feel the need for further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Fourth,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opinion that both groups members should be educated in review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while 81.5% of Agency's review officers the education should be offered at the Agency, only 45.2% of hospital's claim officers agreed to it. Fifth, both review personnel do not show any difference in awareness of needed experience to successfully perform review work; both groups replied that three to four years experience is necessary to smoothly perform claim work and review work. This study was tried in order to search for directions to improve Korean insurance review work in quality rather than to explore characteristics themselves of individual factors. In this sense, this study presupposed an intention that the educational subjects for further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two groups should be the same in order to narrow the awareness gap between hospital's claim officers and Agency's review officer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desirable to offer beginner courses at junior colleges or in undergraduate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i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for six to twelve months. In that a comparison of awareness level of hospital's claim officers and Agency's review officers who are actually in practice should precede appropriate presentation of directions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insurance review work in Kore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awareness level of hospital's claim officers and Agency's review officers and in presenting the establishment of future further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