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8/ksim.2018.6.2.059

Effects of Handicraft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Empathy Quotient  

Jang, Che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Kim, Eunj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Kim, Youngyi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v.6, no.2, 2018 , pp. 59-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 In this research, I tried to examine the effect of handwork activities through group activities on self-esteem and sympathy index. Method : In this research, for men and women enrolled in K university, we explain sufficiently the purpose and method of research and randomly assign to 20 training group and 20 control group for those who agreed with experiment we divided handwork activities twice a week from november 18, 2016 to December 6, six times in total for 30 minutes. Results : Compared with self-esteem among groups, group training exercises showe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n control group, and self-accepted items and self-efficacy items decreased. empathy comparison that group fits according to arbitration period compared with group control training group, group of training exercise high emotional sympathy items and social skills items appear high, cognitive sympathy items are low. Conclusion :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turned out that the activities of handwork by group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motional sympathy and social skills.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can be considered that better results can be obtained when applied to children and young people who are forming self-esteem and cognitive sympathy. In future research, further studies based on age, sex and further research corresponding to each situation, student's self esteem and a broader material for developing program necessary for cognitive sympathy can be obtained.
Keywords
self-esteem; empathy quotient; handicraf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명화(2008). 통합적 접근의 인터넷 중독 예방 프로그램 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미옥(2011). 공감 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공감능력,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영미, 김정남, 천성문(2005). 전개집단놀이치료가 집단 따돌림 피해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인문학논총, 10, 97-122.
4 김영숙(2002). 아동의 자아 존중감의 변인에 관한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정운, 김영희(2009). 아동,청소년상담 :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4), 2287-2301.
6 김정희(2007). 자아존중감향상 집단프로그램이 실업계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효지(2010).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서정아(2013). 찰흙을 활용한 조형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우화령(2013).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상은(2014). 발도로프 수공예교육 활동이 정신지체학생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전병재(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연세 논총, 11(1), 107-130.
12 전석균(1995).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 33-50.
13 정수지(2015).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공감에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정은실(1999). 요리활동이 유아의 과학개념 및 영양지식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정춘인(2008). 인성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자아존중감 신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자은, 문대근, 문수백(2013). 학령기 아동의 또래관계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1), 99-111.   DOI
17 최혜숙(2014). 수공예활동과 글씨쓰기활동이 양손협응(Bilateral coordination)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 작업치료학회지, 4(2), 63-73.
18 허재홍, 이찬종(2010). 공감지수 (EQ)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 인문과학연구, 24, 183-200.
19 An Y, Kim CI(1990). Decorate and Making. Paju, Mijinsa
20 Hong JR, Kim HR, Yang YA, et al(2012). Crafts for occupational therapy. Seoul, Gyechuk Munwhasa.
21 Lawrence EJ, Shaw P, Baker D, et al(2004). Measuring empath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mpathy Quotient. Psychol Med, 34(5), 911-919.   DOI
22 Schlein SP, Guerney BG(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23 Sherer M(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 Rep, 51(3), 663-67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