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Stress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25초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변은경;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82-3990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21.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3.59{\pm}0.38$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F=3.493, p=.016), 경력(F=5.654, p=.001), 직위(F=6.681, p<.001), 학급연령(F=2.759, p=.043), 자녀양육경험(t=5.269,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236, p<.001),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역상관관계(-.2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11.7%로 설명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들이 요구된다.

산욕후기 산모의 산후우울 영향요인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in the Postpartum Women)

  • 송주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6-223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stpartum depression among parturient women between 4 to 6 weeks after childbirth.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46 healthy postpartum women who delivered at three women's health hospitals in Chungnam province in 2008. Data were collect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WIN 14.0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partum depression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level. Postpartum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hildcare stress, social support, infant fussiness, Sanhujori satisfaction,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leep satisfac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ostpartum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predicted by childcare stress, Sanhujori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These variables explained 49.0% of the variance of postpartum depression.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a nursing intervention for postpartum depression should focus on decreasing childcare stress and improving Sanhujori satisfac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verily and substantiate the effect of the developed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 PDF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Teacher's Sense of Efficacy on Happiness from Childcare Teacher : Interactional Medium Effect and Regulating Result of Job Stres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 김은숙;이미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47-157
    • /
    • 2019
  •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및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만 5세 유아 348명과 해당 유아의 담임교사인 보육교사 348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검증했다.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교수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효능감이 보육교사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하여 보육교사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ant Class Childcare Teachers' Self-Efficacy and Job Stress)

  • 김순애;김수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57-8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배경 변인 분석을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 및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영아반 보육교사 48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11일부터 2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효능감이 개인효능감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개인변인인 연령과 결혼여부에서, 근무여건 변인인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월평균보수, 반 원아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역시 전반적으로 조금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경제, 학부모, 업무, 원아, 개인, 행정업무 순이며, 가장 낮은 요인은 동료스트레스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개인변인 연령, 결혼여부, 경력, 이수한 연수회수에서, 근무여건 변인은 어린이집 유형, 평균근무시간, 반 원아수, 월평균보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향상을 위해 영아반 보육교사의 직무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산후조리원 이용여부에 따른 초산모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상태 및 모성역할적응의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The Changing Pattern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Maternal Adjustment Between Primiparas Who Used and Those Who did Not Use Sanhujori Facilities)

  • 송주은;박보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03-514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levels of postpartum fatigue, depression, childcare stress, and maternal identity according to postpartum period between primiparas who used Sanhujori facilities and those who did not.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longitudinal descriptive stud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were 55 healthy primiparas who delivered at one of 3 hospitals in Chungnam, 21 using Sanhujori facilities and 34 not using these facilities during the first three weeks after childbirth.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08 to April 2009 at three measurement points, 2-4 days after childbirth (T1), 4-6 weeks (T2), and 12-14 weeks (T3).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7.0 WIN program.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care stress between the two groups at 4-6 weeks after childbirth. Postpartum depression and childcare stress at 4-6 week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postpartum periods, while maternal identity was significantly lower. Conclusion: Child care stress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mong women who use Sanhujori facilities and the 4-6 week period after childbirth is very difficult to primipara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s for primiparas in Sanhujori facilities should focus on reducing childcare stress. Furthermore proper follow-up programs at 4-6 weeks are needed to decrease the difficulties in adjustment by new mothers.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 탐구 (Exploring of Resilience in Emergency Infectious Diseases to Moderate Job Stres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 이재무;조경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9-519
    • /
    • 2021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이직의도 조절을 위한 긴급 감염병 상황에서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을 위해 2020년 8월 19일부터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201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이직의도는 낮은 수준, 회복탄력성은 높은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모두 개인적 특성 유형에 따라 대부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와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 중 정서조절력, 충동통제력, 적극적 도전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라는 긴급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는 나빠진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가장 큰 이유는 원활한 직무수행이 어려워진 것 때문으로 규명되었었다. 반면 회복탄력성과 직무소진은 이전과 변함없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방역 기반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대응, 직무소진과 회복탄력성의 일상적 관리, 자기초점주의 근간의 상담이나 프로그램 등과 같은 회복탄력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Stress Level and Health Status on Burnout)

  • 정진옥;표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47-356
    • /
    • 2018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시 소재 보육시설에서 일하고 있는 보육교사 236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실시하여 이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총 220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 소진과의 관련 요인은 연령, 자녀유무, 1일 평균 근무시간, 주관적 건강상태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 건강상태 및 소진 간의 관계에서 소진은 스트레스 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상태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수준과 건강상태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의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하였으며(F=12.769, p<.001), 전체 모형의 설명력은 47.6%(Adjusted $R^2=.476$)로, 심리적 건강(${\beta}=-.297$, p<.001), 사회적 건강(${\beta}=-.257$, p<.001), 스트레스 수준(${\beta}=.247$, p<.001)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소진을 낮추기 위해서는 심리적, 사회적 건강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관리프로그램 개발과 정부 및 민간 차원의 다양한 제도 개선과 대책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보육교사의 표정언어에 관한 사례연구: 교사, 원장, 학부모의 견해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Focused on the Opinions of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 김선주;주영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5호
    • /
    • pp.107-12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inions of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about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We performe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which consisted of ten childcare teachers, ten directors, and ten parent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we are able to mainly conclude that all groups think that a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is very important, and strongly influences interpersonal problems and work performance. Mostly, childcare teachers aim to have pleasant facial expressions. However they complain that in some situations it is difficult to do so, which causes severe stress. They argued that the facial expressions of both the director of the childcare center and the parents are also very important for children. However, the directors thought that teachers' facial expressions affect children and their parents' impressions of the teachers and quality of childcare. The parents are usually highly satisfied with the childcare when the teacher has a pleasant facial expression, which motivates the parents to have a positive impression of the teacher. Taken together, childcare teachers' facial expression language is critical for children and the childcare environment. Thus,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facial expression language would be helpful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child care. Plus, childcare environment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eachers do not experience difficulty in having pleasant facial expressions. This result might have the limitation of being collected from only female childcare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보육교사의 행정 업무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Office Stress on Happines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Teacher Effectiveness)

  • 김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31-337
    • /
    • 2020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정업무스트레스와 행복감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J 지역 보육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관련성과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은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 행복감 간의 관계 분석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이 나타났고,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은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행복감과 행정업무 스트레스의 상관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는데 이는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행복감은 감소하고, 행복감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셋째, 행정업무 스트레스는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을 의미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에서 행정업무 스트레스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고, 보육교사 처우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맞벌이가족의 부모역할 긴장과 부부관계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Dual-earner Families)

  • 정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51-16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various stressors among dual-earner families 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Using a survey data collected from 168 dual-earner couples, this study investigated impact of various stressors, including husband division of labor, the satisfaction of childcare arrangement, husband's support on wife's outside work, family socioeconomic status, and strains from job. The finding suggested that, after controlling background variables(length of marriage, the number of children, and family income), high husbands' support on wife's outside work and low strains about their work hours had influenced on higher parenting stress among fathers, while high strains about their work hours had related to high parenting stress among mothers. It also found that high satisfaction on childcare arrangement and low depression were the factors predicting higher marital satisfaction of mothers, and high support on their wife's outside work, low work role strain, low depression, and low parenting stress had influenced on higher marital satisfaction among fathers. Discuss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d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