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rts education

검색결과 1,980건 처리시간 0.026초

실과(기술·가정) 교사의 실천적 교수역량, 이론적 교수역량과 교수효능감의 관련성 분석 (The Relationship among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 and Teaching Efficacy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 김은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83-393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among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PTC) and teaching efficacy (TE), and explored the mediation effects of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 (TTC) between the PTC and TE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01 survey responses completed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ll teachers showed high levels of PTC, TTC, and 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higher PTC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TC, TTC, TE showed significant effect in regards to teacher's age and teaching career.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TTC fully mediated PTC and T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TTC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TC and TE.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develop a program that can enhance teaching efficacy by cultivating TTC and support teachers who want to strengthen competence, and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to practice teaching.

Theoretical Aspects Of The Organizational And Pedagogical Conditions Of Creative Self-Development Of Distance Learning Students

  • Sydorovska, Ievgeniia;Vakulenko, Olesia;Dniprenko, Vadim;Gutnyk, Iryna;Kobyzhcha, Nataliia;Ivanova,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5호
    • /
    • pp.231-236
    • /
    • 2021
  • The purpose and hypothesis of the article was the need to solve the following research tasks: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 on the research problem. To identify and experimentally test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and pedagogical conditions affecting the creative self-development of a distance learning student.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pedagogical literature on the problem under study; pedagogical experiment; modeling, questioning, testing, analysis of the products of students' creative activity (essays, creative works, creative projects) and the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tasks, conversations, observations.

미국 대학 애니메이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AU, CalArts, RCAD, RSID, SVA 전공, 교양 교육과정 중심으로 (A Study of U.S. Animation University Curriculum Focus on the Required Courses, Liberal Arts at AAU, CalArts, RCAD, RSID, SVA)

  • 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614-622
    • /
    • 2016
  • 오늘날 매체가 다양해짐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영역도 확장되고 있다.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여러 유형의 애니메이션이 등장하고, 모션그래픽 애니메이션, 인터렉티브 애니메이션 등과 같이 '애니메이션'이라는 접미사를 가지지 않았던 영역들도 애니메이션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 애니메이션 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이다. 1961년 처음 대학에 애니메이션 교육이 도입된 이래 미국 애니메이션 교육을 이끌어오고 있는 아트 아카데미 대학교(Academy of Art University),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California Art of Institute), 링글링 디자인 대학(Ringling College of Art and Design), 로드아일랜드 디자인 학교(Rhode Island School of Design), 시각 예술 학교(School of Visual Arts) 총 5개 대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을 수집하고, 각각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애니메이션 교육과정을 전공 필수과목, 전공 선택과목, 교양과목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통해 한국의 애니메이션 교육과정의 개선점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 (The Value of the Liberal Arts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the Future Wellness Life)

  • 박형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1-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웰니스 삶에 기여하는 대학 교양체육수업의 가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서 2019년 서울 **대학의 교양체육수업에 1학기 동안 참여한 9명에 연구 참여자들의 수업참여 기록물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학생들은 자신의 기대수명을 설정했고 행복하게 살아가는데 장애가 되는 질병을 파악했다. 그리고 건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으며, 건강을 위한 행동을 수행했다. 학생들은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현재의 생활을 성찰했으며,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반성했다. 그리고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과 바람직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식했다. 셋째, 학생들은 생활운동과 건전한 생활을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했다. 학생들은 건강을 위해서 규칙적인 운동을 수행했고, 식생활을 개선하였으며, 건전한 생활습관을 실천했다. 이러한 학생들은 이러한 행동들을 실천함으로써, 미래의 웰니스 삶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 결국 학생들은 교양체육수업을 통해서 건강하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므로 미래의 건강과 행복 추구에 기여하는 교양체육수업은 웰니스 삶을 위해서 더욱 활성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et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for Arts and Cultural Education)

  • 박옥남;오삼균;김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97-2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분류체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패싯 기반의 분류 시스템을 설계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체계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분류시스템을 구축하였고, 국내외 도메인 전문가와 분류전문가가 협력을 통해 분류시스템을 향상시켜 그 결과 13개의 메인 패싯과 다양한 하위 용어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분류시스템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다양한 자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으며 이는 나아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개념에 대한 문화적 격차를 해소시키는데 사용되기를 바란다.

대학 교양환경 교육자료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Liberal Arts.)

