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education

검색결과 2,181건 처리시간 0.029초

고등학생의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이현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3-10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97 respondents from May 27 to May 30th 2019.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PASW Statistics Ver. 18.0. Results: Whe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lower, and when the personality was more introverted, the students with lower school grade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s of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ntal health, the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roles. In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self-efficacy showed mediating roles. Conclusion: If the education for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is preferentially performed, the self-efficacy could be increased, which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on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garding the subjects of education, t would be more effective to provide selective and concentrative education to the group with significantly low scores of mental health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노인봉사활동이 여중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진로태도성숙도, 진로결정수준을 중심으로- (Effects of a older volunteer activity on the career development of girl's middle school student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decision level-)

  • 이재철;권낙원;윤성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4322-4327
    • /
    • 2011
  • 본 연구는 여중생들에게 봉사체험활동의 일환으로 정기적으로 실시한 노인봉사활동이 그들의 진로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Y여자중학교에서 인근 노인복지시설에 정기적으로 봉사활동을 실시한 2학년생 30명이다. 연구도구 및 내용은 진로태도성숙도검사지(CAMI)와 진로결정검사지 (CDS)를 사용하여, 구체적으로 진로태도성숙도의 5가지의 하위요인(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과 진로결정 수준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봉사활동이 여중생의 진로태도성숙도의 향상에 부분적인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봉사활동이 여중생의 진로결정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단위로 함께 참여했을 경우가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결정수준을 높이는데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로 볼 때, 노인봉사활동을 가족단위로 참여하는 것은 여중생의 진로발달에 도움을 주므로 진로 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관련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R&D 전문가들의 경력 지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The Career Orientations of R&D Professionals : An Empirical Analysis)

  • 차종석;김영배
    • 기술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215-249
    • /
    • 1998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orientations of R&D professional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tenure, and education level), affiliated organizations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reward systems. It further explores the contingent effects of the career orientation fit between leader and members on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 that : 1) five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technical, manager, project, technical transfer, and entrepreneur) are empirically distinguished, 2) technical orientation of R&D professionals is higher in public in private sectors, 3) technical, project, and manager orienta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while technical transfer and entrepreneur orientation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4) manager and technical transfer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age and tenure, 5) the career orientation fit between leader and member is closely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nd partially related with technical performance, 6) R&D professionals with different types of career orientation exhibit different preference to various reward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areer ladder, mentoring, and reward systems of R&D professionals.

  • PDF

초등교사의 경력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the Elementary Teachers - Focused on the 5th Grade Unit of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Our Body -)

  • 박현정;권석원;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3호
    • /
    • pp.305-316
    • /
    • 2019
  • Most research on verbal interaction in school has used general frameworks, not including general sense that encompass 'elementary' and 'science'. Considering the current framework, we developed a new framework containing items such as safety and science terms. In this study, we compared 2 beginner teachers and 2 career teachers using new frameworks. After preliminary experiments, we recorded 4 classes per each person and recorded all interac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career teachers shows more convergent question and agreement to students. And in experimental class the career teachers give more attention for safety. This study may present that it is necessary for beginner teachers to be trained focusing differences.

창업 이론 및 실습교육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문제해결능력 매개 효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al Education on Career Matur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 안태욱;이인아;권영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269-280
    • /
    • 2022
  • 대학교육에서는 창의적인 인재육성과 진로 개척 차원에서 창업교육에 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으로 구분하여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고 극복하기 위한 핵심역량으로 문제해결력 능력 매개 효과에 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153명을 대상으로 Smart PLS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이론교육과 창업실습교육은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긍정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이론교육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업실습교육은 진로성숙도에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능력은 대학생들의 창업교육(이론, 실습)과 진로성숙도 사이에서 매개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이론 및 실습교육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 창업이론 교육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를 도출하였지만, 창업실습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없다. 반면 창업실습-문제해결-진로성숙도의 간접효과를 판단해 볼 때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창업 실습교육은 창업 이론교육과 달리 그 자체로서는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는 못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의 창업 실습교육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며,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문제해결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 설계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고등학생의 '진로와 직업' 교육과 '진로심리검사'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e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Satisfaction on Career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김응용;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9-3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 568명을 대상으로 학교 진로교육(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진로교육', '진로관련특강', '입시설명회', '진로심리검사', '영상미디어(시청각)자료')을 각 활동에 대한 교육 만족도가 학생들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인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으로 나누어서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집단, 중집단 그리고 하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대상자에게 설문지로 조사를 하였다. 결과: '진로와 직업', '교과 연계 진로교육', '입시설명회'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모두 상집단이 중집단 및 하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진로관련 특강'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은 하집단> 상집단> 중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하집단 수치와 중집단의 수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심리검사'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은 '목표선택' 및 '직업정보'에서는 상집단> 중집단> 하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집단 수치와 중·하집단의 수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에서는 상·중·하집단 수치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영상미디어(시청각)자료' 교육의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에서는 상·중·하집단 간의 수치에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상미디어(시청각) 자료'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낮아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평가한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여 주고 있다고 본다.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 관계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 정점숙;정미조;유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543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from November 26 to 30, 2012.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was 3.56 on a 5 point-scale, 3.28 on a 5 point-scale, and 2.65 on a 4 point-scale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Career identity could be explained 26.2% by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dmission motivation, and school grade. Conclusion: Career identity was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s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areer Search Programs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김희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93-402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a Career Search Program on career search 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a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Fifty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8 in the control group. We used a Career Search Program which was held 6 times over 6 weeks, 90 minutes per session.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 SPSS 19.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areer search efficacy (t=2.07, p=.044) and career search behavior(t=2.65, p=.011)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career decision making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0.96, p=.342).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areer grade Search Program has an effect on increasing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in first grade nursing students. In addition, more programs to impact career decision making should be developed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Career Search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인오;이경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3-9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on nursing students' career search behavior.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544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about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from March 2 to April 5, 2010. Result: The average score of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was 3.61, 3.37, and 2.39 respectively.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behavior, between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and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Satisfaction in major and career search effic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areer search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search efficacy and career search behavior.

중학교 가정과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 CBAM 모형에 기초하여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Stages of Concern and Levels of Use about Career Education: Based on CBAM(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

  • 최민지;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65
    • /
    • 2011
  • 본 연구는 관심에 기초한 도입 모형(CBAM: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을 활용하여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단계와 실행수준 및 실태를 파악하여 진로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의 실행을 위한 지원체제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 중학교 가정과교사이며, 체계적 무선 표집에 의한 우편 설문과 편의 표집에 의한 이메일 설문을 통해 총 118부를 수집하여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 12.0을 활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독립적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가정과교사의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은 개인적이고 정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에 반해 실행수준은 다소 높은 수준인 정교화 수준으로 나타나, 교사들이 진로교육에 대한 관심이 낮은 반면 자신의 실행수준은 다소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교사들은 가정과수업에서 진로교육을 실행하는데 자료, 시간, 전문 지식 부족 등 총체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관련 자료 개발과 보급 및 연수 기회 제공과 같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