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r zon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9초

해수환경하에서 스테인리스강의 전기화학적 특성 개선을 위한 합금원소의 영향 (Effects of alloy elements on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improvement of stainless steel in sea water)

  • 이정형;최용원;장석기;김성종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890-899
    • /
    • 2014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우수한 내식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에 널리 적용되는 재료이다. 그러나 열처리나 용접 실시 후 입계에 크롬 탄화물 생성으로 크롬 결핍대가 형성되어, 입계의 내식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Ti 또는 Nb과 같은 탄소 안정화 원소를 첨가하여 크롬 탄화물 생성을 억제한다. 이러한 안정화된 스테인리스강에 대한 해수환경하에서의 내식성에 관한 연구는 적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정화 원소(Ti 및 Nb)를 함량 변수로 첨가한 스테인리스강에 대해 해수환경하에서 전기화학적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합금원소 첨가에 따른 미세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자연전위 측정과 동전위분극 실험을 통해 전기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모든 시편에서 오스테나이트 기지상 이외에 합금원소 첨가에 따른 개재물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개재물은 기지 조직과 상이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안정화 원소의 종류 및 함량에 따라 뚜렷한 전기화학적 특성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내식성 향상을 위해 첨가되는 Ti 또는 Nb은 첨가량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고려한 합금 설계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haracterization of a Chitinase Gene Exhibiting Antifungal Activity from a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N1

  • Lee, Kwang-Youll;Heo, Kwang-Ryool;Choi, Ki-Hyuck;Kong, Hyun-Gi;Nam, Jae-Sung;Yi, Young-Byung;Park, Seung-Hwan;Lee, Seon-Woo;Moon, Byung-Ju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44-351
    • /
    • 2009
  • A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licheniformis N1 grown in nutrient broth showed no chitinolytic activity, while its genome contains a gene which encodes a chitinase. The gene for chitinase from B. licheniformis N1 was amplified by PCR and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itinase exhibited over 95% identity with chitinases from other B. licheniformis strains. Escherichia coli cells carrying the recombinant plasmid displayed chitinase activity as revealed by the formation of a clear zone on chitin containing media, indicating that the gene could be expressed in E. coli cells. Chitinase gene expression in B. licheniformis N1 was not detected by RT-PCR analysis. The protein was over-expressed in E. coli BL21 (DE3) as a glutathione S-transferase fusion protein. The protein could also be produced in B. subtilis 168 strain carrying the chitinase gene of N1 strain. The crude protein extract from E. coli BL21 carrying GST fusion protein or culture supernatant of B. subtilis carrying the chitinase gene exhibited enzyme activity by hydrolyzing chitin analogs, 4-methylumbelliferyl-$\beta$-D-N,N'-diacetylchitobioside and 4-methylumbelliferyl-$\beta$-D-N,N',N"-triacetylchitotriosid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ven though the chitinase gene is not expressed in the N1 strain, the coding region is functional and encodes an active chitinase enzyme. Furthermore, B. subtilis 168 transformants expressing the chitinase gene exhibit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lvia fulva by suppressing spore germin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 engineering of the expression of the indigenous chitinase gene, which will lead to its expression in the biocontrol strain B. licheniformis N1, may further enhance its biocontrol activity.

Auxin과 ACC Deaminase를 생산하는 사구식물 복원용 근권세균의 선발 (Selection of the Auxin and ACC Deaminase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from the Coastal Sand Dune Plants)

  • 임종희;김종국;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8-275
    • /
    • 2008
  • 경북포항지역의 해안사구지역에서 서식하는 11종의 해안사구 식물의 근권으로부터 1,330균주의 근권세균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된 근권세균등 중에서 9종의 주요 식물병원성 진균인 Phytophthora capsici, Fusarium oxysporum, Corynespora casriicola, Colletotrichum acutatum, Botrytis cinerea, Rhizoctonia solani AG-1(IA), Pythium ultimum, Rhizoctonia solani AG-1(IB)에 대하여 넓은 항진균성 스펙트럼을 가지고 동시에 생장촉진호로몬 옥신을 생산하는 23균주의 근권세균을 선발하였다. 1차 선발된 23균주의 옥신 생산성 사구식물근권세균들에서 19균주가 항진균성 siderophore를, 4균주가 항진균성 cellulase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17균주는 불용성 인산염을 분해할 수 있었다. 또, 23균주의 선발된 사구식물생장 촉진 근권세균들은 16S rDNA 염기서열 조사와 Bergey's manual에 의하여 99%이상의 상동성을가지는 7균주의 Bacillus sp.균주들과 15균주 Pseudomonas sp.균주들로 동정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 중 다기능 사구식물생장촉진 근권세균인 Pseudomonas fluorescens IB4-14는 고염, 건조와 같은 환경스트레스에 저항성을 가질 수 있게 하는 ACC deaminase를 생산하므로써 식물생장촉진은 물론이고, 환경스트레스 저항성 기작을 가지는 다중기능 균주이었다. 또한, 선발된 옥신생산성 다기능 균주인 P. fluorescens IB4-14는 사구식물인 갯까치수영의 종자발아능과 뿌리생장촉진능에서 우수한 생육촉진능을 발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사구식물 복원에 사용할 미생물제제의 구성균주로 선발되었다고 생각한다.