  • 성정희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1호
    • /
    • pp.1-17
    • /
    • 2002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 obj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liberal arts, and to develop a teaming program and search for the most effective environmental teaching method. At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beral art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 found that, most of environmental education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an approach of natural science, inevitably they should have limits in which students can't have holistic view in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Due to the fact that, many students were attending lectures, teaching methods were limited in the forms lecture and video tapes. As I applied educational program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for students in order to change cognition and value toward environment, I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ognition even after applying the programs. This may be interpreted as, most students already had very sound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view. But some programs with teaching method using role play, debate, cyber-debate lead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environments, thu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ese method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hundreds of enrolled students, seem to pose a problem in actual application. The most important matter is, how to develop a cognition and value toward environment into environmental behavior. Therefore, in the future, aim is to study what determines the factors for causing environmental behavior from a cognition and value of the environment,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in this regard will be necessary.

  • PDF

A Diagnostic Study 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for Liberal Arts Education in Fostering Characteristic Competencies

  • Ji Won Yoon;Pyong Ho Kim;Hye Yoo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82-189
    • /
    • 2024
  • Many South Korean universities highly value and place much investment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as their core competency, offering corresponding educational initiatives and programs. The present study specifically evaluated the level of characteristic competency among freshmen at C University, in which characteristic development is at the central to the institution's core competency.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study to utilize the findings to inform the design of liberal arts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he study recruited 210 freshmen at C University in Changwon, South Korea. To ensure anonymity of the respondent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dur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i.e., between December 5th and 7th, 2022) with a total of 201 faithful responses final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an average characteristic competency level of 4.21 out of 5 among the freshman participants. Notably, the highest score was ranked in the 'righteous domain' (4.27±0.66), whereas the 'behavioral domain' scored the lowest (4.08±0.77).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aim to promote characteristic competenc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further discussed.

현행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맥락에 관한 탐색 연구 :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 적용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School Arts & Culture Education Policy : Application of Cooper's Four Dimension Model)

  • 최현락;장덕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7
    • /
    • 2018
  •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와 Randall(2004)의 4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둘러싼 핵심 쟁점을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별로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으로서 그동안 축적된 정책문서와 학술논문 등을 근거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규범적 차원에서는 국가성장 이데올로기 및 과도한 관료적 합리성 추구의 극복이,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사수권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혁을 통한 실질적 형식과 내용의 확보가, 구성적 차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변화를 통한 구성원 간의 명확한 역할 구분이, 그리고 기술적 차원에서는 확고한 교육학적 기준에 근거한 자원의 합리적 배분이 요청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의 기초학술연구 진흥, 교육당사자의 의견수용, 교원의 문화경험기회 확대, 통합적 문화예술교육 연수체제 구축, 교원양성체제 정비, 예술강사의 교육전문성 강화 등을 향후 연구 및 실천과제로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실과수업 기피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auses of the dislik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Practical Arts classes)

  • 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
    • /
    • 2012
  • 본 연구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과수업 기피요인을 알아봄으로써 학생들이 실과수업에 보다 적극적이고 즐겁게 참여하게 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73명의 개방형질문에 대한 응답과 초등학교 교사 5인을 대상으로 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NVivo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생 자료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고, 학생 자료 분석을 통해 얻게된 변수를 중심으로 교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과수업 기피요인 중 외적 요인에는 수업운영, 수업내용, 교수자료, 교사특성 등이 있었고 그 중 실습기구 부족이나 실과실 관련 문제와 같은 교수자료에 대한 언급이 제일 많았다. 내적 요인에는 기대에 대한 불만, 교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생 흥미 및 능력, 불안이 있었다. 둘째, 실과전담교사 유무에 따라 다른 기피요인을 살펴본 결과, 실과전담교사가 있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수업운영 및 내용, 교사특성에 대한 응답을 많이 하였으며, 실과전담교사가 없는 학교의 초등학생들은 실과실이 없기 때문이라는 답변을 많이 하였다. 학생들이 인식하는 기피요인 중에서 실습기구 및 시설 부족, 실습할 기회가 적어서, 불안 등은 교사 면담에서도 공통된 내용과 맥락적인 설명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PBL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영어·과학 융합 수업 모델 설계 (A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Converged English-Science Teaching Method using PBL Model in Elementary School)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66-72
    • /
    • 2020
  •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현대 사회에서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최근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Arts(예술)를 추가하여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교육이 나타났다. 융합(STEAM) 교육 목표는 기존의 주입식 및 암기식 교육이 아닌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강화하여 체험, 탐구, 실험이 중심이 되어 융합적 사고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 국가 경제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가 이루어진 Y 초등학교에서는 세계 공용어로 자리매김한 영어와 4차 산업 혁명으로 인한 발전으로 거의 모든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는 과학을 융합하여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PBL 모형과 ADDIE 모형이 기반이 된 수업 모형을 설계하였다. 이 모형은 크게 5가지 절차로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로 구성된다. 국가 경제력을 갖춘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도 중요하지만,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융합(STEAM)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에 알맞은 수업 설계에 관한 연구가 지속하며 강화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