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Activities

검색결과 1,417건 처리시간 0.032초

세 가지 유형의 칭찬을 활용한 또래칭찬활동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on the School Adjustment)

  • 윤채영;김정섭;강명숙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41-15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on school adjustment of sixth graders. We assume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praises; Verbal reinforcement, Encouragement, and Social acknowledgment. The study i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six- grade students who enrolled to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One class (26 students)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29 students) was a control group.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1 weeks. The activities were composed of classroom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raise, online activities, praise card activities for practicing three types of praises. School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Lee Young-Sun(1997)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COVA was conducte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chool adjustment, but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a neutral intervention did not.

초등수학수업의 과제제시 및 해결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 분석 (An Analysis on Teachers' Behaviors in Problem Presenting and Solv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이윤미;강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1권2호
    • /
    • pp.121-139
    • /
    • 2008
  • 수학 교실에서 가치 있는 수학적 과제는 학생들에게 수학적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지적으로 흥미를 갖고 도전해 보게 한다. 최근 수학적 과제에 대한 중요성은 여러 측면에서 강조되고 있다. 특히 과제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가 달라지고 수업 시간의 활동이 결정된다는 연구 결과와 학습 기회는 학생들이 참여하는 과제의 사고 수준과 사고 종류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은 교수 학습 과정에서의 과제의 중요성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하고 실제적인 과제 제시 및 해결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하여 연구자의 개입이 없는 자연스러운 교실 상황 내에서 교수 학습 활동을 관찰하고자 한다. 교수 학습 활동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과제 제시 방법, 과제 해결을 위한 기회 제공 방법, 과제 해결 시 나타나는 교사의 행동을 분석하여 각 관점에 따른 교사의 행동 유형을 분류해 보고, 이를 통해 수학적 소양과 수학적 힘을 신장시킬 수 있는 학생 중심의 개혁적인 수학 교실 수업 실현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스크린 영어 학습 자료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 연구 (A Study of Learners' Preference of English Screen Materials)

  • 심재황;김주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89-295
    • /
    • 2020
  • 본 논문은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대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하며,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영어 학습에 대한 선호도를 학습자 변인 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즉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한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학습을 진행한 후에 학습 전, 학습 중, 학습 후의 학습 활동 선호도를 학습자의 성별과 영상 학습 관심 정도와 비교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흥미 정도와 각 문항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의 결과를 보면,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서 수업활동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여학생의 영상 학습 활동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학습자들의 영상 수업에 대한 선호도에 따른 비교에서 하위 그룹 학습자들은 대체로 수업 전 활동에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상위 그룹은 수업 중과 수업 후 활동에 비중을 보이고 있다. 학습 활동 문항과 각 그룹 간의 상관관계에서 단어 추론, 내용 토론, 그리고 단어 복습 문항에서 각 그룹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애니메이션 영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성향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 영어 학습을 위한 학습 자료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서 이러한 학습자 요인에 대한 결과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Effects of Facebook on Language Learning

  • SUNG, Minkyung;KWON, Sungho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2권2호
    • /
    • pp.95-116
    • /
    • 2011
  •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Facebook on language learning in terms of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collaboration by applying Facebook in a Korean language class. Forty one exchange students from seventeen countr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used Facebook to exchange information and complete group projects. Results show that Facebook was effective in sharing class materials, engaging in class community and collaborating to complete assignments. Students also comment that socializing with peers was helpful, yet more activities and discussion to draw active participation is needed. This study also points out the important role of instructors who implement social media and manage the class.

고등학교 발명 활동과 대학 특허교육 성취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Invention Activities and College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 설인환;지선구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70-76
    • /
    • 2021
  • As intellectual property has become an important competitive element in the industry, government-led patent education is rapidly expanding. It is important to look at whether each patent education course is organically linked to each other under a life-long patent education system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This study focused on the link between high school education and college education to analyze statistically how invention activities in high school affect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at college. Statistical analysis of a survey of students taking a basic course of intellectual property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vention experience i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atent class total score, contrary to popular perception. These results are believed to be due to the distribution of data on the number of invention contest participations or the number of invention class participations, which does not form a normal distribution and has a relatively large skewness. Rather, the attendance to the patent class showed a relatively distinct positive linear correlation with the patent class total score, indicating that the student's attitude in class was important for the patent education achievement.

