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1초

알코올 대사 효소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에 미치는 아미노산의 영향 (Effects of Amino Acids on the Activities of Alcohol Metabolizing Enzyme Alcohol Dehydrogenase (ADH) and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 차재영;정해정;정재준;양현주;김용택;이용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9호
    • /
    • pp.1321-132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숙취해소에 좋은 것으로 알려진 식품 소재의 주요 아미노산을 포함하여 효소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아미노산을 선택하였고, 효소 활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yeast와 rat liver 유래의 ADH 및 ALDH 효소를 대상으로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효소 활성의 촉진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Rat liver 유래의 ADH 활성은 처리한 아미노산 중에서 arginine에서 가장 높았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를 달리하여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10{\sim}50\;mg$/ml 농도에서 $118{\sim}120.6%$로 양성대조구의 90.6% 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yeast 유래의 ADH 활성은 methionine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고, methionine의 처리 농도를 달리한 경우에서는 첨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Rat liver 유래의 ALDH 활성은 methionine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Methio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10 mg/ml에서 30 및 50 mg/ml 첨가 농도에서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이들 모든 처리 농도에서 양성대조구 보다 상당히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한편 yeast 유래의 ALDH 활성은 각 아미노산별 큰 차이는 없었으나, arginine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Arginine의 첨가 농도별 측정에서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양성대조구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효모 유래 ALDH 및 rat liver 유래 ADH 효소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가진 arginine을 효모 배양에 첨가시킬 경우 세포 내 ALDH 및 ADH 활성 염색 정도가 증가함으로써 arginine은 ALDH 및 ADH 활성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in vivo 실험계에서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아미노산 중에서는 arginie과 methionine이 ADH 및 ALDH 활성을 촉진시키는 작용에 의해 알코올 분해뿐만 아니라 acetaldehyde의 분해도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아 숙취해소 효과는 물론 간 보호 효과도 동시에 있을 것으로 시사 되어 진다. 따라서 arginine과 methionine과 같은 아미노산을 주류 제품에 첨가하게 될 경우 숙취해소 경감과 간 보호 효능을 어느 정도 나타낼 수 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항염증 및 항당뇨 활성에 미치는 현미 추출물의 영향 (Anti-Inflammatory and Antidiabetic Effects of Brown Rice (Oryza sativa L.) Extracts)

  • 조은경;정경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6-131
    • /
    • 2012
  • 현미의 기능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열수, 에탄올 추출하여 여러 가지 생리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우선, 아 질산염 소거능 분석에서는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 pH 1.2에서 75.4와 94.9%을 나타내었고,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72.9%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의 소화율($44.46{\pm}6.09$%)은 백미의 소화율($62.71{\pm}4.18$%)보다 낮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능은 현미 에탄올 추출물 10 mg/ml에서 93.1%로 같은 농도의 열수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10 mg/ml에서 56.4와 44.9%로 유의적인 큰 차이는 없었다. 현미의 숙취해소 효능은 ADH와 ALDH 활성증진에 현미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증명하고자 하였는데 그 결과, 현미 에탄올 추출물에서 알콜 분해능 증가율이 나타났다.

감태(E. cava Kjellman) 효소분해산물의 항당뇨 및 알코올 분해능과 미용효과 (α-Glucosidase,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Effects of Enzymatic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nd its Alcohol Metabolizing Activity)

  • 김혜윤;조은경;강수희;배정미;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51-75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장 해안의 해수에서 분리한 해양 미생물로부터 해조류의 난소화성 복합다당류를 분해하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Microbulbifer sp. SC092로 명명하였다. Microbulbifer sp. SC092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된 조효소의 기질 특이성 분석으로 agar 및 alginic acid를 분해하는 효소활성이 각각 146.2%로 agarase와 alginase 효소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산화력은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으로 측정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활성은 각각 84.1, 89.6%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혈당 강하능은 ${\alpha}$-glucosidase 활성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alpha}$-glucosidase 활성은 58.7%로 나타났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항염증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은 인체의 위의 pH와 비슷한 조건에서 아질산염소거능 측정으로 확인하였는데, 0.5 mg/ml 농도에서 56.3%를 나타내어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Vit C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알코올분해능은 ADH와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23.3, 215.2%로 나타나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우수한 숙취해소 효능을 보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효과로 분석하였다. 감태 효소분해산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백 및 주름개선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해산물의 농도 2.5 mg/ml 농도에서 각각 42.2%와 73.1%로 높은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효소 추출법이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데 효과적인 추출법인 것으로 기대된다.

