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8.11.3.182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Elementary Student  

Song, Ju-hyun (Gaya Elementary School)
Lee, Hyeong-cheol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1, no.3, 2018 , pp. 182-1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and attitude toward science to make suggestions to help develop and extend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9 students of two classes. One class of 24 students, experimental class, took developed 10 periods of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While the other class of 25 students, comparative class, took ordinary teacher driven periods using photo materials and study paper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re and post test we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didn'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Second, the school forest activities program had a meaningfu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From the interview with experimental class, we could know that students had a favorable impression and high satisfaction level about the activities program.
Keywords
school forest activity; science process skill; attitude toward science; elementary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신원섭(2003). 숲의 사회학. 서울: 따님.
2 유주리, 박종민(2015). 숲 체험이 초등학생의 숲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9(3), 462-473.   DOI
3 윤여창(2000). 산림환경교육의 효율적 추진에 관한 연구. 산림청.
4 이상균, 김순식(2013). 지역체험자원을 활용한 STEAM수업이 과학적 태도와 융합인제소양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61-270.   DOI
5 이용섭, 김순식(2013).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환경지식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3), 235-241.   DOI
6 정택상, 신원섭, 연평식, 이정희, 이지연(2010). 학교 숲이 초등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 87-98.
7 최영순(2003). 숲 체험학습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하정연(2007). 아이들이 그리는 세상. 서울: 양서원.
9 허명(1993). 초.중.고 학생의 과학 및 과학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34-340.
10 Fraser. B. J. (1981). Development of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Education, 62(4), 509-515.   DOI
11 김현재, 김관영(2000). 학교 숲에서의 과학 활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4(1), 3-36.
12 신원섭(1999). 학교 숲이 학생과 교사에게 주는 심리적 효용. 숲과 문화, 8(1), 19-21.
13 강지하, 이정하,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14 곽영순(2018). TIMSS 2015에서 과학 성취도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교육맥락변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2), 113-122.   DOI
15 교육부(2018). 3-4학년군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16 국지하,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8). 학교 조경 만족도 및 환경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지, 11(3), 27-34.
17 김범기, 권재술(1994). 초, 중학교 학생들을 위한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18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DOI
19 권유선, 최혜진(2013). 창의성 기법을 적용한 유아 예술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55-78.
20 김기원(2004). 숲이 들려준 이야기. 서울: 효형출판.
21 김윤지(2014). 환경변화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2), 151-158.   DOI
22 김인호(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3(1), 122-132.
23 김정호(1992). 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탐색을 위한 연구.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