비대면 수업에서 온라인 실습활동의 사례- '기초전기회로 및 실습'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Online Practice Activities in Non-face-to-face Class -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and Lab' Course)

  • 한안나;이호철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2-3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operate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to explore students' perceptions and effectiveness of them. To this end, afte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activities in the 'Introduction to Electric Circuits and Lab' course,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47 learners were analyzed, and the group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using Kruskal-Wallis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perceptions of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 were positive in terms of learning effect,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ace-to-face/non-face-to-face preference method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group that preferred non-face-to-face class in terms of learning convenience, interaction and satisfaction. As for the group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learners, the group who answered the question showed a higher awareness of the learning convenience and interaction than the group that did not. In addition, implications for design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non-face-to-face online practice classes were presented.

악기를 활용한 음악.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usic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Instruments on the Musical Concept and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

  • 이정화;한희승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83-300
    • /
    • 2010
  •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 and science integrated activities using instruments designed to test both musical concept and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s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o classes of children aged 5 at H Kindergarten in Busan city. This study involved a class of 31 children using a music and scienc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class of 32 children using a traditional music and science curriculum as the control group. The integrated activities were used 12 times over a 6-week period. A test was taken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activities o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n seven sub-categories of musical concepts and six sub-categories of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s. The results were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all subcategories of musical concept and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se integrated activities were effective in the development of both musical concepts and the science inquiry process skills of children.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중 등장성수축 결합의 임상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Combination of Isotonic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배성수;황보각;김미현;김재헌;최재원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6권3호
    • /
    • pp.205-21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pplication of combination of insotonic(CI) in clinical approach. This is a literature study with books and clinical experience. CI was developed after Margaret Knott that is very useful in clinically. CI has two lever system. It has class II lever system for eccentric contraction and class III lever system for concentric contraction. Therefore it make two different contraction that is not only magnitude of motion and speed increase of motion but also biomechanical advantage. Application of CI has much variety by patient position and treatment position. Especially, it is very effectable on mat activities and training for mid stance period. CI apply in supine position on treatment table, mat or high mat activities, bridging activities, all fourth activities and sit on chair activities. CI apply serially with different techniques. These are rhythmic initiation, dynamic reversal, approximation, rhythmic stabilization and replication.

  • PDF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탐구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tudent)

  • 송주현;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82-192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 숲 체험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 숲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을 정하고 사전검사 후, 실험반은 자체 개발한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 10차시를, 비교반은 같은 차시 동안 사진 자료와 교사의 설명, 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후 사후검사를 하였고 실험반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을 경험한 소감을 인터뷰 형식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의 평균 점수에 있어서의 향상 폭이 비교반 보다 더 크긴 했지만 그것이 유의미한 결과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과학의 사회적 의의', '과학자의 평범성', '과학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 '과학에 대한 직업으로서의 관심' 등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하여 학생들은 학교 숲 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해서 흥미롭게 생각했으며 만족도 또한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그것이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향상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바느질실습 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인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iveness of a Sewing Practice Class for Cultivation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51-168
    • /
    • 2019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을 교과 교육 차원에서 반영하여 바느질실습 수업과정안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설계하여 개발된 과정안을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적용 결과 창의성 전체와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력, 문제해결력, 개방성, 인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둠토의를 통한 아이디어의 구상, 모둠활동을 통한 만들기 활동, 창의적 문제해결의 경험 등이 학생들에게 수업의 주체자임을 인식하도록 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고 문제를 능동적으로 해결하는 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바느질실습 수업은 인성 전체와 인성의 하위요인인 책임, 성실, 배려, 의사소통능력, 협업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업과정안은 개인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모둠활동이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여 개인의 책무성과 역할뿐만 아니라 모둠작품의 완성을 강조하면서 학생 간 의사소통이나 협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인성 함양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