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utonomy Percep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4초

농촌개발사업에서 차별화가 갖는 의미와 주민평가에 주는 함의 (The Meaning of Differentia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Its Implications on Resident Assessment)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21권2호
    • /
    • pp.79-90
    • /
    • 2015
  • In empirical studies on rural development projects, differentiation tends to be considered a strategy aimed at increasing the number of visitors.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clude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the discussion about project goals and evaluation of project results are often focused on the aspect of rural tourism. Thus, subjective benefits of such projects for residents are omitted.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differenti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and explores the validity of the number of visitors and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residents' subjective score as evaluation indicators for a project. To achieve such an objective, this study uses survey data collected from 153 people in 38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in areas of Eup and Myeo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ifferentiation is viewed as a by-product of positive improvement from a rural developmen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residents. The effects of rural development are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socioeconomic effects and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Landscape improvement is included in the dimension of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is included in the dimension of socioeconomic effects. As such, they are confirmed to be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For exampl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is confirmed to be a valid indicator of project success, in which two-dimensional characters are reflected.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evaluated by residents is a result of the workings of the above two factors. Unlike in previous studies, the possibility of evalu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residents is confirmed in the evaluation of results. When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is interpreted as the direct result of a project, the number of visitors has an impact on socioeconomic effects, and the project content of landscape improvement has an impact on living environmental effects. The goal of policy and residents is the same in terms of the effort residents may make in maximizing results of a project by themselves; thus, the government's goal is achieved even when a project is carried out under the autonomy of residents. Ultimately, the government should focus on providing conditions in which active citizen participation can not only occur but help to establish a policy direction, which subsequently strengthens the substantial rights of residents.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 윤방섭
    • 산학경영연구
    • /
    • 제17권2호
    • /
    • pp.89-110
    • /
    • 2004
  • 본 연구는 창업의지의 결정요인으로서 개인특성요인과 환경요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인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의 경력지향성과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환경요인으로서는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세력과 성공적 역할모델, 그리고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영학 전공의 대학생과 같은 전공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각 208명과 8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경력지향성은 대체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사업지향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안정지향성은 한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자율지향성은 기대와는 달리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은 창업의지에 가장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과 성공적 역할모델은 응답자들로부터 구분된 변수로 인식되지 못하여,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새로운 변수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는데, 네트워크 환경은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력지향성, 자기유능성,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가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시사하는 바가 제시되었다.

  • PDF

Graduate perception of cosmetic surgery training in plastic surgery residency and fellowship programs

  • Ngaage, Ledibabari Mildred;Kim, Cecelia J;Harris, Chelsea;McNichols, Colton HL;Ihenatu, Chinezimuzo;Rosen, Carly;Elegbede, Adekunle;Gebran, Selim;Liang, Fan;Rada, Erin M;Nam, Arthur;Slezak, Sheri;Lifchez, Scott D;Rasko, Yvonne 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7권1호
    • /
    • pp.70-77
    • /
    • 2020
  • Background As the demand for cosmetic surgery continues to rise, plastic surgery programs and the training core curriculum have evolved to reflect these chang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perceived quality of current cosmetic surgery training in terms of case exposure and educational methods. Methods A 16-question survey was sent to graduates who completed their training at a U.S. plastic surgery training program in 2017. The survey assessed graduates' exposure to cosmetic surgery, teaching modalities employed and their overall perceived competence. Case complexity was characterized by the minimum number of cases needed by the graduate to feel confident in performing the procedure. Results There was a 25% response rate.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residents (83%, n=92) and the remaining were fellows (17%, n=18). Almost three quarters of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osmetic training. Respondents rated virtual training as the most effective learning modality and observing attendings' patients/cases as least effective. Perceived competence was more closely aligned with core curriculum status than case complexity, i.e. graduates feel more prepared for core cosmetic procedures despite being more technically difficult than non-core procedures. Conclusions Despite the variability in cosmetic exposure during training, most plastic surgery graduates are satisfied with their aesthetic training. Incorporation of teaching modalities, such as virtual training, can increase case exposure and allow trainees more autonomy. The recommended core curriculum is adequately training plastic surgery graduates for common procedures and more specialized procedures should be consigned to aesthetic fellowship training.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 탐색을 위한 교육수요자의 인식 분석 (The Study of Educational Consumer's Perception for Exploring Educational Capacity Consolidation Way of General High School in Gyeongsangbuk-do)

