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ollege math

Search Result 17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대학수학 수업에서의 유아 수학교육 -교양수학 과목 개발을 위한- (Infant Math Education at College Math Classes -for developing general mathematics subject-)

  • 김병무;박재명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3호
    • /
    • pp.337-352
    • /
    • 2003
  •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ways to enhance students' interest in infant math education. Firstly, we explain to the stud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infant math skills and the college math contents. Next, the students practiced the subject about the infant education and the infant math education in real environment. Finally, the results of the practice are analyzed. From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the students got good experiences in infant math education activities and had the chance to change their mind in affirmative way for the infant math education and mathematics itself through performing given projects and investigations.

  • PDF

대학수학 학습에 필요한 요인 분석과 학습지도 (The Analysis on the Necessary Factors for College Mathematics Learning and Its Implication on the Mathematics Education)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15-230
    • /
    • 2006
  • 대학수학 학습에 필요한 성공요인, 실패요인에 대한 조사와 수학과 컴퓨터에 대한 태도검사를 학생들에게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한 다음 외국학생들에 대한 연구결과와 비교해보고 학습지도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학기초나 수업을 시작할 때 수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구체적으로 학교 수준에 맞는 성공, 실패 항목을 지적하고 필요한 대책을 강구하며 컴퓨터의 도움이 수학학습에 필요하므로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실습실을 만들어 주고 소프트웨어도 지원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당국에 협조를 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 PDF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of Mathematics

  • Trance, Naci John C.;Marapo, Roger B.;Pornel, Jonny B.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8-1332
    • /
    • 2012
  • This paper takes another approach in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Instead of asking for verbal description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we asked the respondents who were all college students to draw their perception of mathematics.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enabled students to take a second look of how they perceived math and, at the same time, explored students' creativity and provided a less austere appearance to mathematics which was taken usually in a more formal and severe manner. This approach of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 of mathematics generated new information that could not be normally gleaned from other approaches like Likert Scale. Some drawings of mathematics of the respondents reinforced their math affect towards mathematics. For those who hated math, their drawings revealed so the same is true with those who loved mathematics. Examini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mathematics and looking for commonalities, the researcher found a number of interesting themes that may shed some light to educato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 affect.

MV -Algebras of Continuous Functions and l-Monoids

  • Choe, Tae-Ho;Kim, Eun-Sup;Kim, Myeong-Og;Park, Young-Soo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8권3호
    • /
    • pp.487-493
    • /
    • 2008
  • A. Di Nola & S.Sessa [8] showed that two compact spaces X and Y are homeomorphic iff the MV -algebras C(X, I) and C(Y, I) of continuous functions defined on X and Y respectively are isomorphic. And they proved that A is a semisimple MV -algebra iff A is a subalgebra of C(X) for some compact Hausdorff space X. In this paper, firstly by use of functorial argument, we show these characterization theorems. Furthermore we obtain some other functorial results between topological spaces and MV -algebras. Secondly as a classical problem, we find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n a given residuated l-monoid that it is segmenently embedded into an l-group with order unit.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 (Toward Self-Directed Math Learning in College Math Classes)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63-585
    • /
    • 2010
  • 대학수학교육에서 학생들이 자기주도 수학학습방법을 깨우쳐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자기주도 수학학습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위한 연구욕구를 진단할 수 있는 내재적, 외재적 동기와 집중능력,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있으며, 학습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목표세우기와 계획능력이 있다. 그리고 인적 물적인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집중능력, 습관, 스트레스, 수학적 가치, 자기주도능력이 필요하고 학습전략의 선정과 실천을 위해서는 필기, 예습과 복습, 시간관리, 시험관리에 대한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수학에서 자기주도 수학학습에 필요한 요인과 Knowles(1975)의 자기 주도적 학습 5단계모형인 학습욕구 진단, 학습목표 설정, 학습을 위한 인적 및 물적 자원 파악, 적절한 학습전략 선정 및 이행, 학습 결과 평가를 수정 보완하여 자기주도수학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대학수학클리닉의 필요성과 운영 방안예 대한 연구 (I)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

  • 김병무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9권2호
    • /
    • pp.187-19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ain the necessity and operation method of college mathematics clinic, investigating the reason why college students like and dislike mathematics. It is difficult for each professor alone to operate college mathematics clinic without students\` helping. They need to work together. For mathematics clinic operation, the following will be practiced: 1) make use of math-class, 2) help of math-club, 3) make internet homepage, 4) use of university institution and laboratory.

