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ege admission system in Korea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6초

캐나다 퀘벡주 대입제도의 특징 및 시사점 분석 (Investigation on the Main Features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the Province of Quebec, Canada)

  • 최영준;박성만;임희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8-135
    • /
    • 2021
  • 한국의 대학입시제도는 입학사정관전형에서 학생부종합전형으로 명칭을 바꾸고 학생선발방법의 한 형태로 안정된 시행을 보이고 있으나 교과 성적 외에 비교과 영역의 평가에 대한 공정성 논란은 시행 초반부터 현재까지 진행 중이다. 현재 시행중인 대학입시제도가 우리의 교육 환경에 적합한가를 비롯해 교육 환경 개선에 대한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반면, 캐나다는 대학입시제도가 국민들의 주요 화두에 오르지는 않는다. 캐나다는 대학 간의 교육에 대한 전국적인 질적 수준의 보편성을 강조하며 대학입시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의 교육체계와 대학입시제도의 특징을 캐나다에서 가장 높은 고등교육 이수율을 보이고 있는 퀘벡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퀘벡주의 전반적인 교육제도 및 목적, 주요 대학의 실제적인 대학입시제도 분석을 통해 우리의 대학입시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농수산대학 입학사정관제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Admission Officer System)

  • 권영휴;서규선;김근영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2권1호
    • /
    • pp.95-104
    • /
    • 2010
  •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of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does the school life records (50%), a engaging in agriculture and fishery base (33.3%) and an interview (16.7%) with typical element and selects the freshmen. The system of admission officer the instance of domestic and the foreign nation university is suitable in founding goal of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agriculture and fishery manager education. Also the selection of the well rounded student there is character and an aptitude to agriculture and fishery is possible. Also the agriculture and fishery high school curriculum and connectedness of our college between could be strengthened. Consequently the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as investigated with the fact tha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necessary

대학입시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근거이론적 접근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toward the Fairness of Korean College Admission System: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최정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562-573
    • /
    • 2016
  • 우리나라의 대학입시제도가 근래 다양화되면서 제도의 공정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어오고 있다. 대학입시의 공정성에 대한 선행연구는 일반적인 정책대안 혹은 교사집단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이 연구는 대학입시제도의 가장 직접적인 당사자라고 할 수 있는 학생들이 대학입학전형제도의 공정성에 대해 느끼는 인식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대학생 11명의 인터뷰자료를 이용하여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수능시험위주에서 벗어난 대입전형의 다양화과정에서 일어난 잦은 제도의 변경이며, 중심현상은 절차적 측면과 분배적 측면에서의 근본적인 대입제도의 불공정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맥락적 조건으로는 서울과 지방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 대학입학에 관한 정보와 인프라의 격차로 분석되었으며 중재적 조건으로는 정보화기술의 발전과 개인 혹은 집단 차원의 노력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은 대학입학전형의 불공정성이 일회적 처방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회구조적인 문제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입학사정관 심사시간과 전형효과에 대한 동태적 분석 (A Dynamic Analysis on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Review Tim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 전재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3-123
    • /
    • 2012
  •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how the amount of review time per applicant to a college admission officer system is connect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selected students after they enter the college. About five years ago, college admission officers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Korea as a government policy. Thus, for most Korean college, there is not enough number of admission officers, while it takes substantial time to find out whether an applicant has potential ability or not. Thus, it is required to find out some policy alternatives to solve this discrepancy. In this paper, a simulation model is built using System Dynamics theory and simula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nt of review time and the performance of the selected students. Finally, some implications and policy suggestions are derived from the simulation results.

한국의 의료기관 외래진료 민감질환 입원율: 의료이용 효율성 지표로의 활용 가능성? (Hospital Admission Rates for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in South Korea: Could It Be Used as an Indicator for Measuring Efficiency of Healthcare Utilization?)

