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havioral intention use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6초

패션 및 뷰티 제품의 모바일 쇼핑에 영향을 미치는 마켓 메이븐 및 시간지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arket Maven and Time Orientation have on Mobile Shopping - With a Focus on Mobile Shopping -)

  • 남미우
    • 복식
    • /
    • 제64권5호
    • /
    • pp.30-49
    • /
    • 2014
  • Mobile shopping, through the use of the smart phone, has become a very popular shopping method for consumers due to it not being limited by time or place. This research aims do the following:1)find the causes for consumers shifting to mobile shopping with the focus on fashion and beauty items; and in order to so, this research will use the TAM that was found by David et al (1989), and 2) distinguish any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consumer groups divided into purchasing intention of fashion and beauty items through smart phon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rsonal characteristics(i.e. market maven, time orientation), perceived usability, ease of use,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and purchase intentions were all treated as dependant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attitude towards mobile shopping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on mobile shopping intentions. Time-oriented and Market Maven were thought to affect mobile shopping attitud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of purchase intention. Also, when purchasing smart phones, consumers highly valued smart phone's popularity; people with higher purchasing intention mainly used entertainment and utility apps. The following are the main reasons for not purchasing through mobile shopping: they are slower than computers, inconveniences in viewing due to small size of the screen, and security issues. The consumers used the internet as their main source of acquiring daily information. In this research, factors tha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were studi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rmly insist that this research correctly predicts the actual purchase intention-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urchase intention and actual purchase intention.

자기노출 요인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Factor on Exposure Behavior of Social Network Service)

  • 권두순;김성준;김정은;정혜인;이기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209-233
    • /
    • 2016
  • 최근 소셜 네트워크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기업의 등장은 빠른 성장세에 있으며, 다양한 소셜 미디어 서비스 출현으로 e-비즈니스에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웹(web) 상에서 지인(知人)과의 인간관계를 강화시키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소셜 미디어 영역 중 하나이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이에 따른 수익창출, 미디어 분야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의 인식으로 많은 글로벌 IT기업들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가장 강력한 소셜 미디어로 인식하고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에 힘쓰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정보에 대한 자기노출을 다룬 중요한 요인인 프라이버시 침해의 미인식, SNS 사용목적, 개인정보의 중요성 인식을 통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노출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의 특정 행위, 감정적 반응을 기술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는 합리적 행위이론 (Theory of Reasoned Action)을 바탕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자기노출에 대한 영향요인이 TRA의 행위에 대한 태도(Attitude Toward Behavior)로서의 부정적 태도(Negatude), 주관적 규범(Subjective Norm), 행위의도(Behavioral intention), 그리고 노출행동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위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서울 소재 Y대학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총 198부의 표본을 수집하였으며, 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프라이버시 침해 미인식이 부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 가정된 경로모형에서 프라이버시 침해의 미인식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사용목적이 부정적 태도,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개인정보의 중요성 미인식은 주관적 규범, 행위의도,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였으나, 부정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부정적 태도와 주관적 규범이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여, 부정적 태도가 낮을수록 행위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행위의도가 노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자기노출 과정을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심리적, 사회적 변인들을 통합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4차 산업 기술 패션 서비스 체험마케팅 요인이 소비자 수용과 이용에 미치는 영향 : 3D프린팅, 사물인터넷, 혁신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of fashion service apply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customer acceptance and use : focusing on 3D printing, internet of things, and innovation)

  • 정소정;이영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3-108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of 3D printing and Internet services on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and usage intention. Furthermore, we analyzed how the user's innovativeness shows th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Data acquired from a total of 518 college students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was perfromed by SPSS 21.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tial marketing factors of fashion service utilizing the 3D printing and the Internet of Things on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and intention to use these technologies. As for 3D printing, first, sensory and behavioral factors are positively related to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Second, emotional and cognitive factors have negative effects on all technology acceptance. Third, relational fac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veral conditions of technology acceptance. Fourth, the effects of technology acceptance on the willingness to use have a positive effect on several conditions factors, except the effort expectation. As for the result concerning the Internet of Things first, behavioral factors have a positive effect on all technology acceptance. Second, emotional factors have a negative effect on all technology acceptance. Third, cognitive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various conditions and showed negative effects on several factors. Fourth, sensory and relational factors did not affect the acceptance of technology. Fifth, the effects of technology acceptance on the intention to use are affected by several conditions, except for effort expec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user's innovativeness on the willingness to use, 3D printing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innovation. However, the Internet of Thing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user acceptance of technology acceptance.

정보가전의 기술 수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양방향 TV를 중심으로 - (An Empircal Study on the Adoption of Information Appliances with a Focus on Interactive TV)

  • 유효식;최훈;김진우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2권2호
    • /
    • pp.45-68
    • /
    • 2002
  • Technology adoption for information appliance, which is expected to grow rapidly in the near future, is different from other technologies in that it is mainly used in the home environment when the customers haven't experienced it before. This paper finds important variables from prior research about technology adoption and develops a measurement model that fits for the information appliance. Pretest and pilot studies for the model is conducted in order to guarantee content validity, reliabil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Finally, LISREL analysis is used for finding out the causality among variables and testing for model fitnes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ree factors that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 are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ttitude is influenced by attitudinal belief, which consists of perceived usefulness, trialability, result demonstrability, image and enjoyment.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is influenced by control belief that consists of rapid change in technology, cost and ease of use. This paper ends with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study results.

