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xin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43초

한라산 고지대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항균 및 단백질분해 활성, 오옥신 생산 특성 (Antifungal and Proteolytic Activity and Auxin Formation of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Highland Forest Soils of Halla Mountain)

  • 김택수;고민정;이세원;한지희;박경석;박진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5-501
    • /
    • 2011
  • 한라산에서 해발 1000미터부터 100미터의 고도 간격으로 산림토양 샘플을 채집하고 총 398점의 토양 세균을 분리하여 항균 및 단백질 분해활성과 Auxin 생산특성을 규명하였다. 항균활성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주요 작물병원균 8종에 대하여 대치배양한 결과 여러 종의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는 26균주를 1차적으로 선발하였으며, 단백질 분해활성이 높은 34균주, Auxin을 생산하는 26균주도 함께 선발하였다. 토마토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생물검정 결과 Je28-4(Rhodococcus sp.)가 8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라산에서 분리한 항균 및 단백질 분해활성, Auxin 생산균주 중 대표적인 균주를 선발하여 종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동정되었으며 Bacillus 속이 12균주로 가장 많았고 Streptomyces 8균주, Paenibacillus 속 5균주, Chryseobacterium 속 5균주, Pseudomonas 속 4균주, Rahnella 속 2균주, Lysinibacillus 속 2균주, Burkholderia 속 2균주로 동정되었으며, Enterobacter, Janthinobacterium, Microbacterium, Rhodococcus, Sphingomonas 속은 각각 1균주씩 동정되었다. 본 실험 결과 선발된 균주들은 추후 다각도의 in vitro 검정 및 생물검정을 걸쳐 식물 생장촉진 및 병 방제용 다기능성 미생물 자재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Dynamics of the mobile insert helix in the domain III-IV of Aux/IAA17 probed by site-directed spin labeling and paramagnetic NMR spectroscopy

  • Han, Mookyoung;Suh, Jeong-Yong
    • 한국자기공명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1-66
    • /
    • 2015
  • The plant hormone auxin is involved in all stages of plant development. Aux/IAAs are the transcriptional repressors that bind to the Auxin Response Factors (ARFs) to regulate the gene expression upon auxin release. Aux/IAA have highly conserved C-terminal domains (domains III-IV) that mediate both homotypic and heterotypic interactions between Aux/IAA and ARF family proteins. Recent studies revealed that the conserved domains III-IV share a common ${\beta}$-grasp fold that oligomerizes in a front-to-back manner. In particular, Aux/IAA contains a mobile insert helix in the domain III-IV, whereas ARFs do not. Here, we investigated the dynamics of the insert helix using paramagnetic NMR spectroscopy. The insert helix exhibited fast motions in the ps-ns time scale from $^{15}N$ relaxation data, but the amplitude of the motion is likely limited to the local neighborhood.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motion of the helix may have functional implications in protein-protein interactions for transcriptional regulations.

인삼토양으로부터 옥신 생성 식물생장촉진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from Soil in a Ginseng Field)

  • 박해성;정영필;윤민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3호
    • /
    • pp.377-382
    • /
    • 2010
  • An auxin-producing bacterium (AMT-54) was isolated from ginseng cultivating soil of Geumsan area. The isolate AMT-54 was confirmed to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which is one of auxin hormone by TLC analysis. When the concentration of IAA was assessed by performing HPLC quantitative analysis, the maximal 457ppm of IAA was detected from the culture filtrate after culturing in R2A broth containing 0.1% tryptophan for 24h at $35^{\circ}C$. The molecular weight of the main peak obtained by LC-mass analysis was correspondent well to 175, that of IAA. The strain AMT-54 was identified as a novel species belongs to Klebsiella mobilis by a chemotaxanomic and phylogenetic analysis. To investigate the growth promoting effect of crop, when the culture broth of K. mobilis AMT-54 was infected onto seed pot of mung bean, the 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of mung bean were 3.3times higher than control.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에틸렌 매개 생장반응조절에 있어서 Spermine의 관여 (Involvement of spermine in Control of Ethylene-Mediated Growth Response in Ranunculus sceleratus Petioles)