  • 정현숙
    • 비교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71-99
    • /
    • 2014
  • 본 연구는 고교 다양화 및 특성화고 육성 정책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받고 있는 일반고의 교육역량 강화 방안을 탐색 제시하기 위해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들의 일반고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상북도 일반고의 교육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경상북도 소재 일반고 총 31개교의 학부모 3,383명, 학생 7,95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교육역량강화 정책에서 추진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수준이며, 학부모와 비교했을 때 학생의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교규모별에서는 소규모학교의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과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소규모 학교가 가지는 협동적 학교조직 문화형성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실천 전략의 선호도에서는 학교규모별, 신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향후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 전략 수립에서 교육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조화롭게 반영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별로 전략수립에 자율성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Job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and Administrative Officials

  • Lee, Jung-Seo;Kim, Young-Hw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231-237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의 수준에 대한 선행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실증분석의 연구결과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G광역시 시청과 5개 자치구청(동 주민센터 포함)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직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수에 대한 평균을 통한 기술적 통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인 직무내적 요인과,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관계 갈등, 보상 부적절, 직장문화인 직무외적 요인 모두에서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행정직 공무원의 주관적인 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자존감 부여와 담당업무의 개선과 업무량을 적정한 수준으로의 조정이 필요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 포커스 그룹 연구 (Nurses' Perceptions of Person-Centered Care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cus Group Study)

  • 장희경;길초롱;김혜진;배한주;양은옥;윤미림;하자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41-4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도와 경상도 내 위치한 요양병원 4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1명이며, 각 병원에 1개씩 포커스 그룹을 구성하여 총 4개의 포커스 그룹에서 면담을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7월 19일부터 7월 30일까지였고 질적 주제분석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간중심돌봄에 대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식은 6개의 주제와 11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으며, 6개의 주제는 "개별 요구 존중하기", "끝까지 동행하기", "남은 꿈 지지하기", "가족과 동반자되기", "집처럼 생활하도록 돕기", "문화 변화시키기"로 나타났다. 간호사가 인식하는 인간중심돌봄은 노인의 선호도에 따라 개별화된 간호를 수행하고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통해 노인이 삶의 가치와 의미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다. 또한 노인뿐만 아니라 이들의 가족 구성원과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의사결정을 공유하며 노인의 권리와 자율성이 존중받을 수 있는 물리적 환경 및 조직 문화를 형성하는 것을 인간중심돌봄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인간중심돌봄 문화 형성에 필요한 다각적 요구를 확인하고 인간중심돌봄을 기반으로 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A Study on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Turnover,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ygienists of COVID-19

  • Kwon, Hye-Rin;Gil, A-Young;Kim, Ji-Min;No, Ji-Seon;Park, Ga-Bin;Oh, Ji-Yune;Lee, Na-Kyung;Kim, Seol-Hee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33-242
    • /
    • 2021
  • Background: The importance of infection with COVID-19 is being emphasized in dentistry with high risks such as aeros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stress and coping, and turnover of dental hygienists. Method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knowledge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ccupational stress and coping, turnover. Survey data was investigated about 149 dental hygienists from February to March 2021 Data were analyzed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using statistical programs of PASW Statistics ver. 21.0. Results: Regarding occupational stress, relationship conflict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p<0.05). Job anxiety, organizational system, inadequate compensation, and workplace culture were highly surveyed in the 3 to 5 year of experience. The group with more than 6 years of experience had the highest perception of lack of job autonomy (p<0.05). The group with higher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had lower mean inappropriate rewards and stress (p<0.05). The group with high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had a lower average in items such as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system, inadequate compensation, workplace culture, and stress. And problem-focused coping ability was found to be high (p<0.05).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perform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251, p<0.01),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str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264, p<0.01), and stress and emotional coping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367, p<0.01). Str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urnover rate (r=0.549, p<0.01). Conclusion: Infection control training was required to reduce occupational stress. Occupational stress was highly correlated with turnover, a holistic and systemic organizational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medical care were required to reduce stress.

전력공기업의 직무만족과 성과보수가 경영자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의 조직공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and the Performance-oriented Remuneration in Electric Power Companies on Trust in Manager: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Justice)

