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o students selected by specially trained admission officers show better performance in college?

입학사정관제 전형 입학자와 수능중심 전형 입학자간의 학업성취도 비교분석

  • 최석준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 김병수 (서울시립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10.10.12
  • Accepted : 2010.11.19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arguments about the admission officers system, but the majority of researches about admission officer has not focused student performance. We compared learning performances of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s and students selected by standardized test. We checked the marks of students at college entrance point and the average grade for their freshman year. Analyzing the data, we got two major findings. At the point of entrance, the students selected by admission officers had less performances. But the analysis of average grade for 1 yea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f students.

최근 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여러 가지 논의가 대두되고 있으나, 입학사정관제로 뽑힌 학생들의 대학 입학 후 학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이 주제에 대해 서울 시내 한 대학의 협조로 그 대학의 2009년 입학생 데이터를 이용해 입학사정관 입학생과 일반전형 입학생 간의 입학당시 성적과 입학후 1년간의 학업성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해당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두 가지 주안점이 밝혀졌다. 입학당시 입학사정관 전형 입학생은 일반전형 입학생에 비해 뚜렷하게 떨어지는 학업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입학후 1년간의 평균학점 분석에서 두 전형 입학생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입학사정관제가 잠재력 있는 학생을 선발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범, "미국과 일본대학의 입학사정관제 운영사례와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9(3): 79-106, 2009.
  2. 김상신,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의 기업자체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효과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경제학과 석사학위 논문, 2008.
  3. 김수연.김시라, "입학사정관 평가를 위한 학교생활 기록부 정성적 평가 모형 탐색" [인문사회과학연구], 23: 35-59, 2009.
  4. 김승태, "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성과 평가" [국가정책연구], 23(4): 169-196, 2009a.
  5. 김승태, "입학사정관제도와 사교육의 연관성에 관한 소고",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7권 1호, pp. 237-264, 2010.
  6. 김택형.양성관.문성빈, "한국과 미국의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프로그램 비교연구" [비교교육연구], 19(3): 107-134, 2009.
  7. 남보우, "대학 전형계획 평가방법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7.
  8. 박선영.박남기, "일본의 대학입시와 입학사정관제도" [비교교육연구], 18(3): 207-230, 2008.
  9. 박혜림, "대학입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발전방안" [교육방법연구], 21(1): 21-46, 2009.
  10. 반재천.김 선, "입학사정관제에서의 의사결정의 정확률 및 성공비율 추정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적용" [교육평가연구], 22(2): 429-450, 2009.
  11. 손희권.주휘정, "신문이 제시한 대학입학사정관제 개선방안의 비판적 고찰" [교육문제연구], 34: 1-24, 2009.
  12. 안선회.정일환.주동범, "입학사정관제의 합리적 정착을 위한 사교육비 경감 방안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제16집 2호, pp. 7-33, 2009.
  13. 양성관.정일환, "미국 대학입학제도의 전형자료, 입학사정관제도 및 기여입학제도 분석: 개별적 검토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17(3): 167-190, 2007.
  14. 유현주, 역할에 기초한 입학사정관 전문성 훈련 프로그램. [한국교육논단], 8(2): 131-153, 2009.
  15. 이윤미, "입학사정관제도 확대를 우려하며" [우리교육], 8, 2009.
  16. 정일환.김병주, "미국대학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사례와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18(4): 113-139, 2008.
  17. 최석준, 김상신,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 효과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0,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200
  18. 최석준, 서영웅, "조세감면이 기업의 R&D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1,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9.3223
  19. Heckman, Jamesj, Ichimura Hidehiko, Todd Petra, "Matching as an Econometric Evaluation Estimator", Review of Economics Studies, 65, 261-294, 1998. https://doi.org/10.1111/1467-937X.00044
  20. Heckman, Jamesj, Ichimura Hidehiko, Smith Jeffrey, Todd Petra, "Characterizing Selection Bias Using Ecperimental Data", Econometrica, 66, 1017-1098, 1998. https://doi.org/10.2307/2999630
  21. Rosenbaum Paul, Rubin Donald,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1), 41-55, 1983. https://doi.org/10.1093/biomet/70.1.41
  22.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사정관제 웹진 http://unibook.gouni.co.kr/univ/uos/20100826/test.html
  23.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입학사정관제 홈페이지 http://uao.kcue.or.kr/info/aos_history.jsp 입학사정관제 발자취
  24. 입시뉴스 http://www.ipsinews.com/detail.php?number=2157&thread=22r01 2011 대학별 입학사정관제 실시현황
  25.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사정관제 전형 효과 평가 방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입학관리본부, 2009
  26. "서울시립대학교 입학전형 효과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입학관리본부,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