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on the School Adjustment

세 가지 유형의 칭찬을 활용한 또래칭찬활동프로그램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0.01.22
  • Accepted : 2010.03.02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on school adjustment of sixth graders. We assume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praises; Verbal reinforcement, Encouragement, and Social acknowledgment. The study is based on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 six- grade students who enrolled to two classe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One class (26 students)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29 students) was a control group. Three types of praise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11 weeks. The activities were composed of classroom activities fo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praise, online activities, praise card activities for practicing three types of praises. School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Lee Young-Sun(1997) was administrated to all the subjects as the pre and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COVA was conducte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chool adjustment, but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a neutral intervention did not.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보도자료 2007. 9. 12.
  2. 김광림(2005). 칭찬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존감, 대학생활적응,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선혜(2007). 교사의 '칭찬'언어와 '격려'언어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20(3), 377-399.
  4. 김인홍(2008). 칭찬활동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7(3), 245-254.
  5. 김정환(1981). 교사의 교직배경과 생활지도유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춘실(2007). 칭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형민(2003). 한국 대학생의 칭찬 화행 수행 및 응대 상황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12.
  8. 문호형.문성호(2007).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2), 167-186.
  9. 박은주(2004).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부모, 친구,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백경숙.권용신(2004).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6(2), 87-99.
  11. 성미옥(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칭찬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송은경(2003). 가족의 기능과 아동의 성격특성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신용주.최지은(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 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14. 안영복(1985). 적응 및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관계변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순미.유영주(2003). 자아존중감, 가족의 건강성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농촌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학가정학회지, 41(9), 121-134.
  16. 오경애(2007). 또래칭찬활동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오은주 (2006). 초등학생의 또래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효과,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윤채영.강명숙.김정섭(2009). 쓰기활용 칭찬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관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연구, 22(4), 255-274.
  19. 윤채영.김경란.김정섭(2009). 중등예비교사가 지각하는 칭찬유형, 한국교원교육연구, 26(4), 55-78.
  20. 이상필(1990). 학교생활적응수준에 따른 학업성적 및 행동특성의 차이 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수경(2004). 학교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영아.정원철.차타순(2005). 중학생의 따돌림 가해 실태 및 심리사회적 요인, 수산해양교육연구, 17(3), 390-403.
  23. 이영선(1997).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된 무기력과 성패귀인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정미영.문혁준(2007). 아동이 학교생활적응 관련 변인 연구, 한국아동학회지, 28(5), 37-54.
  25. 정선희(2007). 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정정희(2008).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한 또래칭찬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선화.김혜진.이지항.조유진.허미선(2003). 청소년과 인간관계의 이해, 서울: 양지사.
  28. 차유림(2000).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지은.신용주(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1(2), 199-210.
  30. 황희숙.임지영(2001). 초등학교 학교 폭력의 실태 분석과 대책에 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3(1), 63-86.
  31. 홍순자(2005). 칭찬활동이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Bagwell, G. L, Newcomb, A. F., & Bukowski, W. M. (1998). Preadolescent friendship and peer rejection as predictors of adul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9(1), 140-153. https://doi.org/10.1111/j.1467-8624.1998.tb06139.x
  33. Cameron, J., & Pierce, W. D.(1994). Reinforcement, reward, and intrinsic motivation: a meta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 363-423.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3363
  34. Cho, Y. H. (2004). The influence of the praise activities among kindergateners on children's social behavior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th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5. Deci, E. M. (1995). The social world of the child, San Francisco: Jpssey-Bass.
  36. Dinkmeyer, D. & McKay, G. D. (1983).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Parent's handbook, Circle Pines, Minn.: American Guidance Services.
  37. Dreikurs, R., & Cassel, P. (1972). Discipline without tears, New York: Hawthorn Books.
  38. Dweck, C. S.(1999). Caution-Praise can be dangerous, American Educator, 23(1), 4-9.
  39. Ginott, H. (1965). Between Parent and Child: New Solutions to Old Problems, NY: Macmillan.
  40. Harackiewicz, J. (1979). The effects of reward contingency and performance feedback on intrinsic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 1352-1363. https://doi.org/10.1037/0022-3514.37.8.1352
  41. Henderlong, D. V. & M. R. Lepper.(2002). The effects of praise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 review and synthesis, Psychological Bullentin, 128(5), 774-795. https://doi.org/10.1037/0033-2909.128.5.774
  42. Karniol, R. & Ross, M. (1977). The effect of performance relevalt and performance irrelevant rewards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Child Development, 48, 482-487. https://doi.org/10.2307/1128643
  43. Kelly, F. D. (2002). The effects of locus of control, gender, and grade upon children's performance for praise or encouragement,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58, 197-207.
  44.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endship Quality as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https://doi.org/10.2307/1131882
  45. Rosenberg, M. B. (2005). Self- 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ence. In R. L. Leady(Ed.). The development of the self. Orlando, FL: Academic Press, 312-354.
  46. Ryan, R. M. (1982). Control and information in the intrapersonal sphere: An extention of cognitive evaluation theory. control, gender, and grade upon children's performance for praise or encourag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450-461. https://doi.org/10.1037/0022-3514.43.3.450
  47. Shaffer, D. R. (1999). Developmental Psychology(5th), Childhood & Adolescense. Brooks: Cole.
  48. 통계청(2009). 2009 한국의 사회지표.
  49. http:// kosta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