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ilanthus altissima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53초

저근백피 추출물이 유선암 세포에서의 신생혈관 미치는 영향 (Effects on Inhibition of Angiogenesis in MCF-7 Cells by the Aqueous Root Extract of Ailanthus Altissima)

  • 정지학;윤용갑;전병훈;박혜련;안원근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613-1616
    • /
    • 2004
  • The cellular response to hypoxia is controlled to a large degree by the transcription factor Hypoxia-inducible factor-1(HIF-1). HIF-1 is a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activated by hypoxia and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ancer phenotype. HIF-1 regulates transcription of a number of genes crucial for tumor survival under hypoxic conditions, includ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 erythropoietin(Epo) and several glycolytic enzymes. Tumors in which hypoxia can not induce HIF-1 transcriptional activity remain small and fail to metastasize.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aqueous root extract of Ailanthus altissima (REA) downregulate HIF-1, VEGF and p53, and raise the possibility that depletion of these proteins and the anti proliferative activities of REA have any effects on inhibition of angiogenesis in MCF-7 cells. Pharmacologic targeting of specific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related to oncogenic transformation is a promising approach in cancer treatment. Therefore, REA could be a candidate drug for further clinical development.

가죽나무(Ailanthus altissima)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Tyrosinase 저해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of Water Extracts from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최진범;주은영;김남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13-1119
    • /
    • 2007
  • 한방생명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죽나무(A. altissima)를 대상으로 뿌리와 줄기, 잎을 $80^{\circ}C$의 조건에서 물을 용매로 추출한 가죽나무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 및 XO 저해 활성과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 mg/mL의 농도에서 뿌리(74.83%)>줄기(70.01%)>잎(29.24%)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1.0 mg/ mL pH 1.2와 3.0의 조건에서 각각 95%와 89% 이상으로 줄기(55.17%)와 뿌리(33.33%)보다 높은 소거율을 보였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각각 93%와 8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에서도 잎 추출물은 26.77%로 뿌리의 3.82%보다 7배 높았으며, 줄기 추출물에서는 SOD 유사활성 효과가 없었다. XO의 저해율은 세가지 추출물 모두 0.5 mg/mL 이상의 농도에서 약 90% 이상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은 2.0 mg/mL의 농도에서 잎 추출물이 16.33%으로 뿌리(7.09%)와 줄기(5.21%) 추출물보다 약 2배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은 현재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뿌리와 줄기보다 전자공여능은 낮았으나 뿌리보다 7배 높은 SOD 유사활성 효과와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가죽나무의 잎 추출물은 약 95%의 XO 저해 활성과 약 16%의 tyrosinase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뿌리와 줄기보다 저해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의 잎에서도 우수한 생리활성 물질을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뿌리뿐만 아니라 잎도 기능성 식품이나 의약품의 원료 및 첨가물 등 다양한 제품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죽나무(A. altissima) 부위별 에탄을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 이양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89-394
    • /
    • 2007
  • 한방생약자원으로 사용되는 가죽나무(A. altissima)의 생리학적 활성을 조사하고자 뿌리와 줄기, 잎을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하여 농도에 따라 전자공여능, SOD유사활성, 아질산염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xanthine oxidase와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추출물이 64.04%와 63.27%이었으며, 잎 추출물은 17.47%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7.66%{\sim}50.00%$로 잎 추출물이 뿌리와 줄기에 비해 약 5배 이상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도 가죽나무 잎 추출물이 $1,000{\mu}g/mL$의 농도에서 pH 1.2와 3.0에서 98%이상의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으며 $500{\mu}g/mL$의 농도에서도 90% 이상의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저해 활성은 $1,000{\mu}g/mL$ 농도에서 뿌리와 줄기, 잎 추출물 모두에서 90% 이상의 저해율을 보였고, tyrosinase저해는 $2,000{\mu}g/mL$의 농도에서 뿌리 추출물이 62.01%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0{\mu}g/mL$의 농도에서도 57.70%의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가죽나무는 한방생약자원으로 이용되는 뿌리(저근백피) 이외에도 잎은 높은 SOD 유사활성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며 줄기에서도 뿌리보다 높은 전자공여능과 아질산염 소거능 및 유사한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므로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에 의(依)한 가중나무 흰가루병(病) (Notes on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caused by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 김기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13
    • /
    • 1965
  • Powdery mildew of Ailanthus altissima Sw. was first reported by J.S. Park in Korea, 1961. According to his report, this disease was found on the leaves of this tree species collected in Jeongup, 1957, and in Taejon, 1958. He described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is pathogen and described also that the causal fungus may be closely related with Phyllactinia corylea. This disease which appears dusty grayish yellow molds under surface of leaves was collected again by the author in Kwangju, 1962. The present works were undertaken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causal fungus by means of the morphology and pathogenecity. According to the following results,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Phyllactinia corylea (Pers.) Karst.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e fungus Mycelia persistent or more or less evanescent; matured conidia solitary, aseptate, short-clavate to clavate to clavate, hyaline or yellowish, granulate, $44.6-89.2{\times}9.3-24.2{\mu}$, average $64.8-17.8{\mu}$ in size; conidiophores elongate clavate or columnar, hyaline, 2-3 septate, $122.8-346.0{\times}3.7-7.4{\mu}$, average $208.8{\times}6.3{\mu}$; per-thecia usually scattered, rarely gregarious, dark brown to black, depressed globose to globose, $223.2-297.6{\mu}$, average $267.8{\mu}$ in diameter; appendages 12-19, usually 15 in number, hyaline, straight, needle-shaped, sharply pointed at the apex and bulbous at the base, aseptate, $93.0-310.0{\times}5.0-8.0{\mu}$, average $173.3{\times}6.4{\mu}$ in size; asci elongate ellipsoidal to broadly clavate, hyaline, more or less stalked, 8-13 in number, $68.5-76.6{\times}26.1-34.2{\mu}$, average $71.4{\times}29.0{\mu}$ in size; ascospores 2-4, usually 2 in number, hyaline or yellowish, aseptate, ellipsoidal or ovate, $27.7-34.2{\times}14.7-17.9{\mu}$, average $25.5{\times}13.9{\mu}$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i In order to make clear the species of the fungus and the pathogenic differences of Phyllactinia fungi which are collected around the contaminated area and seemed to be related to Ailanthus powdery mildew, some inoc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1. Cross inoculation to several tree species with their pathogen: Tested materials; Phyllactinia in question on Ailanthus altissima Sw. Ph. fraxini (DC.) Homma. On Alnus firma S. et Z. Ph. moricola (P. Henn.) Homma on morus alba 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the reactions were all negative with the exception of the original hosts of tested fungi. 2. Inoculation to Picrasma ailanthoides Planch. : The appearance of symptom on the leaves of P. ailanthoides is not distinct, but more or less mycelial growth. Therefor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in glass chamber, it may be possible to success artificially.