  • 인재만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43-15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력공기업 직원의 직무만족과 그들에게 지급되는 성과보수가 조직공정성 인식 수준과 경영자 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검증하여, 직원과 경영자 상호 간의 신뢰수준 제고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직원의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 간의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 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공정성 인식 간의 유의한 정(+)의 영향 관계 및 조직공정성과 경영자신뢰 간의 정(+)의 영향 관계로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 간 조직공정성의 매개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과보수는 직접적으로 경영자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분배공정성 및 절차공정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업의 인건비 예산 규모에 대한 정부의 총량적 규제와 공기업 정부경영평가로 인하여 인건비 운영의 자율성이 상당히 제한적이며, 내부 성과평가 절차 및 성과평가 결과에 대한 직원들의 수용성이 낮아, 성과보수에 대한 조직공정성 인식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직무만족과 경영자신뢰와의 영향관계에서 분배공정성과 상호공정성의 부분매개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절차공정성의 매개효과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나, 직원들이 공감하고 수용할 수 있는 원활한 상호소통 기반 내부 인사운영시스템의 구축과 운영 필요성은 경영자신뢰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성과보수와 경영자신뢰 간의 분배공정성과 절차 공정성의 부(-)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적으로 확인되어, 직원들이 성과분배 절차 및 분배결과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경영자 신뢰에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경영자들이 직원들에게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영향 요인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직원들이 본인의 직무에 만족하고, 그들의 노력과 업무성과가 공정하게 평가받으며, 이에 대한 대가를 조직으로부터 받게 될 때, 직원들은 조직을 공정하다고 인식하고, 의사결정권자인 경영자를 신뢰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의 결과는 시사하고 있다.

기업가정신, 전략적지향성과 경제적·사회적 가치 간 관계연구: 6차산업화 인증기업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Strategic Orientation, and Socio-Economic Values: Focusing on Companies Certified as Sixth Industrialization Enterprises)

  • 변지유;이상곤;강순빈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16
    • /
    • 2018
  •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농업 분야에서의 부가가치를 제고시키기 위해 6차산업화 인증 제도를 마련하였음에도 아직은 충분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보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으로 인하여 산업 전 분야에 기술혁신 등의 변화가 크고, 기업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전환이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6차산업화 인증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과 전략적지향성, 그리고 경제적 사회적 가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농림축산식품부의 6차산업화 인증을 받은 800개 기업을 연구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275개의 설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6차산업화인증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자율성을 포함한 기업가정신은 경제적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6차산업화 인증 기업의 중소규모 현황과 4차산업혁명 으로의 혁신 중인 산업흐름을 반영하여 고객니즈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고객지향성과 농업에서도 기술을 하나의 경쟁요인으로 받아들이기 위한 기술지향성을 포함하는 전략적지향성은 경제적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전략적지향성은 사회적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기업가정신은 경제적가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반면 사회적가치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전략적지향성은 기업가정신과 경제적가치 간 직접효과가 높아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지만, 기업가정신과 사회적가치 간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기업가정신 뿐 아니라 고객 중심적 사고와 기술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지향성을 갖춘다면 경제적가치를 넘어 지속성장 요인으로 조명 받고 있는 사회적가치를 창출함에 있어 영향력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이다.

초등학교 아동과 보호자에게 적용한 삶의 질 평가도구의 동시타당도 연구: 표적집단 파일럿연구 (Concurrent Validity of the Self-Report and Proxy-Report Versions of a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 A Focus Group Study)

  • 최봉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45-57
    • /
    • 2023
  •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아동의 바른 자세유지를 위한 학교기반 웰니스 프로그램 적용 후, 아동의 자기보고식(self-report) 및 보호자의 대리보고식(proxy-report) 삶의 질 평가도구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령기 아동 및 아동의 보호자 각 9명씩 총 18명을 표적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초등학교 아동의 바른자세 유지하기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변화된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위해 한글판 KIDSCREEN-10 평가도구(아동용 및 보호자용)를 적용하였다. 라쉬 평정척도 모형을 적용하여, 문항의 적합도 및 난이도, 문항-대상자 도표 비교를 통하여 아동의 자기보고식 평가와 보호자 대리보고식 평가의 동시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 아동의 자기보고식 평가에서는 자율성, 가정생활, 집중/배움, 또래집단/사회적 지지 4개문항, 보호자의 대리보고식 평가에서는 자아 인지적, 기분/정서적인 2개 문항이 적합도 기준을 벗어났다. 아동의 자기보고식 평가는 20점부터 50점 후반대에 분포하였고, 보호자의 대리보고식 평가는 30점 중반부터 50점 후반 영역에 주로 분포하여 비슷한 난이도 분포를 보였다. 아동과 보호자 평가의 상관관계분석결과, 스페어만 상관계수 p=.533(p>.05)으로 중간정도의 관련성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아동은 자아인지적 문항을 비교적 쉬운 난이도로 인지하였으나(난이도 13.01), 보호자는 비교적 어려운 난이도 문항으로 인지하였다(난이도 46.21). 아동은 심리적, 신체적인 문항을 보호자보다 어렵게 인지하였고(난이도 각각 50.78, 50.78), 보호자는 아동보다 보다 쉽게 인지하는 반응을 보였다(난이도 각각 38.25, 34.88). 결론 : 향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삶의 질 연구에서 신체적, 심리적, 자아인지 문항에서 아동과 보호자 평가의 차이점을 고려하여 아동의 삶의 질 평가가 이루어 져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