  • PDF

예비 중등수학교사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련한 신념 분석연구 (An Analytic Study of Beliefs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 강옥기;한신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81-393
    • /
    • 2007
  • 본 연구는 수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전후 학생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의 수학 및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의 변화 또는 차이를 살펴보고, 수학교육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수학교육과 1, 4학년 학생들을 각각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인식, 학습방법, 교과지도방법, 교사의 역할과 자격의 네 가지 신념 영역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1학년 집단보다는 4학년 집단이 수학 및 수학교육에 관한 신념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학이란 학문에 대한 영역보다 수학교육적 측면에서의 두 집단 간 신념의 차이가 두드러져, 교사양성 교육과정에서의 '수학교육'이 학생에게 미치는 신념의 변화가 얼마나 중대한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두 집단간 차이의 원인은 문제해결학습, 현실에 근거한 교육, 교재연구 및 실습, 수학원리 체득 등의 다양한 교육활동을 4년간 수행한 결과에 기인된 것으로 간주된다.

  • PDF

대학수학교육에서의 챗GPT 활용과 사례 (Use of ChatGPT i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 이상구;박도영;이재윤;임동선;이재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123-138
    • /
    • 2024
  • 본 연구는 S대학 <인공지능을 위한 기초수학[Math4AI]> 강좌의 교수·학습과정에서 맞춤형 챗GPT를 개발하여 활용한 경험을 공유한다. 연구진은 ① 먼저 강좌 맞춤형 챗GPT (https://math4ai.solgitmath.com/)를 개발하였다. 이때 챗GPT가 부정확한 정보를 주지 않도록 수년간의 해당 강좌 주요 데이터(교재, 실습실, 토론 기록, 코드 등)를 우선적으로 학습하는 챗GPT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② 학생들이 교재를 스스로 학습하다 궁금한 부분이 생기면, 맞춤형 챗GPT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연어로 수학 용어, 정리, 예제, 열린 문제 번호, 핵심어 등을 질문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면 챗GPT는 관련된 주요 문제나 용어, 그리고 이전 학생들의 토론에 기반한 몇 가지 샘플 답안 또는 토론 내용과 함께 사용되었던 코드 샘플을 제공한다. ③ 학생들이 챗GPT를 통해 얻은 내용을 스스로 윤문하여 공유하고, 상호 토론하면서, 교재에서 제시하는 주요 개념과 열린 문제의 대부분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④ 학기 말에는 그간 본인이 얻은 열린 문제들에 대한 학습기록을 모아 PBL (Problem-Based Learning) 보고서로 제출하고, 발표하여 강좌를 수료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학생들이 학습을 포기하지 않고 한 단계 앞으로 더 나아갈 추진력과 동기를 주며, 궁극적으로 각각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자기 주도적 학습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학생들 각자의 수준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최적화된 조언을 제시하므로 강좌뿐만 아니라 대학수학교육 전반에 대한 학생별 맞춤형 교육(personalized education)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이 담당교수(또는 조교)와 AI 조교의 도움으로 실시간 답변과 효과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이는 양질의 조교 부족에 대한 고민을 추가 비용 없이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좌의 교수·학습과정에 교재 맞춤형 챗GPT를 접목한 것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을 기타 대학수학 과목들(미적분학, 선형대수학, 이산수학, 공학수학, 기초통계학 등)과 초·중·고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AI 기술을 적용하여 이전 수강생들의 학습기록(열린 문제 풀이, 토론 자료, 코드 등)을 참고하며, 각자 실습한 결과를 공유 및 상호 토론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내용을 더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본인 전공 관련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획기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교재 맞춤형 챗GPT와 함께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경험토록 하는 교수학습 방법은 평생 교육(lifelong learning, extension school, extension college, extended college) 또는 평생학습의 관점에서 중요하다.

컴퓨터 대수 시스템 기반의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 개발과 형성 평가 (Development and Formative Evaluation of Web-based Contents for Engineering Mathematics Based on a Computer Algebra System)

  • 전영국;김진영;권순걸;허희옥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7-4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동기유발과 수학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기반 학습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Mathematica와 웹 연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webMathematica를 사용하여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미적분학습용 웹 콘텐츠 시스템인 MathBooster를 제작하였다.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웹 콘텐츠의 구성은 먼저 미적분의 개념을 그래프와 같은 시각화한 그림을 사용함으로써 흥미와 동기의 유발, 그리고 개념 형성을 위해 요소 지식에 관련된 내용을 수식과 텍스트로 제시하였다. 또한 단계별 풀이과정이 제시되는 예제를 제공하여 개념의 이해를 통한 응용력을 배양하도록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학습자의 이해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퀴즈를 제공하였으며 베이지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퀴즈 풀이 결과에 따라 해당 콘텐츠에 대한 학습의 이해 정도를 진단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이공계 수학용 웹 콘텐츠의 형성평가를 위하여 MathBooster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화면구성의 적절성, 실습하기 모드의 만족도, 퀴즈, 진단결과, 피드백 만족도 등의 네 영역으로 구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MathBooster의 실습을 마친 이공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영역별로 통계 처리한 결과 MathBooster 사용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에 따라 향후 시스템을 수정보완 할 과제를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