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empathy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2초

대인 간 관용과 불관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Affecting Interpersonal Tolerance and Intolerance)

  • 정주리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3호
    • /
    • pp.307-329
    • /
    • 2022
  • 본 연구는 대인 간 관용과 불관용을 구분하여 관용과 불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 사회적 바람직성, 공감(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사회신뢰, 제로섬 신념이 관용과 불관용을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 445명(남성 218명, 여성 227명)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얻었다. 자료분석은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사회적 바람직성의 영향을 통제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관용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은 성별, 주관적 사회경제적지위, 사회적 바람직성, 인지적 공감, 사회신뢰로 나타났고, 불관용은 사회적 바람직성,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 제로섬 신념이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용과 불관용의 개념이 구분되며, 각각을 예측하는 요인도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용을 높이기 위한 개입과 불관용을 낮추기 위한 개입방안을 함께 모색함으로써 다문화·다양성 사회에서 현실적인 공존방안을 마련해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공감능력에 따른 집단 구성이 학생들의 집단 창의성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Manifesting Group Creativity by Empathy Level of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 김경원;양희선;강성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1호
    • /
    • pp.1-15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tudents' empathy ability on group creativity,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 scientific activity designed to express group creativity. A total of 12 elementary students from a fifth-grade science club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pretest to examine the students' empathic ability was performed to classify them into three groups: A group with high, low and heterogeneous empathic members. The linguistic interaction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process of group creativity manifestation;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metacognitive', 'cognitive', and 'social-communicative'. As a result, groups with high empathic ability showed more frequent interaction in monitoring, planning, and divergent think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low level of empath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many interactions related to regulation, convergent thinking, and noncohesive prosocial interaction. Also, in the case of heterogeneous group with empathy ability, group creativity utterance on all sides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group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confirm the influence of empathy as a strategy to help the group creativity and discus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정서공감과 우울의 관계: 자기비난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mpathy and depress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criticism)

  • 최혜라;한수미;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44-154
    • /
    • 2018
  • 우울한 사람들은 슬픔에 빠져 있고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 반추하므로 외부를 향한 관심이나 반응성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타인에 대한 관심과 반응성을 기반으로 하는 행동이라 볼 수 있는 공감에 있어서 우울한 사람이 어떠한 특성을 보일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146명의 온라인 대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얻어 공감과 우울의 관계에 대해 살펴 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공감의 인지적 측면인 조망수용은 우울과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공감의 정서적 측면 중 공감적 반응과 공감적 관심 역시 우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또 다른 정서 공감의 지표인 개인적 고통의 경우 우울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공감 관련 변인들을 예측변인으로 설정한 회귀분석에서는 조망수용이 우울에 부적 영향을, 개인적 고통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고통이 자기비난을 매개로 하여 우울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다중회귀분석과 Sobel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았는데, 자기비난은 개인적 고통의 정적 효과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하였다.

문화간 판매접점에서 판매원 문화지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alesperson's Cultural Intelligence i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 공란란;김형길;김윤정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12호
    • /
    • pp.85-94
    • /
    • 2017
  • Purpose - Owing to economic development and rapid globalization, the number of people traveling abroad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For instance, according to data from World Tourism Organization, approximately 1,724 million tourists traveled abroad in 2016.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a change for domestic markets, as they no longer serve only domestic customers but also serve foreign customers as well. Therefore, intercultural service encounters between services providers and customer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re becoming more frequent. Especially in the field of retailing, salesperson's customer oriented selling behavior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successful interactions. However, it is hard to find some factors that can improve salesperson's customer oriented selling behavior i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quantitative survey methodology was utilized to collect data on 312 salespeople at duty-free shops located on Jeju Island, Korea. As a tourism-based region, Jeju Island has attracted a large number of foreign tourists since being designated as an international free city in 2002. Owing to this phenomeno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between salespersons and customers from different cultures have become commonplace. Compared to other salespeople, salespeople working in duty-free shops have more frequent intercultural interactions, as over 90% of their total customers are from foreign countries. Additionally, regular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s for salespeople help cultivate cultural intelligenc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0. Results - This paper explores the role of empathy and cultural intelligence i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using a theoretical model incorporat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empathy(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and customer oriented selling behavior,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intelligence in these relationships. Conclusions - This study is almost the first to explore the influence of empathy and cultural intelligence i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Thus, this study provides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the application of empathy and cultural intelligence in the retailing field and will draw the attention of personal distribution practicers and researchers to the importance of empathy and cultural intelligence. Additionally, this study has useful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mployee selection, training, and development in retailing firms engaged in intercultural sales encounters.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얼굴 표정 읽기의 차이 - 정서읽기와 정서변별을 중심으로 - (Difference in reading facial expressions as the empathy-systemizing type - focusing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emotional discrimination -)

