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aborative Classes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8초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for Competency Instruction Strategy Using Science Reading Text on Elementary Sch ool Students' Science Reading Ability)

  • 박지훈;전재경;이수진;남정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42-657
    • /
    • 2022
  • 이 연구는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으로 실험집단은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에 바탕을 둔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과학 읽기 능력 검사지, 모둠별 논의과정 녹음본과 수업 녹화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읽기 자료를 이용한 협력적 문제해결 중심 과학 수업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과학 읽기 능력 검사 결과, 총점 및 3개 하위 요소 모두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높은 수준의 인지 과정에 속하는 '성찰 및 평가'와 '통합 및 해석'이 큰 비율로 증가하였다. 학생들은 이 수업에서 교사가 제시한 자료를 읽고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논의에 참여하며, 읽은 내용과 읽기 과정에 대한 반성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의 과학 읽기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

NMR Techniques for the Structure Elucidation and Conformational Analysis of Natural Products

  • Cordell, Geoffrey A.
    • 생약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53-169
    • /
    • 1988
  • The combined use of the J-modulated selective INEPT and CSCM 1DNMR techniques is described for the structure elucidation of several new classes of compound including prionitin, the loureirins and larreantin, and for the regiosubstitution of the furanonaphthoquinones. Spectroscopic studies on the conformation of the cytotoxic agent savinin are also described, together with the NMR assignments and preliminary biosynthetic experiments on the antitumor antibiotic staurosporine.

  • PDF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효과적인 협력 학습을 위한 위키의 활용 (Attitudes of Students towards Group Projects and Use of Wiki for Effective Collaborative Learning)

  • 박성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99-41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협력학습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서울 소재 한 대학에서 진행된 네 과목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협력학습보다는 개별학습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선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발견되었지만 대부분 협력학습의 문제점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학습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조원들 간의 친밀성이 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덧붙여, 협력학습을 돕기 위해 사용된 웹 2.0 도구중의 하나인 위키는 공개성과 수정가능성, 효과성의 측면에서 유용한 도구로 인식되었다.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효과적인 협력학습을 위해 (1) 조원평가, 자기평가를 통해 무임승차 문제 해소, (2) 조원 간의 친밀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 (3) 위키의 적극적인 활용이 제안되었다.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메타버스 기반 협력적 소통 SW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SW Education based on Metaverse Platform)

  • 손정명;이시훈;한정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11-22
    • /
    • 2022
  • 비대면 수업을 통한 블렌디드 러닝과 인공지능 융합 교육으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는 교육환경은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기초소양으로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을 보완하며 등장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디지털 문해력을 기르기 위한 협동 SW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미래 역량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의사소통 및 협업의 기회가 적은 소인수 학습 간 클러스터를 구축하여 메타버스 안에서 협력적 의사소통을 기반으로 한 SW 교육을 진행하는 방법으로 총 20차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미래 교육 역량으로 제시되는 4C 역량을 효과성 도구로 선정하여 집단 동질성 검사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 기반 협동 SW 교육 프로그램은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나서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SW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문제중심학습(PBL)이 치위생학 전공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elf-efficacy of Dental Hygiene Major Students)

  • 이영수;심현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78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was purpos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classes and to derive class improvement plans. Methods :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8 students who took the 4th grade clinical dental hygiene course at S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nam-do of South Korea in 2021. A single-group pre and post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whether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search variable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to which problem-based learning was applied. A paired-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collected data of 46 respondents. Results : As a resul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problem clarification, cause analysis, and alternative development among the five sub-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class positively affects dental hygiene major students' ability to clarify problems, the ability to analyze causes to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and the ability to develop alternatives to make decisions, thereby improving overall problem-solving abilities. However, the improved post-sco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lanning/execu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remaining two subdomains. In addition, post-scores of the leader aspect, opinion exchange, opinion evaluation, and opinion integration, which are sub-domains of collaborative self-efficacy, all showed great statistical significance. Problem-based learning improved the collaborative efficacy of dental hygiene major students overall by positively influencing the ability to lead a team, exchange and evaluate each other's views, and constructively integrate different views.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both the subject's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operation efficiency improved under the influence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other hand,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he future class such as the necessity of supplementing strategies to promote planning and execution ability for problem solving, and ability to evaluate problem solving performance was suggested.

