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ic Nursing Science

검색결과 806건 처리시간 0.031초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온라인 수업에서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관계 (The Relations of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Online Classes in Nursing Students)

  • 전은주;김수은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97-604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학습몰입,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G시 소재 대학에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한 2, 3학년 재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분석방법은 SPSS version WIN 23.0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몰입과 문제해결력의 차이는 학습이후 간호사에 대한 인식과 간호학과 입학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제해결력은 메타인지와 학습몰입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이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론은 간호교육에서 온라인 수업으로의 변화 속에 문제해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학습몰입과 메타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메타인지와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교육방법의 변화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Burnout in Nursing Students)

  • 김혜정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33-44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스트레스, 의사소통능력 및 소진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M시 소재한 1개 대학교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4학년 간호대학생 대상으로 2020년 9월 17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는 3.08점, 의사소통능력 3.38점, 소진 2.94점으로 5점 만점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스트레스 차이는 실습만족도(F=7.058 p=.001)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소진은 연령(F=5.159 p=.007), 입학동기(F=3.034 p=.019), 실습만족도(F=7.718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223, p<.001),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소진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194 p<.001)를 나타냈으며, 의사소통능력과 소진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155, p=.032)를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PBL/S-PBL 패키지 평가도구 개발 및 평가 : 보건계열(학)과와 간호(학)과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Frameworks for PBL/S-PBL Packages: in the case of the Dept. in Allied Health Professionals and Nursing)

  • 양정화;김수진;김효실;임진형;채수경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3권3호
    • /
    • pp.203-21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PBL/S-PBL에 사용되는 패키지(교재)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문헌 고찰을 통하여 PBL 및 S-PBL 패키지를 측정하는 도구의 3항목 15문항의 예비문항들을 만들었다. 예비문항을 대학의 교수 9인의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PBL은 14문항, S-PBL은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의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PBL은 동기부여 3항목, 통합성 7항목, 체계성 4항목, 총 14항목으로, S-PBL은 동기부여 4항목, 통합성 6항목, 체계성 5항목, 총 15항목으로 이루어진 평가도구가 제시되었으며 Cronbach's $\alpha$계수가 PBL은 0.9112, S-PBL은 0.9166으로 적절한 신뢰도를 갖는 평가도구로 검증되었다.

어머니가 지각한 영아기질과 어머니 역할수행에 대한 자신감 및 만족도의 관계 (Relationship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and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 이영은;강양희;박혜선;황은주;문미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06-220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in mother of infant at the age of 1~12 months and maternal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performing maternal role, and to submit a basic data to establish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is helpful for determination of infant development and performing maternal role promotion by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infant temperament.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mothers of infant at the age of 1~12 months who visited well baby clinic in 4 hospitals in Busan city and Kyoung-Nam province. Final analysis was performed in 293 cases. Seven cases was excluded in this study because of its inappropriate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st July to 15th August 2002. The questionaries which were fill-up by mother were collected. Infant temperament was measured by using the tool of 'what my baby is like'(WBL) which was developed by Priham et. al.(1994) and translated by Bang(1999). The scale of postpartum self evaluation which was developed by Lederman et al(1981) and translated by Lee(1992) was used for th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PC for window, version 10.0: frequency, percentage, minimum, maximum, mean, SD, t-test, ANOVA, Post-hoc test(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The mean score of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was 6.17±1.04, and mother recognized her infant as positive. The mean score of confidence of maternal role was 2.89± .41 and this revealed in an average level.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was 3.29± .51 and this revealed in a higher level. There was a weak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temperament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r=0.176, P= .00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P> .05). It revealed the more maternal percept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as positive, the higher confidence of maternal role. There was a moderat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 of maternal role and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r=0.410, P= .000). It revealed the more confidence of maternal role, the higher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The variables related with the score of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temperament were the type of delivery (t=-2.600, P= .010), experience of learning baby care(t=2.382, P= .018), maternal perception on baby's health status(F=3.467, P= .033), maternal perception on her health status(F=3.467, P= .027), baby's age(F=3.080, P= .028). Conclusion: Our result showed the confidence of maternal role was increased as the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temperament was positive, and conformed that the confidence of maternal role was also related with satisfaction of maternal role. Prenatal education, type of delivery, baby's age were also related with the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temperament. So,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f developmental stage maybe necessary in order to help maternal perception of infant temperament as positive, and it will be increased the confidence of maternal role and satisfaction of performing maternal role which was considered as real indicate of achievement of maternal role.

