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Commitmen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미용분야 종사자의 경력개발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홍수남;권오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9-48
    • /
    • 2020
  • This study's research method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in the field of beaut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survey targeted 271 beauty work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For data analysis, SPSS 21.0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nalyzed, followed by a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ird, correlation analysis, and finally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tail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of beauty work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vestigate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independent variables, self-develop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orient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developmen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Second, the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of beauty workers on co-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investigated. The result is as follows. By the independent variable, self-development, and career orientation,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development,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However, goal orientation had no effec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As beauty is a creative pursuit, it is often done in collaboration rather than alone, and therefore camaraderie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foundation of a commitment to a company. It is a field that goes after a goal after committing to a community mindset, instead of pursuing a goal alone.

취업모의 일의 의미와 자녀수반자기가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the Meaning of Work and Child-Based Self-Worth on Career Commitment in Working Moth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the Work-Family Interface)

  • 박민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4호
    • /
    • pp.39-57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olve the factors that affect happiness levels and l Considering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careers of working mothers,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meaning of work (MOW) and child-based self-worth (CBSW) on the work-family interface and career commitment. This is the first exploratory study to examine MOW and CBSW as resources for working mothers. For 10 days, starting August 18, 2020, 309 working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commissioned by a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e, and 250 valid samples were then analyzed. The analysis found, first, that MOW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work-family enrichment and family-work enrichment and a negative effect on work-family conflict. Second, CBSW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family and family-work conflicts. Third, work-family enri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while work-family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commitment. Finally,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three paths were determined: MOW→work-family enrichment→career commitment; MOW→family-work enrichment→career commitment; CBSW→work-family conflict→career commi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better manage the career commitment of working mothers,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MOW, CBSW, and work-family interface.

보호직공무원의 소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와 경력몰입의 매개효과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Testing a Mediated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 고자인;강경아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4-20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in probation officers. Additionally, multiple mediator model was run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in the relations of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Four factors (job satisfaction,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career commitment) were measured with Likert scale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ug. 1 to Sept. 20, 2014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Participants (211 probation officers) were selected from 7 probation offices and 1 Juvenile Training School in Seoul of South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 AMOS 21, and Sobel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 was as followings. 1)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perceiving a call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2) Results indicated that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fu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mental health in probation officers is necessary to implement concerning work meaning and career commitment progra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of career-related stress, commitment to a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 이미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767-877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진로선택몰입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5월 6일부터 5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선택몰입(r=-.731, p<.001)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449,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진로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beta}$=.99, p<.017)과 진로선택몰입(${\beta}$=-.707, p<.001)이었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진로선택몰입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Commitment for Students in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 소운영;김소연;박채연;김연준;노효련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415-424
    • /
    • 2019
  • 본 연구는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가 진로결정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18명의 방사선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방사선과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보통' 정도였으며 진로결정몰입도는 '보통'에서 '미몰입' 수준으로 1학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고 4학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만족도는 진로결정몰입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는데 특히, 하부요인인 전공 자부심이 진로결정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방사선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몰입도는 미몰입 수준으로 낮게 나타나서 진로결정몰입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Career Anchor Style)

  • 박희동;박민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97-116
    • /
    • 2012
  • 경력은 한 개인이 일생을 두고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 및 활동에서 지각된 일련의 태도와 행위이다. 종업원은 경력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직무관련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경력 닻을 형성하게 되는데 조직에서는 경력개발활동에서 경력 닻에 따른 종업원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 조직역량 강화와 조직유효성을 증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업원의 경력개발과정에서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서는 국내 299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력 닻의 유형 중 기술/기능적, 안전/안정적, 순수도전적,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적, 창조적, 자율/독립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술/기능적, 관리적, 안전/안정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관계가 검증되었으나 창조적, 자율/독립적, 순수도전,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 및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Cultural Program Commitment on Career Perception &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Local Children Centers' Services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Moderated by Social Support)

  • 장선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3-204
    • /
    • 2021
  • 본 연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N시 지역아동센터 22개소에 다니는 190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몰입, 진로인식, 진로발달,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PC+ 25.0의 SPSS MACRO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 첫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은 자기효능감, 사회적지지, 진로인식, 진로발달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영향을 주며, 문화프로그램 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영향을 매개하는 자기효능감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것이 검증되었다.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아동·청소년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커지고, 문화프로그램몰입이 진로인식과 진로발달에 주는 긍정적 영향이 촉진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평행모델을 이용한 조직구조화 변인의 사회복지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 효과 (Effec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Variable on Social Welfare's dual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Career by Parallel Model)

  • 강종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1-309
    • /
    • 2012
  • 전문직인 사회복지사가 현재 근무하는 기관에 대한 조직몰입과 사회복지전문직에 대한 경력몰입에 대해 동시에 이중몰입할 경우 업무수행 성과가 우수하며 조직 전체의 효과성에 대한 기여도 역시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복잡성, 공식화, 분권화로 대표되는 사회복지 조직구조화 변인이 사회복지사의 조직과 경력에 대한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평행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조직구조 설계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조직구조화 변인 중 복잡성과 분권화는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몰입 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과 경력에 대한 몰입수준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분업화의 원리에 따른 과업 세분화와 일선 사회복지사에게 전문적 재량권이 존중되는 조직구조의 설계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R&D 인력의 사회적 네트워크와 자아존중감이 조직몰입과 경력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R&D Employees' Social Network and Self-Estee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Orientation)

  • 이동백;박성환;강민형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4호
    • /
    • pp.77-104
    • /
    • 2016
  •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D employees is critical for a small or medium sized firm's sustainable growth. R&D employees have professional skills and choose expertise-oriented or management-oriented careers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is study synthetically verifie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D employees' social network and self-esteem on their career orientation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and social recognition theory. The research model has been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urvey responses from 220 R&D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firm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nternal network activities hav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orientation, but external network activities do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or career orientation. There is no consensus in prior studies on whether expert orientation and management orientation are distinct concepts. In this study, these two types of orientation are verified as distinct concepts. It is also found that R&D employees' internal network activities are significant factors for a company's growth. A company should implement an educational system of roles and duties using which individuals can pursue career progress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career development programs such as job rotation, mentoring, and career couns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