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인적자원부 보도자료 2007. 9. 12.
- 김광림(2005). 칭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존감, 대학생활적응,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선혜(2007). 교사의 '칭찬'언어와 '격려'언어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3), 377-399.
- 김인홍(2008). 칭찬활동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7(3), 245-254.
- 김정환(1981). 교사의 교직배경과 생활지도유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춘실(2007).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형민(2003). 한국 대학생의 칭찬 화행 수행 및 응대 상황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12.
- 문호형.문성호(2007).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2), 167-186.
- 박은주(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백경숙.권용신(2004).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6(2), 87-99.
- 성미옥(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송은경(2003).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성격특성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용주.최지은(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 안영복(1985).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순미.유영주(2003).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학가정학회지, 41(9), 121-134.
- 오경애(2007). 또래칭찬활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오은주 (2006). 초등학생의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효과,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채영.강명숙.김정섭(2009). 쓰기활용 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4), 255-274.
- 윤채영.김경란.김정섭(2009). 중등예비교사가 지각하는 칭찬유형,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55-78.
- 이상필(1990). 학교생활적응수준에 따른 학업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 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수경(2004).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아.정원철.차타순(2005). 중학생의 따돌림 가해 실태 및 심리사회적 요인,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90-403.
- 이영선(1997).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미영.문혁준(2007). 아동이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28(5), 37-54.
- 정선희(2007).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정희(2008).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또래칭찬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조선화.김혜진.이지항.조유진.허미선(2003). 청소년과 인간관계의 이해, 서울: 양지사.
- 차유림(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지은.신용주(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 황희숙.임지영(2001). 초등학교 학교 폭력의 실태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63-86.
- 홍순자(2005). 칭찬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agwell, G.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39.x
- Cameron, J., & Pierce, W. D.(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ta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363-423.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3363
- Cho, Y. H. (2004). The influence of the praise activities among kindergatener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h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 Deci, E. M. (1995). The social world of the child, San Francisco: Jpssey-Bass.
- Dinkmeyer, D. & McKay, G. D. (1983).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Parent's handbook, Circle Pines, Minn.: American Guidance Services.
- Dreikurs, R., & Cassel, P. (1972). Discipline without tears, New York: Hawthorn Books.
- Dweck, C. S.(1999). Caution-Praise can be dangerous, American Educator, 23(1), 4-9.
- Ginott, H. (1965). Between Parent and Child: New Solutions to Old Problems, NY: Macmillan.
- Harackiewicz, J. (1979). The effects of reward contingency and performance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352-1363. https://doi.org/10.1037/0022-3514.37.8.1352
- Henderlong, D. V. & M. R. Lepper.(2002). The effects of praise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 review and synthesis, Psychological Bullentin, 128(5), 774-795. https://doi.org/10.1037/0033-2909.128.5.774
- Karniol, R. & Ross, M. (1977). The effect of performance relevalt and performance irrelevant rewards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Child Development, 48, 482-487. https://doi.org/10.2307/1128643
- Kelly, F. D. (2002).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gender, and grade upon children's performance for praise or encouragement,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58, 197-207.
-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endship Quality as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https://doi.org/10.2307/1131882
- Rosenberg, M. B. (2005). Self- 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ence. In R. L. Leady(E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Orlando, FL: Academic Press, 312-354.
- Ryan, R. M. (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t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control, gender, and grade upon children's performance for praise or encoura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450-461. https://doi.org/10.1037/0022-3514.43.3.450
-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5th), Childhood & Adolescense. Brooks: Cole.
- 통계청(2009). 2009 한국의 사회지표.
- http:// 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