  • 태은주;조경자;박수진;한광희;김혜리
    • 감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613-628
    • /
    • 2008
  • 본 연구는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과 정서 변별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1에서는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인식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정서 인식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얼굴제시영역과 정서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과제를 바꾸어 개인의 공감-체계화 유형,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에 따라 정서 변별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얼굴제시영역과 정서 유형에 따른 정서 변별 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체계화 유형과 정서유형 간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는데, 기본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른 변별 정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복합정서에서는 공감-체계화 유형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정서 인식과 달리 정서 변별에 있어서는 정서 유형에 따라 공감-체계화 유형 간 정확률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정서를 인식하는 것과 변별하는 것이 공감-체계화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공감하기와 체계화하기 특성, 얼굴제시영역, 정서유형이 정서인식과 정서 변별에 서로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 PDF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 기반의 공감독서를 활용한 청소년의 공감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mpathy Competence of Adolescents Using Empathic Reading Based on Online Remote Classes)

  • 송지애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41-565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원격수업 기반의 효과적인 에듀테크 플랫폼을 설계하고, 독서 중심의 공감독서 프로그램과 연계 운영을 통해 청소년의 공감역량 효과를 규명하는 데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원격수업의 에듀테크 구성요소를 기초로 교육 환경조성, 수업모형을 도출하고,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정교화 한 후 현장 적용을 위해 경기도 소재 S중학교 1학년 4개 반 107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기반 수업모형을 적용한 공감독서 프로그램은 인지적 공감과 정서적 공감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체 총점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격기반의 공감독서교육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청소년의 공감역량 효과와 의의를 검증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방안으로 공감독서 프로그램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bility on Job Str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지미선;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40-255
    • /
    • 2021
  •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를 밀접하게 옆에서 보육하는 역할을 하며, 교사의 높은 공감 능력은 유아의 감정 및 의견을 존중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궁극적으로 자신의 직무만족감 및 자신감이 향상된다고 연구되었으나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긍정 심리자본 및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루기 위해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 중 정서적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긍정 심리자본 전체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수공예활동이 자아존중감과 공감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ndicraft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Empathy Quotient)

  • 장철;김은지;김영이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59-68
    • /
    • 2018
  • Purpose : In this research, I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handwork activ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sympathy index. Method : In this research, for men and women enrolled in K university, we explain sufficiently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nd randomly assign to 20 training group and 20 control group for those who agreed with experiment we divided handwork activiti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18, 2016 to December 6, six times in total for 30 minutes. Results : Compared with self-esteem among groups, group training exercises show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control group, and self-accepted items and self-efficacy items decreased. empathy comparison that group fits according to arbitration period compared with group control training group, group of training exercise high emotional sympathy items and social skills items appear high, cognitive sympathy items are low.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activities of handwork by group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sympathy and social skill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can be considered that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when applied to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are forming self-esteem and cognitive sympathy. In future research, further studies based on age, sex and further research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student's self esteem and a broader material for developing program necessary for cognitive sympathy can be obtained.

중학생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공동체주택 수업 개발 및 실행 효과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Effects of Home Economics Community Housing Classes for Improving Empathy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김희선;지은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361-373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plan of apartment house class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empathy for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o verify its effect. The study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ADDIE model. In the analysis phase, the study set learning objectives after analyzing how community housing is dealt with in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12 current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experts and to improve the empathy ability, the study goal design,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elements,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materials, an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were develop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empathic ability evalua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first class by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of the 8th class. In the evaluation stage, we examined whether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eveloped in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empathy ability by evaluating the pre-post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sults of the pre - and post - evaluation of empathy abilit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cognitive and communicative factors were improved, and the apartment hous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과학자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탐색된 과학 공감 (Scientific Empathy Discovered in Scientists' Problem-Solving Process)

  • 양희선;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49-26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공감요소를 추출하고 그 공감요소가 과학자들의 문제 해결 상황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창의성 연구자들이 언급한 과학자들 중 공통인물 6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자서전 및 그들의 일대기에 관련한 논문을 통해 그들의 문제 해결 사례에서 공감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유목화 하였다. 총 12개의 서적과 50여개의 논문에서 제시한 사례를 Davis의 공감척도를 분석틀로 분석하였고 공통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총 182개의 사례에서 과학 공감요소가 추출되었고, 이 중 33개의 공통요소가 발견되었다. 과학교육전문가집단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통하여 본 사례의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I-CVI 평균은 .86, S-CVI 평균 .90값이 확인되었다. 과학자들이 문제 해결사례에서 활용하고 있는 공감요소는 인지적 공감으로 관점 취하기 측면에서 3가지(다른 학문 분야를 통한 공감, 연구대상의 관점에서 공감, 다른 사람의 의견 수용), 상상하기 측면에서 3가지(관찰 근거의 상상, 사고 실험, 연구 대상에 대한 유기체적 느낌), 정서적 공감으로 공감적 관심측면에서 3가지(동료 연구자의 의욕에 따른 반응, 연구대상에 대한 감동, 더 연구하고 싶은 흥분), 개인적 각성 측면에서 2가지(타인의 연구실패에 대한 불편한 감정, 문제에 대한 민감성)가 추출되었다. 이는 Davis의 공감요소와 완벽하게 일치한다고 할 수 없었으나 과학자들의 사례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공통되는 요소를 기초로 과학 공감요소에 대한 정의가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