  • 정건작;김진경;강혜영;신의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1
    • /
    • 2016
  • Background: Hospital admissions for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ACSCs), which are widely used as an indicator of poor access to primary care, can be used as an efficiency indicator of healthcare use in countries providing good access to health care. Korea, which has a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system and a good supply of health care resources, is one such country. To quantify admission rates of ACSC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influencing variation in Korean health care institutions. Methods: By using NHI claims data, we computed the mean ACSC admission rate for all institutions with ACSC admissions. Results: The average ACSC admission rate for 4,461 institutions was 1.45%. Hospitals and clinics with inpatient beds showed larger variations in the ACSC admission rate (0%-87.9% and 0%-99.6%, respectively) and a higher coefficient of variation (7.96 and 2.29) than general/tertiary care hospitals (0%-19.1%, 0.85).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ACSC admission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hospitals than for clinics (${\beta}=0.986$, p<0.05), and for private corporate institutions than public institutions (${\beta}=0.271$, p<0.05). Conclusion: Substantial variations in ACSC admission rates could suggest the potential problem of inefficient use of healthcare resources. Since hospitals and private corporate institutions tend to increase ACSC admission rates, future health policy should focus on these types of institutions.

대학 입학전형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대전 H 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Decision of Admissions in University -Daejeon H University Case)

  • 최윤희;임준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1-62
    • /
    • 2021
  • 본 연구는 H 대학의 입학전형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의 경향성을 비교해보았다. 연구대상은 H 대학교 재학생 3,025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별로 H 대학 선택영향 요인들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입학전형별로 GPA에는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들이 상승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들의 대학만족도와 전공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부 종합전형 학생들은 대학교육 성과에 대해서도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H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에서 학생들의 미래 학업적 성장 가능성을 잘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H 대학에서는 정시보다는 학생부 종합전형 위주의 수시전형 확대가 적합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생의 대학적응과 진로에 관한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Adaptation and Career of College Students Chosen by Admissions Officers System)

  • 김헌주;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69-178
    • /
    • 2017
  • 이 논문에서 우리는 입학사정관제가 잘 정착되어지고 있는지를 알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입학사정관제도와 기존의 입학제도로 입학한 학생들 사이에 학교생활 만족도, 학업성취도, 졸업 후 진로의 세 가지 영역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으로 졸업한 09학번과 10학번들 중에서 세가지 영역에 대한 자료를 모두 가지고 있는 404명을 대상으로 평균차이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학사정관제로 입학한 학생들은 세 가지 영역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졸업 후 진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성취도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입학사정관제 선발 유무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부터 입학사정관제 선도대학으로 선정되어 지속적으로 시행한 H대학이 그동안 입학사정관 제도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켰다고 볼 수 있다.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Do students selected by specially trained admission officers show better performance in college?)

  • 최석준;김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220-4227
    • /
    • 2010
  • 최근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대두되고 있으나, 입학사정관제로 뽑힌 학생들의 대학 입학 후 학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해 서울 시내 한 대학의 협조로 그 대학의 2009년 입학생 데이터를 이용해 입학사정관 입학생과 일반전형 입학생 간의 입학당시 성적과 입학후 1년간의 학업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주안점이 밝혀졌다. 입학당시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은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해 뚜렷하게 떨어지는 학업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입학후 1년간의 평균학점 분석에서 두 전형 입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입학사정관제가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토픽 분석을 이용한 학생부종합전형의 쟁점 분석 (Issue analysis of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using topic analysis)

  • 홍영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32권3호
    • /
    • pp.423-434
    • /
    • 2019
  • 지난 2018년, 우리사회를 뜨겁게 달구었던 이슈 중 하나로 대입제도 개편에 관한 논쟁을 꼽을 수 있겠다. 그 중에서도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쟁점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감시와 비판이라는 언론의 기능에 주목하여 관련 뉴스 기사에 대한 토픽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수능체제 개편 논의가 비중있는 주제로 등장하여 수능시험에 대한 한국 사회의 민감성을 보여 주었다. 학생부종합전형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주제로는 학생부종합전형의 세부적인 선발 요소에 대한 논의가 등장하였고, 대입전형의 공정성에 관한 논의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와 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J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chool-Record Focused Selection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 이제영;백광호;백민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74-38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 요소와 기준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생 역량을 보다 공정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대입 전형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고등학교 교사 102명과 고등학생 자녀를 갖고 있는 68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는 J대학의 학생종합전형 기준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크게 '서류평가', '면접평가', '기초설문'의 3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학생생활기록부 중심의 학생부종합전형이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대입전형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인성, 적성, 잠재력 모두 서류 평가와 면접 평가에서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활성화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이 계속 유지되어야 하나 해당 전형의 공정성 확보가 선행되어야 함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입 전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