  • 정미숙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4호
    • /
    • pp.425-429
    • /
    • 1992
  • Ranunculus sceleratus 엽병의 세포 신장은 에틸렌에 의하여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옥신을 처리한 엽병조직 절편에서 spermine은 세포 신장과 에틸렌의 생성을 비슷한 양상으로 억제하였다. Spermine 농도에 대한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 억제반응은 ACC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경우도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폴리아민이 ACC가 에틸렌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오옥신 유도 에틸렌 생성은 폴리아민 생합성 억제제인 DFMA아 DFMO에 의하여 각각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DFMA에 의한 에틸렌 생성의 증가는 spermine을 고농도로 처리하므로써 완전히 소멸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오옥신과 에틸렌에 대한 Ranunculus의 세포성장 반응에서 내생 폴리아민이 조절 역할을 수행한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 PDF

Characterization of auxin production plant growth promotion by a bacterium isolated from button mushroom compost

  • Yoo, Ji-Yeong;Lee, Heon-Hak;Han, Chang-Hoon;Yoon, Min-Ho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8-13
    • /
    • 2017
  • An auxin-producing bacterial strain, designated 4-3, was isolated from waste button mushroom compost in Boryeong-si, Chungnam. The strain 4-3 was classified as a novel strain of Leucobacter tardus, based on chemotaxonomic and phylogenetic analyses. TLC and HPLC the isolated L. tardus strain 4-3 produced indole-3-acetic acid (IAA), the auxin. Maximum IAA productionof $94.3mg\;L^{-1}$ was detected for bacteria cultured in R2A medium with 0.1% l-tryptophan, incubated for 24 h at $35^{\circ}C$. Negative correlationwas observed between IAA production and pH of the culture medium, indicating that the increase inIAA caused acidification ofthe medium.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with varying concentrations of l-tryptophan, a known precursor of IAA, was also assessed. production was maximal at 0.1% l, but decreased at lconcentrations above 0.2%. To investigate the plant growth-promoting effects of the bacterium, L. tardus strain 4-3 culture broth was used to inoculate water cultures and seed pots of mung bean. We found thatadventitious root induction and root growth were 2.2-times higher in thethan in the non-inoculated plants.

침수에 의한 식물의 생장 촉진과 호르몬들의 작용 네트워크 (Promotion of Plant Growth by Submergence and the Action Network of Hormones)

  • 조영준;이영나;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117
    • /
    • 2005
  • 하천변에 사는 식물들은 침수 저항성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 Ranunculus속이나 Rumex속에 속하는 일부 반수생 식물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엽병이 급격한 생장을 일으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함으로써 호흡할 수 있는 조건을 확보하는 현상은 식물체내에 축적된 에틸렌에 의하여 매개되는 현상이다. 침수 조건에서는 식물 조직 내에 에틸렌이 축적되며, 축적된 에틸렌은 옥신 등 다른 식물호르몬에 대한 조직의 감수성을 증가시켜 생장을 촉진한다. 증가된 생장으로 잎이 수표면에 이르게 되면 다시 공기를 접촉하여 호흡할 수 있게 되고, 식물체내에 축적되었던 에틸렌은 대기 중으로 확산하여 나가게 되므로 체내 에틸렌 농도가 감소하여 생장률이 침수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간다. 에틸렌에 의한 옥신의 감수성 증가는 선량 반응 곡선에 비추어 수용체의 친화도 증가가 수반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아직 옥신 수용체가 밝혀지지 않아 분자생물학적 기작은 연구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최근 옥신 수용체 발견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따라서 에틸렌에 의한 옥신 수용체의 옥신에 대한 감수성 조절기작을 탐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Arabidopsis root architecture changes in response to phosphate starvation

  • Chun, Hyun Jin;Lee, Su Hyeon;Kim, Min Chul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74-174
    • /
    • 2017
  • To cope with phosphate (Pi) deficient stress, plants modulate various physiological and developmental processes, such as gene expression, Pi uptake and translocation, and root architecture changes. Here, we report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activation-tagged mutant involved in Pi starvation signaling in Arabidopsis. The hpd (${\underline{h}ypersensitive}$ to ${\underline{P}i}$ $ {\underline{d}eficiency}$) mutant exhibits enhanced phosphate uptake and altered root architectural change under Pi starvation compared to wild type. Expression analysis of auxin-responsive DR5::GUS reporter gene in hpd mutant indicated that auxin translocation in roots under Pi starvation are suppressed in hpd mutant plants. Impaired auxin translocation in roots of hpd mutant was attributable to abnormal root architecture changes in Pi starvation condition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bnormal auxin translocation in hpd mutant might be due to mis-regulation of auxin efflux carrier proteins, PIN-FORMED (PIN) 1, and 2 under Pi starvation conditions. Not only expression levels but also expression domains of PIN proteins were altered in hpd mutant in response to Pi starvation. Molecular genetic analysis of hpd mutant revealed that the mutant phenotype is caused by the lesion in ENHANCED SILENCING PHENOTYPE4 (ESP4) gene whose function is proposed in mRNA 3'-end processing. The results suggest that mRNA processing plays crucial roles in Pi homeostasis as well as developmental reprograming in response to Pi deprivation in Arabidopsis.