PBL과 협력적 교수법을 적용한 융합 교과목 개발 (Developing a convergence cours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and collaborative teaching methods)

  • 이명희;김정미;백경자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3호
    • /
    • pp.334-344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new convergence course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PBL) and collaborative teaching methods and identify its educational effects. The course development proceeded as follows: First, three instructors collaborated to define course goals, plan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and create a syllabus for a PBL-based fashion studio course. Roles were divided to maximize expertise: one instructor focused on fashion design, another on three-dimensional cutting, and the third on flat cutting, and digital techniques. Second, the classes were conducted and feedback on student progress was shared, enhancing class quality and engagement. Third, teaching effectiveness was assessed through learner evaluation questionnaires, reflection journal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evaluations, positive aspects of the course were reviewed, and ways to modify it and enhance course quality for continuous improvement were explored. The resul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the learning effects on major competencies, indicating that students not only effectively learned major skills but also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nd teamwork. The students perceived the teaching methods positively allowing them to be more active in class. Instructors noted that the course produced higher-quality design and production outcomes compared to previous courses. Overall, the course applying PBL and collaborative teaching methods was found to improve educational quality and effectiveness, making it a valuable approach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The Roles of Online Instructional Facilitators and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y

  • LEE, Jung Wa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723-733
    • /
    • 2020
  •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nline instructional facilitator's qualities on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ies. The study explores the roles of instructional facilitators who may influence student performance of online class activities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employs a set of aggregated data from 1,362 subjects and 10 facilitators who participated in multiple online classes. The results of independent samples t-test reveal that the student performance in online classes has no association with facilitators' educational background or academic degree, as well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udent evaluation records and instructional achievemen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the facilitator engagement has a positive relation to the enhancement of student interaction, reading discussion messages, and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in online discussions.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 that the facilitator engage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increasing the number of reading discussion messages and enhancing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The facilitator engagement increases the quantity of reading discussion postings and enhances the quality of discussion messages, which would be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student performance by facilita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classes are not independent of facilitator engagement.

짝 도우미 협력학습이 중학교 2학년 확률 및 도형영역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air Assistant Collabo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Areas of Probability and Figures)

  • 신행자;김성아;심규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261-2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짝 도우미 협력학습이 중학교 2학년 확률, 도형의 성질과 도형의 닮음 등 세 영역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2009년 가을 학기에 OO도에 소재하고 있는 한 여자중학교의 2학년 2개 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를 통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협력학습은 실험집단에서 매주 2-3회씩 문제해결 시에 실시되었고, 각 단원 종료 시에 두 집단 모두에서 학업성취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협력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에 대하여 설문조사하였고, 학업성취도검사와 설문조사는 통계처리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짝 도우미 협력학습은 확률과 도형의 닮음 단원에서 효과적이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학생들은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짝 도우미 협력학습을 통하여 집단에서의 자신의 역할을 반성하고 공동체 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공유 문서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 담화의 특징 -인식 네트워크 분석(ENA)의 활용- (Exploring Collaborative Learning Dynamics in Science Classes Using Google Docs: An Epistemic Network Analysis of Student Discourse)

  • 신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7-86
    • /
    • 2024
  • 본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공유 문서의 활용이 학생의 담화 패턴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학생들의 담화를 인식 네트워크 분석(Epistemic Network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49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과학 교사인 연구자 본인이 Google Docs를 기반으로 제작된 활동지를 활용한 공유 문서와 동일 내용의 종이 활동지를 활용한 일반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에서 수집된 담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는 일반 수업에 비해 과제 수행과 관련된 발언의 비율이 더 높았으며, 특히 사진 촬영과 업로드에 대한 담화가 두드러졌다. 그러나 이러한 담화가 교사가 의도한 동료 학습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성취 수준에 따른 분석 결과에서는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하위 수준 학생의 발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으며, 상위 학생과 하위 학생 간의 발언 유형 및 연결 구조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상위 수준 학생이 의견과 설명 제시를 주도하면 하위 학생이 이를 받아 적는 역할 분담이 관찰되었으며, 공유 문서 활용 수업에서 그러한 경향이 더 뚜렷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식 네트워크 분석으로 정전기의 원인에 대한 학생의 인식 변화를 시각화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유 문서를 활용하여 협력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의견과 산출물의 공유가 가능한 개방적 문제를 포함하는 전략과 인식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개념 학습 효과 확인 가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