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king Time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3초

PIV기법을 활용한 쇄파의 유동구조 해석 (A Study on Flow Structure of Breaking Wave through PIV Analysis)

  • 조효제;이언주;도덕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3-47
    • /
    • 2009
  • This paper compares theoretical wave profile and particle kinematics with experimental results generated by a 2 D wave tank. Particle velocity fields of compound waves were acquired using a PIV technique. Synchronization was applied to acquire images of the wave fields, and the time gap between these images was controlled by the user. This technique was applied to investigate the wave breaking mechanism, and the wave profile and velocity distribution in a wave breaking field was obtained.

절연구간 조가선 FRP 절연봉의 절단사고 원인분석 (Analysis of Breaking Accident of FRP Insulator Rod installed in Dead Section)

  • 장동욱;이기원;김주락;박현준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502-505
    • /
    • 2003
  • The accidnet of breaking insulator rod leads to inturruption of moving the subway. We investigate the analysis of analysis of breaking accident of FRP insulator rod installed in dead section for catenary feeding system. To analysis of accident reason, SEM is used to analysis microscopic struture on surface of cross section of broken FRP insulator rod. At the same time, we examine the chage of atomic amount on solace of accident insulator through EDX analysis. Also, the test for tensional breaking load is condoled to check the mechanical strength.

  • PDF

분전반 관리시스템 평가를 위한 시험 장치의 제작 및 특성 분석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 Testing Device for the Evaluation of a Distribution Board Management System)

  • 고완수;이병설;최충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36
    • /
    • 2019
  • This study made a testing device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board management system. Power was supplied to the testing device using a loading-back method and the voltage applied to it was 440 V at the same turn ratio. When the human body electric shock current is 30 mA, the breaking time is set to be less than 240 ms while 30~45 mA current is flowing. The test result shows that in the case of the R-phase it was measured to be 5.19 Hz (193 ms). And the S-phase and T-phase were perfectly cut off at 5.39 Hz (186 ms) and 5.71 Hz (175 ms), respectively. When the human body electric shock current is 60mA, the breaking time is set to be less than 120 ms while 45~75 mA current is flowing.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R-phase, S-phase, and T-phase were accurately cut off at 8.39 Hz (11 ms), 8.87Hz (113 ms) and 9.69 Hz (103 ms), respectively. When the human body electric shock current is 90 mA, the breaking time is set to be less than 48 ms while 75 mA current is flowing.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R-phase, S-phase, and T-phase were accurately cut off at 19.8 Hz (50.4 ms), 16.9 Hz (59.2 ms), and 17.9 Hz (56.0 ms), respectively. That is, the developed testing device satisfied all the requirements of the distribution board evaluation criteria, and it becomes availabl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distribution board management system.

碎波壓의 實海域 측정 (In Situ Measurement of Breaking Wave Pressures)

  • 심재설;전인식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1-148
    • /
    • 1999
  • 圓形 파일에 작용하는 卷波性 碎波力은 쇄파제원과 동일한 正弦波를를 대상으로 한 모리슨식의 계산치보다 그 크기는 월등 크나 보통 백분의 수초 이내의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작용한다. 따라서, 碎波力을 받는 파일의 설계에서 파일의 變位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쇄파력 작용에 의한 動的擧動을 해석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파일 延長上 쇄파력의 시게열에 대한 事前정보가 필요하며, 이는 파일 주변의 碎波壓 시계열로부터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卷波性 碎波의 작용에 따른 쇄파압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實海域에 설치되어 잇는 원형파일에 波壓計를 부착하여 쇄파압을 관측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해안선의 변화와 수치계산 (Shoreline Changes due to the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 and its Numerical Calculation)