가든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 Sage (Salvia officinalis L.))

  • 조영제;주인식;윤동혁;천성숙;안봉전;김정환;김명욱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6호
    • /
    • pp.296-301
    • /
    • 2008
  • 가든 세이지 추출물의 추출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가든 세이지는 60% ethane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최적 추출조건으로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phenol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 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4.4%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lization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96.9%,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30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entrol의 $0.62{\times}10^2\;{\mu}M$에 비해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8{\times}10^2\;{\mu}M$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100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활성억제 효과는 75.5%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elicobacter pylori균에 대한 활성도 $200\;{\mu}g/ml$ 농도의 액체배지에서 63.4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생리활성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산나무 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Orixa japonica Thunb. Leaf Extract)

  • 최수빈;강성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39-43
    • /
    • 2014
  • 상산나무 잎의 항미생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산나무 잎을 메탄올, 70% 에탄올, $65^{\circ}C$ 열수로 추출하였고 각각의 추출물에 대하여 13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paper disc diffusion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4개 균주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가 메탄올 추출물,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clear zone을 형성하여 추출물에 의하여 생육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methanol 추출물이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항균활성이 크게 나타났다. 이에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이 다른 여러 용매로 분획추출하고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dichloromethane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다른 분획물인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 water 분획물에서는 항균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가장 활성이 크게 나타났던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보인 4개의 균에 대하여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S. mutans, S. aureus, P. aeruginosa는 추출물의 농도가 49.22 mg/mL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B. cereus의 경우 24.61 mg/mL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mutans, B. cereus, S. aureus, P. aeruginosa에 대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3.31, 0.21, 1.7, 1.7 mg/mL으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의 pH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H 3, 7, 11로 조절하여 1-3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항균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80, $100^{\circ}C$에서 1-6시간 동안 처리한 결과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고 $120^{\circ}C$ 처리한 경우 항균활성이 약간 저하되었으나 항균활성이 완전히 실활 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산나무 잎 methanol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여 식품의 가공 처리에도 적합한 천연 식품첨가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터널 굴착 발파하중 시간이력 생성 (Generation of blast load time series under tunnelling)

  • 안재광;박두희;신영완;박인준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1-61
    • /
    • 2014
  • 발파가 인근 시설물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는 발파하중 시간이력을 적용한 동적 해석을 수행해야 한다. 발파하중은 실측하기 어렵기에 다양한 참고문헌에서 제시된 경험적 시간이력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경험적 폭굉압과 시간이력은 다양한 환경변수를 고려하여 보정해야 하지만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아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발파를 모사하는 2차원 동적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계측기록과 상응하는 경험적 발파하중 시간이력을 도출하였다. 발파로 인한 파쇄영역은 원형으로 가정하여 모델링 하였으며 발파하중을 경계벽에 수직방향으로 재하하였다. 특히, 해석 결과에 지반의 감쇠비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정확하게 산정해야 한다. 시험적으로 계산된 감쇠식의 기울기는 발파하중의 크기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하중의 주파수와 지반의 감쇠비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지반 감쇠비는 발파 감쇠식에 상응하도록 결정하였다. 해석 결과, 발파하중은 암반의 파쇄에 소요되는 에너지 손실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정없이 적용할 경우 발파로 인하여 유발되는 진동을 크게 과대예측하므로 이를 감소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목노상 뽕잎에서 분리한 Helicobacter pylori 저해물질에 대한 약효평가 (Evaluation of Medicinal Activity on Isolated Inhibitory Compounds against Helicobacter pylori from Cheongmoknosang Mulberry Leaves)

