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2.374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School-Record Focused Selection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J University  

Lee, Je-Young (전주대학교 영어교육과)
Baek, Kwang-ho (전주대학교 한문교육과)
Baek, Min-kyung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high school teachers' and parents'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criteria and standard of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college admission systems in order to measure student competencies more fairly and accurately. To this end, 102 high school teachers and 68 parents with high school children nationwide were surveyed online.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produced based on the student screening criteria of J university and consisted largely of the following three areas: 'document evaluation', 'interview evaluation', and 'demographic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teachers and parents said that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is a college admission format that can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both teachers and parents responded that personality, aptitude and potential are all important factors in document evaluation and interview evaluation. Third,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s should continue to be maintained in order to promot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but securing fairness in the admission process should precede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Keywords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College Admission System; Document Evaluation; Interview Evaluati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15.
2 강기수, 박소영,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8권, 제3호, pp.49-76, 2017.
3 공자원, 박은아, 이지연, "K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수도권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입학전형연구, 제6권, pp.219-252, 2018.
4 류성창, 이윤옥, "고등학교 유형별 교육과정 분석 및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대학 입시전형 실무자들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 제36권, 제3호, pp.133-159, 2018.
5 차정민, 학생부종합전형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6.
6 김순찬, "입학사정관제 도입과 진로진학상담교사의 역할," 교육제주, 제155권, pp.62-69, 2012.
7 오성근, 입학사정관제 도입 성과와 발전 방안,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1.
8 김한솔, "학생부종합전형 공정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방안: 비평준화지역 일반계고등학교에 과한 질적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9권, 제1호, pp.53-77, 2019.
9 이광현, "학생부종합전형의 쟁점분석과 대입제도 개선방안," 교육사회학연구, 제28권, 제3호, pp.57-95, 2018.
10 김평원, "대입 제도의 공정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학생부종합전형의 개선 방안 연구," 교육문화연구, 제24권, 제3호, pp.105-126, 2018.
11 이미경, 오희정, "대입전형의 정성적 평가 타당성에 대한 사례분석(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평가와 관련하여," 입학전형연구, 제4권, pp.1-22, 2015.
12 박찬호, 이진희,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입학사정관 및 고등학교 교사의 경험 및 공정성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 한국사회과학연구, 제8권, pp.151-193, 2018.
13 한우석, 강경희, 김진경, 이혜경,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 면접전형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0권, 제1호, pp.391-398, 2012.   DOI
14 윤소정, 전보라, 김희용, "국내 대학 입학사정관제의 공정성 실태와 확보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7권, 제1호, pp.74-82, 2015.   DOI
15 김보경, 최지은, 유평수, "대입전형이 고등학교 교육과정 정상화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제13권, 제1호, pp.93-119, 2015.
16 허정은, 원효언, "학생부종합전형에 따른 고교 교육의 변화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804-812, 2015.   DOI
17 문윤지, 김진, "학생부종합전형이 사교육 경감에 미치는 영향: P사립대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12권, pp.117-144, 2018.
18 안선회,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주장의 실제적 타당성 분석: 대학입학전형제도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1권, 제6호, pp.36-69, 2015.
19 김회용, "공정성 개념 분서과 대하입학사정관 전형의 공정성 확보 방안," 교육사상연구, 제25권, 제1호, pp.21-50, 2011.
20 이수정, 조원기,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7권, 제3호, pp.125-150, 2014.   DOI
21 이종학, 김유영, 윤마병, "예비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통한 교육대학 입학과 사교육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132-143, 2019.   DOI
22 백민경, 백광호, 이제영,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 입시 방향 연구: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422-434, 2020.   DOI
23 최정묵, "대학입시제도의 공정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2호, pp.562-573, 201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