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ommitmen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3초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에 관한 연구: 군 장교를 대상으로 (A study of the career deal model for military officers)

  • 우웅기;이진규;권상순
    • 한국국방경영분석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57-176
    • /
    • 2009
  • 본 논문은 360명의 군 장교들을 대상으로 비영리조직이면서 동시에 전통 관료제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군대조직의 경력거래모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개인의 적극적인 경력관리활동이 조직의 경력관리도움을 유도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개인 경력관리활동, 조직의 경력관리도움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심리적 계약의 틀 안에서 설명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의 경력관리 활동이 조직몰입의 선행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군 조직의 경력관리활동이 장교들의 정서적 몰입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영리조직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경력관리활동의 유형 별 효과가 군 조직에서도 가능함을 밝혔다. 이런 분석결과들로 볼 때, 군은 장교들의 자기 주도적 경력계획을 적극 유도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차별화된 경력관리도움을 제공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핵심인력을 확보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매개효과: 진로결정몰입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at Vocational Training School : focusing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 이수경;김연성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25-144
    • /
    • 2019
  •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과 진로대안배제경향)이 자기결정성(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함으로써 진로준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전략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A직업전문학교 258명이었으며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진로결정몰입(진로탐색몰입, 진로대안배제경향)은 자기결정성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자기결정성(유능감, 자율성, 관계성)은 진로준비행동을 예측하였고 이 중 관계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직업전문학교 학생들의 진로준비 행동을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 자기결정성과 진로결정몰입을 높일 수 있는 학습 환경의 조성과 그에 상응하는 진로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간호사의 직무특성, 경력몰입 및 그 적합성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Career Commitment and the Job Fitness on Job Attitude of Clinical Nurses)

  • 김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87-40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career commitment, and the fitness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on the nurses' job attitude(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aken by 594 nurses working at eight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Chungbuk 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throug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ree dimensions(task significance, skill variety, autonomy) of five core job characteristics have positive influence on job involvement and only one dimension(autonomy) of five core job characteristics has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nurses. 2. The level of career commitment have positive influence on both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ceil}$high job characteristics-high career commitment${\rfloor}$ groups and ${\lceil}$high job characteristics-low career commitment${\rfloor}$ groups for job involvement and job satisfaction in nursing organization.

  • PDF

간호사의 멘토링 기능과 경력 몰입의 관계에 대한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 주인서;배을규;김대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05-41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registered nurses. Methods: A total of 396 registered nurses from 19 hospitals located in Incheo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and AMOS 18.0 program. Results: The mentoring fun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function and career commitment. Conclusion: To enhance the level of career commitment perceived by registered nurses, hospital organizations need to implement effective mentoring programs and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e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 Min, Yun-M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3호
    • /
    • pp.172-18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ectionism and dance achievement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Specif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dance achievement through the medium of dance commit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as constructed with perfectionism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dance commit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ance achievement as endogenous variables. The fin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9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data were processed by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personal characteristics using SPSS 23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search tools. In addition, AMOS 21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processing on the research model. First,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tendency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commitment. Second, the sub-dimensions of perfectionism 'worry about mistakes', 'personal standard', and 'doubt about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ance commit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bu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ance achievement.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ay-care Teachers)

  • 심경희;부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40-54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정서지능의 중요성 및 보육교사의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원시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경력몰입, 조직몰입은 모두 중간 점수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은 경력몰입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과 조직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경력몰입에 대해 약 20.1%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 자신의 정서 인식하기 순으로 경력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조직몰입에 대해 14.2%의 설명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서지능의 하위 변인 중 자신을 동기화하기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조직 몰입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nurses' Organizational)

  • 고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71-181
    • /
    • 200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 :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356 nurses from 6 hospital at Seoul and Kyung Gi province, in Korea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developed by Mowday was use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by SAS program. Result : The Study was found that 1) The mean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01. 2)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positive correlation with age, career and position of the whole nurses, but it was different from each hospital. 3)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nurses' age, career, posi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4) But the correlations betwee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ligion, marrital status, nurses' age, career, position were different from each hospital. Conclusion : Therefore before each hospital want to improve it's own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hospital managers have to find factors which influence to th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directly, indirectly.

  • PDF

R&D인력의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 : 연령과 창의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Profession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Creative Behavior)

  • 차종석;박오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4호
    • /
    • pp.122-145
    • /
    • 2018
  • 본 연구는 R&D인력이 경험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직무내용 정체로 구분하여 조직몰입과 관계를 규명하면서, 추가적으로 개인의 연령 및 창의적 행동특성이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근무하는 418명의 R&D 인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구조적 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주니어 R&D인력일수록 구조적 정체가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내용 정체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창의적 행동특성이 강한 R&D인력의 경우에 직무내용 정체와 조직몰입의 부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R&D인력의 경력정체 이슈에 관한 이론적인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Commitment and Professionalism of Perioperative Nurse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 윤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193-7203
    • /
    • 2014
  •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병원 수술간호사회 보수교육에 참석한 수술실 간호사 315명이며, 자료 분석은 SPSS/PC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단계적 다중선형 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04{\pm}.42$, 평균 경력몰입은 $2.89{\pm}.67$. 전문직관은 $3.04{\pm}.29$로 나왔으며, 간호사의 경력몰입과 전문직관의 정도가 높을수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7.3%로 나타났으며 경력몰입(${\beta}$=0.395)이 전문직 관(${\beta}$=0.298)보다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수술실 간호사들의 조직몰입을 통한 인적자원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Burnout and Career Commitment of Childcare Teachers)

  • 김영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57-76
    • /
    • 2012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북지역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PSS 12.0(v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Likert 5점 척도를 사용 했을 때 감정노동 3.05, 소진 3.22, 경력몰입 2.86 순서로 평균값을 나타냈다. 둘째, 감정노동, 소진, 경력몰입은 변인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셋째, 감정노동은 소진 하위변인인 정서적 소진, 비인격화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성취감은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감정노동은 경력몰입에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암묵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었던 소진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심도 깊은 논의를 거쳐 인적 자원관리 차원에서 보육교사 감정노동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