  • 신승호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6
    • /
    • 2001
  • A numerical model for practical use based on the 1-line theory is presented to simulate shoreline changes due to construction of offshore structures. The shoreline change model calculates the longshore sediment transport rate using breaking waves. Before the shoreline change model execution, a wave model, adopting the modified Boussinesq equation including the breaking parameters and bottom friction term, was used to provide the longshore distribution of the breaking waves. The contents of present model are outlined first. The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contained in this model are clarified through the calculations of shoreline changes for simple cases. Finally, as the guides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this model, several comments are made on the parameters used in the model, such as transport parameter, average beach slope, breaking height variation alongshore, depth of closure, etc. with the presentation of typical examples of 3-dimensional movable bed experimental results for application of this model. Here, beach change behind the offshore structures is represented by the movement of the shoreline position. Analysis gives that the transport parameters should be taken as site specific parameters in terms of time scale for the shoreline change and adjusted to achieve the best agreement between the calculated and the observed near the structures.

  • PDF

국내 자생벼 계통의 탈립성과 이층조직의 특성 (Relationship between Degree of Grain Shedding and Histological Peculiarities of Abcission Region of Red Rice(Oryza sativa L.) Collected in Korea)

  • 임원재;최광귀;진일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39-247
    • /
    • 1990
  • 우리나라 자생벼 수집 보존 계통들이 지니고 있는 우량 형질을 선발하여 벼 신품종 육종의 소재로 삼기 위하여, 우선 벼알과 소지경 사이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를 측정하여 자생벼들의 탈립성정도를 분급함과 동시에 외국산 적미들 및 우리나라 재래종, 통일형 및 일본형 등 주요 품종들과 비교하였으며, 자생벼들의 탈립성이 강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벼알 탈락부위에 형성되는 이층조직의 유무 및 붕괴성과 벼알의 탈립성정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벼알 탈락부위의 몇 가지 해부형태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자생벼들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는 외국산 적미들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통일형 품종과 재래종 및 일본형 주요 품종들 보다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벼들 중에서는 최근 수집된 '샤레'들이 가장 약했다. 2. 우리나라 자생벼를 비롯한 모든 공시 품종에서 항곡강도와 인장강도 사이에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3. 우리나라 자생벼들 중 대부분은 소수축과 소지경 선단 돌출부 사이에 이층조직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단립적색종 및 단립갈색종들은 거의 모두 붕괴되지 않은 이층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며, 장립적색종 및 '샤레'들은 붕괴되는 이층조직을 가지고 있었고, 이층조직이 없는 자생벼들도 일부 포함되어 있었다. 4. 자생벼의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는 이층조직이 붕괴되는 것, 이층조직이 붕괴되지 않는 것 그리고 이층조직이 없는 것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5. 자생벼들 중 장립적색종들은 소지경 선단 돌출부의 직경, 중심 유관속의 직경, 벼알 부착부의 직경 중심 유관속 주변의 후벽조직 두께 및 소지경선단 돌출부의 길이 등 벼알 탈락부위의 해부형태학적 특성이 다른 자생벼들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자생벼에서 장ㆍ단위종 모두 인장강도 및 항곡강도와 벼알 부착부의 직경 및 중심 유관속 주변의 후벽조직 두께와의 사이에는 각각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휴면타파부터 개화개시까지의 일 최저온도가 사과 생물계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of the Period from Dormancy Breaking to First Bloom on Apple Phenology )

  • 남궁경봉;윤성철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08-217
    • /
    • 2023
  • 정확한 자발휴면 타파일 및 개화기간 추정은 사과 화상병의 효과적 방제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 기간은 이 기간 동안의 일 최저기온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는 이 기간의 일 최저기온이 사과 생육단계 중 개화기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화상병 방제를 위한 병모델 구동이 목적이었다. 원예특작과학원에서 제공하는 우리나라 사과나무 재배지역을 대표하는 8개 과수원에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웹캠으로 관측한 영상자료로부터 최초 개화 관측일을 얻었다. 또한 같은 과수원에서 자발휴면 타파일은 전년도 10월 1일부터 자동기상 측정 장비로부터 받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자발휴면 타파일은 -100.5 DD에 도달하는 날로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회귀분석은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의 기간(Y)을 종속변수로 이 기간 중 일 최저 기온이 0℃ 이하인 날(X1)이 며칠 인지를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식으로서 Y = 0.87 × X1 + 40.76, R2= 0.83의 결과로서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또한 같은 기간(Y)을 종속변수로 하고 자발휴면 타파일을 줄리안데이(X2)를 독립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Y = -1.07 × X2 + 143.62, R2=0.92의 결과로서 뚜렷한 부의 상관관계를 얻었다. 따라서 자발휴면 타파일부터 개화 개시일까지의 기간은 월동 중 최저기온에 영향을 받으며, 이것이 사과 화상병 감염에 중요한 개화기간 변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한 배 '신고' 자발휴면타파시기 추정 (Estimation of Dormancy Breaking Time by Development Rate Model in 'Niitaka' Pear(Pyrus pirifolia Nakai))