환경관심, 환경지식, 소비가치가 업사이클 제품의 구매의도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Consumer Value on Purchase Intention and Behavior of Up-cycled Products )

  • 전찬호;박상혁;오승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31권1호
    • /
    • pp.123-138
    • /
    • 2024
  • With the increase in online shopping and delivery food consumption since the pandemic,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ingle-use packaging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Upcycling' is a combination of 'Upgrade' and 'Recycle', and it is the rebirth of obsolete or discarded objects by adding new value to them, and there are currently various upcycled products on the market. In order to activate upcycling, consumer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heir values for consumption are very importan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udents'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consumption value on their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environmental concern, environmental experience, and consumption value, hypotheses were set,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vironmental concer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environmental concerns such as global warming and waste disposal problems increase, the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upcycled products increase. Second,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is rejected. It was found that environmental knowledge is acquired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ny SNS, but it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onsumption value of college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by increasing their positive perception of upcycled products. Fourth, college students' purchase intention of upcycled produc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behavioral intention to purchase upcycled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ies and companies to effectively design upcycling-related education. It is also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use of upcycled products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who purchase upcycled products.

지각된 신뢰에 기반한 기술수용모델의 확장과 자율주행에의 적용에 관한 실증연구 (Extending of TAM through Perceived Trust and its Application to Autonomous Driving)

  • 이강문;노태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15-122
    • /
    • 2018
  • 본 연구는 무인자동차 시스템이 상용화에 가까워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느끼게 되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자율주행에 대한 기술수용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기술수용모델(TAM)을 활용하여 사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 기술수용모델이 제시한 지각된 사용 이용성의 매개효과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신뢰(perceived trust)를 제안하여 사후행동에 대한 매개효과를 가설로 제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표본은 160명의 응답 중 149개의 유효한 자료를 이용하였다.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검증으로 총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비모수 bootstrapping 분석을 추가적으로 실시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가설은 유의미하였으며 부분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매개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계획적 행위이론을 적용한 근로자의 보호구 착용행위 분석 (Analysis of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기미영;구정완;장원기;정혜선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9-645
    • /
    • 2003
  • This study was purposed to apply Ai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workers us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this purpose, occupational health nurses conducted a survey of 173 male workers who were working at 6 different factorie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o October 2003. The score of each variable related to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calculated: attitude (3.74); subjective norm(4.10);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3.48). Four preceding factors were also assessed: behavioral belief(3.63); outcome evaluation(4.05); normative belief (4.20); and motivation to comply(4.03). Analysing the results, we found that two factor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re important in this case, which wer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that were found to be in a strong positive linkage with the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Thus enhancing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must be the most important goal of health education for workers who must us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n addition, though behavioral intention, an intermediate factor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was not measured in this study, subsequent studies are expected to include the factor in their models.

  • PDF

사용자의 지각된 통제력이 디지털 금융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 염려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on Usage Intention toward Digital Finance Service: Moderating Role of Privacy Concern)

  • 강준모;박철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5권4호
    • /
    • pp.161-181
    • /
    • 2023
  • 코로나19 이후 소비생활 환경의 비대면화가 급격히 앞당겨지면서, 변화하는 비대면 금융생활서비스는 소비자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필수재화가 된 디지털 기기·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국민은 일상생활뿐 만 아니라 사회·경제 전반에서 소외되는 '디지털 사각지대'에 내쳐질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통제력 요인인 인지 통제력, 행동 통제력, 결정통제력이 디지털 금융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디지털금융을 알고 있으면서 이용의도가 있는 133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 통제력, 행동 통제력, 결정 통제력은 디지털 금융서비스 이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라이버시 염려에 대한 조절효과는 결정 통제력이 디지털 금융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금융서비스 기업이 고객의 지각된 통제력을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하이브리드 대학도서관 환경에서의 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brary Users' Intention to Use in a Hybrid Environment of Academic Library)

  • 한지연;문성빈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5-29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교수와 학생 이용자가 전통적인 형태의 물리적 도서관과 온라인 정보이용 중심의 디지털 도서관이 혼합된 하이브리드 형태의 도서관 환경에서 대학도서관을 이용하고자 하는 행동 의도 즉, 도서관 이용 의도를 결정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의 주요 구성원 그룹이 가지고 있는 대학도서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서관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을 위해 사회심리학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행동-태도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계획행동이론(TPB)과 기술수용모형(TAM)을 기반으로 한 통합모형을 제안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에 대한 인식과 이용의도를 물리적 도서관과 디지털도서관으로 나누어 각각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의 미래 전략 및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도서관으로 하여금 변화하는 환경에서 생존하고 균형적인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지, 주목, 그리고 협력을 바탕으로 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운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는 점을 주지하고 있다.

브랜드 체험이 지속적인 브랜드 앱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Experience on Use Intention of Continuous Brand App)

  • 이성호;정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55-463
    • /
    • 2015
  •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모바일을 통한 브랜드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 앱은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콘텐츠를 마케팅하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많은 소비자들이 이러한 콘텐츠들을 브랜드 앱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앱의 특성상 쉽게 다운받고 또한 삭제할 수 있기에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 보았다. 분석결과 브랜드 체험의 감각, 감성, 행동, 인지적 체험은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충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 앱의 다양한 체험을 경험한 소비자는 브랜드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지고 이렇게 형성된 몰입은 브랜드에 대한 충성심을 갖게 하며, 결국 지속적으로 브랜드 앱을 사용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브랜드 앱을 통해 소비자들이 다양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게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좋은 마케팅 성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