  • PDF

안쪽으로 굽어지는 자엽초 박편의 옥신 반응을 촉진하는 옥수수(Zea mays) 내생물질의 탐색 (Screening of Endogenous Maize (Zea mays) Substances Enhancing Auxin-induced Inward Curvature in Coleoptilar Slits)

  • 박웅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59-865
    • /
    • 2006
  • 옥수수(Zea mays) 자엽초 박편을 분리하여 완충용액에 띄워 배양하면 조직 내부와 외부 사이의 장력 차이에 의하여 밖으로 굽어진다. 그러나 외부에서 옥신을 처리하면 안으로 굽어지는 반응이 나타나는데, 그 반응 정도는 옥신 농도에 따라 변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옥신에 의하여 자엽초 박편이 안으로 굽어지는 현상을 옥신과 함께 작용하는 물질들을 선별하기 위한 실험에 이용하였다. 옥수수 자엽초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옥신에 의해 안으로 굽어지는 자엽초 박편의 반응을 촉진하는 활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촉진 활성은 에너지원과 관련된 현상은 아니었다. 활성물질은 pH 10과 같은 높은 pH에서도 $C_{18}$ 컬럼에 흡착되어 메탄올로 용리되었으며, 50% 메탄올과 80% 메탄올에 의하여 용리되는 두 가지 물질을 발견하고 각각 Curvature-Enhancing Factor-1 (CEF-1)과 Curvature-Enhancing Factor-2 (CEF-2)라 명명하였다. 그중 CEF-2의 HPLC를 이용한 분리 조건이 확립되었다.

컨투어기반 잎맥 패턴의 절차적 모델링 (Contour-based Procedural Modeling of Leaf Venation Patterns)

  • 김진모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97-106
    • /
    • 2014
  • 본 연구는 가상 조경을 구성하는 꽃, 나무 등의 디지털 식물 표현에 필요한 다수의 다양한 잎들을 쉽고 직관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절차적 방법은 잎을 크게 잎몸과 잎맥으로 구분하여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컨투어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잎맥을 절차적으로 모델링함으로써 잎을 생성한다. 우선 복잡한 잎맥 구조를 주잎맥, 곁 잎맥 그리고 3차 잎맥으로 나누며 모든 잎맥은 시작 옥신(auxin)으로부터 목적 옥신으로 향하며 절차적으로 성장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성장에 필요한 목적 옥신을 자동으로 계산하기 위해 잎몸에 해당하는 이진영상으로부터 근사화된 컨투어를 찾아 이를 기반으로 후보목적 옥신을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다중 텍스쳐 맵 합성을 적용하여 자연스러운 디지털 잎을 생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통하여 자연스러운 다양한 잎의 생성이 가능하고, 효율적인지 여부를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Indole-3-acetic acid (IAA) 생성 Arthrobacter sp.의 분리 및 식물 생육촉진 효과 (Isolation of Indole-3-acetic acid (IAA) producing Arthrobacter sp. and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 김다솜;신호용;한송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31-838
    • /
    • 2022
  • 농업 재배지 토양으로부터 auxin 생성세균 KSD16, KSD33 그리고 KSD36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주 KSD16, KSD33 그리고 KSD36 는 16S rRNA 유전자 계통분석을 통해 Arthrobacter 속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균주는 R2A배지에 0.1% L-tryptophan를 첨가한 배지에서 28℃, 48 시간 배양한 결과, auxin의 일종인 indole-3-acetic acid (IAA)를 204.4 mg L-1 생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AA 생성세균의 녹두종자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Arthrobacter 속 균주 KSD16, KSD33 그리고 KSD36 는 대조군에 비해 뿌리길이와 발근수가 증가하였다. Arthrobacter 속 균주의 녹두 성장촉진 효과를 확인한 결과, 녹두의 발아율이 대조군보다 73.4 %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