Ascorbic acid가 에탄올 대사효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corbic Acid on the Activities of Ethanol Metabolizing Enzymes)

  • 김용식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7-54
    • /
    • 1984
  • Effect of ascorbic acid on various hepatic ethanol metabolizing enzymes including alcohol dehydrogenase(ADH), the microsomal . ethanol oxidizing system(MEOS), and catalase was quantitatively evaluated in liver microsomal and cytosolic preparation from Sprague-Dowley rats. In present study, ADH activities were no changed significantly by ascorbic acid. The MEOS activity, dependent on NADPH and $O_2$, was affected by azide (inhibitor of catalase) or exogenous catalase.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ethanol oxidation by rat liver microsomal preparation reacted with NADPH-generating system was increased by up to 22.5%, but decreased when liver microsome was reacted with $H_2O_2$ generated by xanthine and xanthine oxidase. Increase in the activity of the MEOS in the presence of ascorbic acid was greater in liver microsomal preparation pretreated with azide. Also ascorbic acid oxidized ethanol nonenzymatically. This ethanol oxidation induced by ascorbic acid was inhibited by OH radical scavengers (thiourea, sodium benzoate), but was not much affected by superoxide dismutase.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ascorbic acidcould interact directly with the MEOS, then promote the oxidation of ethanol. And, to some extent, ${\cdot}OH$-radicals or other radicals generated during the spontaneous autooxidation of ascorbic acid may b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from ethanol.

  • PDF

만성(慢性) Acohol 섭취(攝取) mouse에서 alcohol 대사(代謝)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인삼(人蔘)의 영향(影響) (Effect of Ginseng on the Hepatic Alcohol Metabolizing Enzyme System Activity in Chronic Alcohol-Treated Mouse)

  • 최용원;이상일;허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21
    • /
    • 1984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an effect of ginseng butanol fraction(total saponin) on the hepatic ethanol metabolism, we used experimental animals for the subject of study. When, in case of ADH and MEOS, ginseng butanol fraction was added, enzyme activity was increased in a small dose, and on the contrary, in a large dose, showed inhibitory effect. in catalase, the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by adding ginseng butanol fraction. In the light of kinetic aspect, when, in reaction mixture, ethanol and ginseng butanol fraction were concurrently added and reacted, Km value of ADH and MEOS was decreased. After pretreated with ginseng butanol fraction and inducement of acute toxic state by ethanol, the activities of ADH and MEOS were increased to an extent of about 25% compared to controls. But catalas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In case that ginseng butanol fraction was given to mice fed with 5% ethanol instead of water for 60 days, the activities of ADH and MEOS were increased about 20% to 50% compared to ethanol-treated group. On the contrary, catal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ut blood concentrations of ethanol were decreased due to ginseng butanol fraction treatment. All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reduction of ethanol blood concentration should be dependent upon increased activities of ADH and MEOS. Thereby it suggests the recovery from alcohol intoxication can be prompted by treatment with ginseng.

  • PDF

알코올 전처치한 흰쥐에 Cyclohexane 투여로 인한 간 세포 내 소포체 미세구조의 변화 (Ultrastructural Changes of Endoplasmic Reticulum on Hepatocytes by Cyclohexane Injection in Alcohol-pretreated Rats)

  • 김병렬;윤종국;조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4호
    • /
    • pp.291-297
    • /
    • 2006
  • 주류의 섭취가 산업화학물질의 생체 내 독성유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흰쥐를 이용하여 15%에탄올을 6주간 섭취시킨 후, cyclohexane(CH)을 2일 간격으로 4회 복강 투여하고 24시간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CH의 투여로 인해 정상군과 비교하여 간 무게와 헐청내 xanthine oxidase활성은 증가되었고, 간 내 glucose-6-phosphatase활성은 감소되었다. 그리고 CH 대사효소인 cytochrome P450 dependent aniline hydroxylase와 alcohol dehydrogenase의 활성은 CH투여 후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며, 알코올 전처치 후 CH투여군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미세구조적으로도 알코올 섭취군과 CH투여군 모두에서 조면소포체로부터 활면소포체로의 전환이 일어났으며, 전 실험군 중 알코올 전처치 후 CH투여군이 가장 높은 전환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병변을 초래하지 않는 수준의 알코올의 섭취는 CH대사활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산균 발효다시마(Saccharina japonica)를 첨가한 복분자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okbunja Jelly Containing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 최지원;이연지;문수경;김용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08-416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jelly prepared from gelatin, sugar, bokbunja extract, and different amounts (0, 0.5, 1, 2 and 3%) of fermente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The jelly moisture, pH, and sugar content sligh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FSP content.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 chewiness, and cohesivenes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y antioxidant activit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In contrast, alcohol dehydrogenase and aldehyde dehydrogenase activities in the jellie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β-secretase inhibitory activity in jellies also increased with increasing FSP concentration. Jellies containing 0.5 or 1% FSP achieved the highest overall sensory acceptance scores. Taken together, these data indicate that addition of FSP to jelly appears to improve its quality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레몬 머틀 잎 추출물의 Hep G2 세포에서의 간 보호 효과 및 알코올대사 효소활성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Hep G2 Cells and the Alcohol-Metabolizing Enzyme Activities of Lemon-Myrtle (Backhousia citriodora) Leaf Extracts)

