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IPP Model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8초

항공서비스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의 인식, 서비스 호스피탈리티 및 서비스 지향성에 관한 연구 :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f Students' Perception on Cabin Service Curriculum,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Orientation focusing on CIPP Model)

  • 박지영;김기웅;최덕진;박성식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9-79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the curriculum of the cabin service major students at 2 year colleges through the CIPP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evaluation model and an empirical analysis on how their awareness affects Service Orientation and Service Hospitality. It was proven that the CIPP evaluation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and also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 Orientation statistically. However, the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itself is not associated with the increase of Service Orientation and Service Hospitality so it negatively affected them. Moreover, both the Service Management program(Process) and Service Attitude(Product) have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Hospitality, and Service Hospitality also has a meaningful effect on Service Orientation. So it resulted in a casual relationship among them. As a result, it is desperately necessary to promo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and help students to become flight attendants. It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awareness of the Service Management program(Process) and Service Attitude(Product).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5-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 도출 및 전문대학 직업교육에 적합한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평가 모형을 적용한 유아교육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핵심내용으로 학과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사행정적인 절차로서 PDCA의 절차를 활용하고, PDCA 평가(C) 단계에서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다수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 모형인 CIPP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역할 및 질 문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다양한 기관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CIPP 평가 모형을 적용한 대기업 사원 공학입문 교육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tisfaction of New Employee Engineering Introduction Training Program Applying CIPP Evaluation Model Focusing on D Corporation)

  • 전주현;이재응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79-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introductory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employees, who majored liberal arts or commerce, among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industrial workers which are performed as an effort to spread the performance of the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nd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through effective program oper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CIPP evaluation model (context, input, process, product). A factorial analysis and a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ased on a survey made on 87 persons who completed the introductory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among the employees of D group who majored liberal arts or commer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ward suggesting the implication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industrial workers in order to find out the important factors of satisfaction and to conduct the education operation with professionalism.

CIPP 모형에 기반한 국립환경인력개발원의 공무원 환경교육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of Public Servants in NIERD based on CIPP Model)

  • 서우석;김진모;전영욱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106-11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public servants i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uman Resource Development(NIERD). Based on CIPP model, Evaluation areas and items were made.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s internal information from November, 2005 to January, 2006. Based on the interviews and survey of 11 employee from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 context factors, input factors, process factors, product factors were evalua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nvironmental officials indicated lack of interest about education of Ministry of Environment, lack of education expense, lack of expertise of employee in training and development team, and so on. Second, the curriculum for environmental officials was not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officials' readiness for education, developmental level and competenc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PDF

CIPP모형을 활용한 항공서비스교육 평가 -만족도 및 재추천에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Airline Service Education Using the CIPP Model -focus on factors which influenced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of the training program-)

  • 박혜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510-523
    • /
    • 2012
  • 본 연구는 CIPP모형을 활용하여 항공서비스교육의 성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CIPP모형의 상황평가(Context), 투입평가(Input), 과정평가(Process), 산출평가(Product)를 중심으로 요인을 도출하고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와 재추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만족도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투입평가(I)의 인적자원은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에는 상황평가(C)의 교육목표, 과정평가(P)의 상호작용, 교육지원, 산출평가(P)의 직무성과 요인이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상황평가(C)의 요구진단은 부정적인 요인으로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항공서비스교육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적자원이 아니라 교육의 목표, 상호작용, 프로그램관리, 성과를 높여야 하며, 서비스교육의 재추천을 위해서는 항공사의 요구진단보다는 교육목표, 상호작용, 교육지원, 직무성과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택소노미와 CIPP 모형을 활용한 학교도서관 우수프로그램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Ch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Program Employing Taxonomy and CIPP Model)