  • PDF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n Caring Education Papers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 임미해;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20-129
    • /
    • 2013
  • 목적 지속적인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치료, 양육 방법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매체 역시 다양화 되어지는 시점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향후 교육방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e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연구목적규정, 문헌검색, 데이터평가, 데이터 분석의 과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논의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엄격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4개의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1990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는 16편으로 확정하였다. 결과 통합적 고찰결과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로는 '교육자로서의 간호사와 학습자로서의 부모', '교육 내용과 교육 효과', 그리고 교육 매체, 시기, 장소를 포함한 '교육 환경'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미숙아 돌봄 교육을 위하여 부모와 가족교육을 전담하는 간호사 역할의 인정과 기관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과 함께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각 양육자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향후 미숙아 돌봄 교육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와 효율적인 교육매체의 개발과 효과적인 교육환경에서 미숙아 돌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한방조리법(韓方調理法)에 관한 문헌연구 (Literature Review on Chinese Medicine Way of Care)

  • 석소현;오혜경;문희자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권1호
    • /
    • pp.83-95
    • /
    • 1997
  • Cooking food is very important in Chinese medicine when we regard the food to be the principal origin of the nutrition of human body and the condition required to maitain the activities of the life of human body. Chinese medicine has accumulated the diverse and rich experience of cooking food through long clinical experience as well a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healthy and long life through the unique theory of cooking food. Chineses medicine has deep view on the relations between food cooking and healthy and long life as well as presented the principle of cooking food created unique ways of food cooking such as food treatment. As the above, from the ancient times, Chinese medicine established Chinese medical science of nutrition under the consciousness of the theory that food and medicine have the same origin and practiced the methods of promoting the health through rightly selecting the foods. Therefore it has been thought that human beings can enjoy healthy life by rich supply of the nutrition. Comfortable ways of sleeping requie the emotion and peace with temperation in pleasure and anger, and also we should be temporate in eating, acting, sleeping posture and be flee from the wind, and we should not put on a quilt when sleep, and we should sleep alone and be careful about sexual life. The concrete measures for sexual intercourse are that: 1) we should marry at the right age not to be married at early age. 2) we should obey nature and not live unmarried life. 3) we should be temperate in having sexual intercoure and in excessive sexual desire. Regarding the residence and clothes: the residence environment should be calm and beautiful and the room for the residence should be well designed to be clean and sanitary and we should wear suitable clothes. All living creatures are living according to the rhythm of the living body and the change of the great nature. The Reason why the living things show the periodical rhythm is not that it is the truth of the great nature, but that the living life itself shall be ceased to be existed in case of running counter to such rhythm. There are 2 specially important things: one is about food in biological view and the other is the residence in social side. By starting from the theory that food and medicine have the same origin and root, we should rightly select the foods to promote the health at the maximum, and it is very important for human to be well obeying the environment and temperate in the life of residence and mind (Choi, Sam Byun, Shon, Sook Young, 1997). As the above, the cook in Chinese medicine suggests us the suitable ways of achieving the goal of nursing. Therefore the continuous study of this field is necessary based on this my study though it is unsatisfactory at this time but it would be the basic materals in establishing the nursing science of Chinese medicine.

  • PDF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COVID-19)

  • 김은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83-791
    • /
    • 2022
  • 본 연구는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대인관계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3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 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84, p<.001), 대인관계와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505, p<.001)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64.462 p<.001). 학업 스트레스(β=-.542, p<.001), 대인관계(β=.339, p<.001), 주거형태(β=.199, p<.001)가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4.6%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학업 스트레스 감소와 긍정적이고 원활한 대인관계 향상, 정서적 지지 관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 안전동기와 환자안전도가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tient Safety Motivation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Geriatric Hospitals Nurses)

  • 이주열;김순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773-785
    • /
    • 2023
  • 본 연구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노인 요양병원의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 요양병원 간호사 22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3년 2.1~2.28일까지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s test,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환자 안전동기는 환자안전도(r=.41, p<.001), 환자안전도는 환자안전관리 활동(r=.18, p<.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가장 유의한 영향요인은 환자안전도(𝛽=.21, p<.001)와 환자안전지침서(𝛽=.16, p<.001)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7.5%였다(Adj R2=.075, p<.001). 따라서 환자안전관리 활동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안전사고 발생 이전에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위험예지 훈련과 함께 안전사고 후 효과적인 대처를 위한 실습교육을 강화하는 환자안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제안한다.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민감성, 사회적 지지 그리고 환경적 지원이 대학생의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sceptibility to Musculoskeletal Disorder,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Aids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박미정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9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effects of susceptibility to musculoskeletal disorder,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aids on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277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5 to May 30, 2014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predictive model involving the demographic factors, susceptibility to musculoskeletal disorder,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aids was 29%, and the subjects' gender, health concern,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injury, regular exercise, and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main factors having influenc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ies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xercise programs to increase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for their continuous exercise.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도덕적 민감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Influence of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Job Engag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moral sensitivity)

  • 배두이;김향수;김송순;김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3-10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Y시 소재의 병원 3곳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임의표출 한 179명으로부터 수집한 자료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은 5점 만점에 3.51점, 감성지능은 5점 만점에 3.44점, 직무열의는 5점 만점에 3.15점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4.57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beta}=.551$, p=.000)이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3%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사의 감성지능, 직무열의 및 도덕적 민감성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성지능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하여 간호사 개인의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