  • 정경임;김판길;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2-126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레몬 머틀 잎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새로운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항당뇨 효과와 미백 효과, 알코올 분해능 및 간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레몬 머틀 추출물의 혈당강하효과는 ${\alpha}$-glucosidase 활성 억제능을 측정하였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각각 7.66%와 40.29%로 에탄올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고(p<0.05),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에탄올 추출물 1 mg/ml 농도에서 38.26%로 나타났다. 숙취 해소능을 알아보기 위해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 활성을 측정한 결과, 두 효소 모두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레몬 머틀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tacrine으로 유도된 Hep G2 간암 세포주에 대하여 유의적인 보호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와 같이 레몬 머틀 잎은 항당뇨효과와 숙취 해소효과 및 간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흰쥐의 피부조직에 있어서 Cyclohexane의 독성 (Effect of Cyclohexane Application to Rat Skin on the Skin Toxicity)

  • 전태원;조현국;윤종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1-80
    • /
    • 2002
  • To evaluate the skin toxicity of topical cyclohexane application (25mg/$\textrm{cm}^2$) was sequentially applied to the rat skin for four days. On the histopathological findings in the light micrographs, neutrophils and engulfed neutrophils are seen, and many cytoplasmic processes were appeared in proliferated layer whereas in the dermis area, increased numbers of fibroblast, accumulation of neutrophil and lipid droplets are demonstrated. On the other hand, applying the cyclohexane to the rat skin led to the remarkable rise of cutaneous xanthine oxidase activity and similar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content and declined activity of glutathione S-transferase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the remarkably decreased activity of aniline hydroxylase (AH) was appeared in skin as little as scarcely determined. Furthermore, the applying the cyclohexane to skin led to the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y of hepatic AH and alcohol dehydrogenas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xygen free radical and intermediate metabolite of cyclohexane may be responsible for structural changes in skin by cyclohexane application to rat skin.

급성 간손상 실험동물에 Cyclohexanone투여가 Oxygen Free Radical 대사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yclohexanone Treatment on the Activities of Oxygen Free Radical Metabolizing Enzyme in the Liver Damaged Rats)

  • 김현희;조현성;윤종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81-88
    • /
    • 2002
  • Effect of cyclohexanone treatment on the activities oxygen free radical and cyclohexanone metabolizing enzyme in acute liver damaged rats, was investigated. Acute liver damage was induced in rats with pretreatment of 50% $CCl_4$ in olive oil(0.1ml/100g body wt) intraperitoneally 3 times every other day. Cyclohexanone(1.56g/kg body wt, i.p.) was administered to the animals 24 hours after the last Pretreatment of CC1$_4$. Rats were sacrificed at 4 hours after injection of cyclohexanone. On the basis of liver weight/body weight(%), serum levels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ity and hepatic protein content, cyclohexanone treatment to acute liver damaged animals led to the more enhanced liver damage. On the other hand, injection of cyclohexanone to the rats led to the increased activities of hepatic cytochrome P-450 dependent aniline hydroxylase and xanthine oxidase. Furthermore, by treatment of cyclohexanone to the acute liver damaged rats hepatic xanthine oxidase activity was more increased than the $CCl_4$ treated rats. In case of oxygen free radical scavenging system,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 and the activities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were generally increased by injection of cyclohexanone to rats, and the hepatic glutathione content, catalase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more decreased in liver damaged rats by the treatment of cyclohexanone. In conclusion, the cyclohexanone treatment to acute liver damaged rats led to enhancement of liver damage that may be due to oxygen free radical together with cyclohexa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