  • 김병오;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65-269
    • /
    • 2011
  • 뽕잎으로부터 분리한 H. pylori 억제물질이 건강기능식품으로 산업화되기 위하여 이들 유용성분이 생체 내에서 약리성을 가지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청목노상으로부터 분리한 혼합물은 $200{\mu}g/100{\mu}L$의 농도에서 H. pylori에 대한 저해 clear zone을 형성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C57BL/6종 mouse에 H. pylori의 감염을 유도 한 결과 6주 이상이 되어야 H. pylori의 감염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때 감염균수는 평균 $8{\times}10^5$ CFU/mL이었다. 경구투여를 통해 청목노상뽕잎에서 추출한 유효성분의 혼합물이 H. pylori 감염에 있어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지 시험한 결과, 절개된 위속의 H. pylori colony 수가 약물투여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우스의 혈청을 분리하여 immunoglobulin isotype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 보다 IgG1, IgA 등이 높게 생성되는 것이 확인되었고, 시료 혼합물에 의해 항체생성이 증가되어 H. pylori 감염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뽕잎에서 추출한 유용성분인 caffeic acid, rosemarinic acid와 chlorogenic acid가 H. pylori의 감염에 있어서 예방 또는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H. pylori에 의해 유발되고 감염률이 증가되고 있는 위염, 위궤양, 위암의 예방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용세균(Beneficial Bacterial Agents)을 이용한 배추 무름병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Soft Rot on Chinese Cabbage Using Beneficial Bacterial Agents in Greenhouse and Field)

  • 아누파마 슈레스타;김은창;임춘근;조세열;허장현;박덕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5-331
    • /
    • 2009
  • 세 종류의 유용세균, Lactobacillus KLF01, Lactococcus KLC02 그리고 Paenibacillus KPB3는 무름병원세균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 (Pcc)에 대한 기내 길항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온실 내 포트에서 배추 무름병에 대한 생물적 방제 효과를 병원균 접종 4, 8, 12일 후 각각 조사한 결과 KLC02 균주는 64%, 50%, 56%, KPB3 균주는 66%, 57%, 58%로 나타났다. 반면, KLF01 균주는 KLC02 및 KPB3 균주에 비해 그 효과가 다소 낮았으나 유의성이 인정될 수 있는 방제효과로 조사되었다. 또한 재배포장에서 배추 무름병에 대한 생물적 방제효과는 KLF01, KLC02 및 KPB3 모두 각각 55%, 60% 그리고 62%로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세 종류의 유용세균 Lactobacillus KLF01, Lactococcus KLC02 그리고 Paenibacillus KPB3 균주를 이용하여 배추 무름병을 억제하기 위한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할 수 있음을 보고한다.

연안해역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 침투이론의 비교와 정량화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Seawater Infiltration by Wave Action in Coastal Zone)

  • 정정조;최두형;김태근;강전광정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11
    • /
    • 2001
  • 조간대와 같은 연안지역에서 해수의 토양 이동이 가지는 의미는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플랑크톤, 박테리아, 유기쇄설물, 산소, 영양염, 유기물의 생물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과 같이 파도에너지가 비교적 작은 조간대에서 파도에 의한 해수의 침투거동을 해석하고, 파도에너지와 사면 구배의 변화에 따른 해수의 침투량 변화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모의 조간대 실험장치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폐쇄성 수역과 같은 파도에너지가 작은 조간대에서는 파도에 의해서 해수가 반원형의 형태로 토양중으로 침투하는 semi-circular mechanism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침투 거동임을 알 수 있었다. 구배 또는 쇄파파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해수의 침투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수는 쇄파파고 보다는 구배의 영향을 크게 받아서 토양중으로 침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현장토양을 이용하여 해수의 침투량을 정량화 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조간대에서의 해수 침투량을 개략적으로 산정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오염물질의 토양 이동 및 생물농축, 저서생물들의 먹이공급, 수질 정화량 산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요망한다.

  • PDF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억제하는 Graviola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Graviola extract to inhibit the Staphylococcus epidermidis)

  • 최종화;옥승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667-673
    • /
    • 2017
  • 본 연구는 그라비올라 (Graviola; Annona muricata Linn.) 잎의 항균소재 개발 목적으로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된 실험 연구이다. 그라비올라 잎의 추출 온도를 $60^{\circ}C$, $80^{\circ}C$, $98^{\circ}C$ 달리하여 열수 추출하여 수율 및 추출 조건을 찾았으며 실험 균주 S. epidermidis, S. aureus 및 E. coli TOP 10에 대한 항균 활성은 한천 배지 확산법으로 평가하였다. 추출 온도 $60^{\circ}C$, $80^{\circ}C$, $98^{\circ}C$에서 3.02%, 14.73%, 20.76% 수율을 얻었고, S. epidermidis, S. aureus 및 E. coli TOP 10에 대한 항균 활성은 S. epidermidis에서 항균 활성이 나타났으며 $98^{\circ}C$에서 추출한 그라비올라 잎 시료 중 200 mg/mL에서 13 mm, 500 mg/mL에서 20 mm 투명환이 나타났다. MIC는 100 mg/mL이다. 추출 온도, 농도가 높을수록 우수한 성장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위 결과로 천연물속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 항균 성분이 피부 상재균에서 우수한 항균력은 앞으로 피부미용 기초자료와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