  • 강지혜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63-28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각종 도서관 평가에서 선정된 우수사례 가운데 학교도서관 우수 프로그램 19건 (세부프로그램 161건)을 분석하였다. The Library Media Specialist's Taxonomy와 CIPP 모형을 기준으로 콘텐츠 분석을 시행하였다. 사서교사가 프로그램에 관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택소노미 분석에서는 학교의 구성원이 도서관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7단계가 37.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택소노미의 10 단계 가운데 상위단계 (6~9단계, 사서교사의 관여도가 높음)가 65.9%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CIPP 모델을 통해 분석한 결과, (상황) 대부분의 우수 프로그램은 독서교육(41.5%)과 도서관 이용법 교육(11.3%)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학습자의 요구로 시작된 사례가 과반(53.8%)을 넘었다. (투입) 우수 프로그램은 다양한 교재교구를 활용하였으며 고정된 시간에 운영되었다. (과정)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법으로 운영되었는데, 독서교육(30.4%)과 문화활동(17.3%)이 주를 이루었다. (산출) 프로그램 운영 결과,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와 학생들의 성취도 향상과 프로그램 효과성이 보고되었다.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항공종사자 전문교육기관 교육과정(항공정비사) 평가준거 개발 (Evaluation Criteria Development of Course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Dedicated to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 남명관;박상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1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based on CIPP evaluation model dedicated to approval of training organiz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researchers scrutinized related documents and precedent studies, initiated the draft for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and secured validity for evaluation conformity initiated through Delphi Method survey. To secure validity for evaluation conformity, the researchers conducted two Delphi Method surveys of an expert panel of 22 professionals from relevant fields including official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searchers from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instructors from approved training organizations and officials from industries. Through the surveys, the researchers determined 4 evaluation areas, 13 evaluation items and 52 evaluation indexes as the evaluation conformity to operate courses for aircraft maintenance mechanics. On top of that, the researchers established evaluation system in the courses for aviation professionals (aircraft maintenance mechanics), and suggested a follow-up studies regarding managing the quality of education.

CIPP 모형을 적용한 창의·인성교육 평가준거 및 지표의 탐색 (Explora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and Index by Applied CIPP Model in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 원효헌;전은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6권5호
    • /
    • pp.1108-111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read the education of human creativity program and its possibility of consistency, and its application to school system by exploring the evaluation system that determines the valuable and useful decision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valuation system according to CIPP model regarding the program's general ideas and its role. The interest of the education of human creativity was increasing as well as its progress of program, and we searched 13 figures and 55 evaluation index according to increase the program's effectiveness and nation-wise situation of evaluation mode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human creativity program's evaluation was composed of six compartments. And the context evaluation was composed of three evaluation models and eleven index, and input evaluation was composed of three evaluation model and 15 index, while process evaluation is composed of three evaluation models and thirteen evaluation index. Lastly, output evaluation had four evaluation model and sixteen index.

CIPP 모형을 활용한 대학 융복합 교육과정의 효과성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University Convergence Curriculum using the CIPP model)

  • 강경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35-142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CIPP 모형을 활용하여 대학 융복합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K대학의 융복합 교육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758개의 데이터로 집단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과 성과인식과 교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먼저, 수업활동(CA)이 가장 높았고(M=3.85), 교과이수설계(CD)가 가장 낮았으며(M=3.35), 집단의 특성에 따라 교과목표와 교과내용, 수업활동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둘째, 융복합 교육 과정의 성과인식과 교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는 요구반영과 교과이수설계, 학습자활동, 성과인식, 교과만족도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획단계에서부터 교수와 학생의 요구를 반영하여 설계하고, 참신한 내용과 적극적인 교수학습활동으로 만족도와 성과인식을 높여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융복합 교육과정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CIPP 모형을 활용한 사이버 범죄 예방 교육 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ational Cyber Crim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IPP Model)

  • 정환수;우유란;이중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9-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 중인 사이버 범죄 예방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기 위해 예방 교육 수강자의 교육 만족도와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교육 평가에서 활용되는 CIPP 모형을 바탕으로 상황 평가의 사회 요구 수준과 지식수준, 투입 평가의 주제의 최신성, 과정 평가의 상호작용이 수강자의 교육 만족도와 산출 평가의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예방 교육 수강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상황 평가의 지식수준과 투입 평가의 주제의 최신성, 과정 평가의 상호작용이 교육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상황 평가의 주제의 최신성과 투입 평가의 상호작용, 교육 만족도가 산출 평가의 학습 전이와 유의미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이버 범죄 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계획 수립 시 수강자의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개선 방향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