  • 한점화;이상현;최장전;정상복;장한익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8-64
    • /
    • 2008
  • 배 '행수'의 자발휴면기의 발육속도 모델을 이용하여 배 '신고'의 자발휴면 타파기 예측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겨울철 기온이 온난화됨에 따른 휴면타파시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모델에 의해 예측된 자발휴면 타파시기와 포장에서 조사된 휴면타파시기가 12월 12일$\sim$12월 19일로 일치하여 배 '행수'의 발육속도 모델을 배'신고'에 적용하는 것이 큰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 휴면타파시기가 지연되었으며, $4^{\circ}C$이상 상승하면 제주도를 중심으로 휴면타파에 필요한 저온 부족현상이 발생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플라즈마 지발 전력충격파암기의 적정 지발시차 및 진동과 소음크기 고찰 (A Survey on the Magnitude of the Sound, Ground Vibration and Properly Delayed Interval of a Plasma Rock-Splitting Machine driven by Electric Shocks)

  • 원연호;강추원;김일중
    • 화약ㆍ발파
    • /
    • 제27권1호
    • /
    • pp.7-20
    • /
    • 2009
  • 본 연구는 플라즈마 암 파쇄공법의 단발형태에 따른 시공성 향상을 위해 플라즈마 전력충격기에 5단계의 지발시차를 적용하여, 1단계부터 5단계까지 단계별로 지발당전해질량을 1kg, 2kg, 3kg, 4kg, 5kg으로 변화시키고, 기폭에 따른 지발시차와 진동및 소음의 크기를 측정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단계의 전력충격파암기의 지발시차는 전해질 연결개수 1~3공은 약 40~50ms, 4~5공은 약 70~80ms, 진동의 크기는 에멀젼 폭약에 비해 약 3~6배 정도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탈색조건이 모발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ach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Hair)

  • 신승엽;정혜원;황나원;황희종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875-884
    • /
    • 2012
  • Many Koreans have recently bleached their black hair to blond or a light color due to the influence of their favorite Korean idols. Bleaching effects were studied under various bleaching conditions,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oxidants, the ratio between bleach accelerant and oxidant, and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The degree of damage of bleached hair with the same color difference (${\Delta}E$) intervals was observed in SEM images, the retention of breaking load and the change of color after dyeing. The ratio between bleach accelerant and oxidant of 1:2.5 was an effective condition. $L^*$ values of the bleached hair treated with 9% oxidant increased to 90 min. At a treatment temperature of $30^{\circ}C$, $a^*$ values were maximum at 30 min and then decreased as time further increased; however, $b^*$ values of the bleached hair increased as the treatment time increased. At $45^{\circ}C$, both of $a^*$ and $b^*$ values showed a maximum at a specific time. Bleaching efficiency was influenced most by temperature, followed in order by time, and oxidant concentration. As the treatment time increased, $L^*$ values greatly increased with twice treatment; however, $a^*$ and $b^*$ values decreased. Bleached hair, which had a color difference of higher than 30, showed the scales were completely removed and the retention of the breaking load greatly decreased. Highly bleached hair showed a great decrease in $L^*$ values by dyeing; however, dyeing with bright colors was more indicative to the effect of ble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