  • PDF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몇 수종(樹種)의 종자발아(種子發芽), 유근생장(幼根生長) 및 묘목생장(苗木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rtificial Acid Rain on Seed Germination, Radicle Growth and Seedling Growth of Several Woody Species)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1권1호
    • /
    • pp.30-39
    • /
    • 1992
  • 인위적으로 농도를 조절한 Al용액과 인공산성우처리가 4수종의 종자발아와 유근의 생장, 잎의 피해, 묘목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혼합토양을 채운 pot와 발아 시험기에 종자를 파종하였다. 황산을 지하수로 묽힌 pH3.0, 4.0 및 5.0의 인공산성우와 지하수 및 Al 용액(0.5, 1.0 및 2.5 mM aluminum ammoniumsulfate)을 처리하면서 종자발아율, 유근생장, 엽피해율 및 묘목생장을 측정하여 처리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각각 발아 및 득묘율이 가장 높았다. 2. 묘고생장에 있어서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와 리기다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함박꽃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가중나무는 대조구에서 각각 묘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개체당 건중량에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및 가중나무에서는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함박꽃나무에서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함박꽃나무와 가중나무는 pH4.0 처리구에서, 소나무는 pH3.0 처리구에서, 리기다소나무는 pH5.0 처리구에서 각각 최대건중량을 보였다. 4. 처리산성우의 pH 값이 작아질수록 피해엽수 및 피해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토양산도는 모든 수종에서 처리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6. 소나무의 유근생장은 용액의 산도와 Al농도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 PDF

야채류(野菜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2. A. altissima엽(葉)의 free amino acid및 organic acid함량(含量) -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Vegetables - 2. The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in A. altissima leaves -)

  • 김석환;조수열;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0
    • /
    • 1977
  • A. altissima 엽(葉)의 free amino acid 및 free organic acid의 함량(含量)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ree amino acid는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 17종(種)이 정량(定量)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아 전(全)아미노산량의 48.3%를 차지하였다. 2. free organic acid는 formic acid, acetic acid, oxal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 8종(種)이 정량되었고 sorbic acid는 미량(微量)이었으며, 이들 중 fumaric acid가 가장 많았다.

  • PDF

식물추출물 항산화효능 기전의 일부로서의 활성산소 발생 억제 효과 (Suppress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as a part of antioxidative effect of plant extracts)

  • 송선범;정구준;정희진;장정윤;정해영;김남득;이지현;민경진;박순영;곽충실;황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06-714
    • /
    • 2021
  • 세포 내에서의 활성산소(ROS) 생성을 억제하는 일은 항산화제의 작동방식으로 기존에 알려진 ROS의 화학적 소거보다 조직의 산화적 손상을 줄이는 방법으로서 효과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되지만, 이러한 전략은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 거의 검토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능이 알려진 식물시료들이 실제로 세포에서 ROS 생성을 제어하여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는지를 쇠뜨기, 가죽나무잎, 달맞이순, 그리고 토마토의 에탄올 추출물을 가지고 조사하였다. 이 네 가지 식물 시료들은 모두 비슷하게 세포내 ROS의 수준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가죽나무잎, 달맞이순, 그리고 토마토 시료들만이 미토콘드리아 질을 개선하여 미토콘드리아로부터의 ROS 생성을 감소시켰는데, 이들은 또한 세포와 조직내 lipofuscin과 malondialdehyde의 축적을 줄여서 뚜렷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들은 나아가서 초파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도 보였다. 미토콘드리아 질 향상 효과가 거의 없었던 쇠뜨기 시료는 산화적 손상물과 초파리 수명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 시료들의 항산화 효과가 ROS의 화학적 소거와 미토콘드리아 질의 향상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데, 후자의 효과가 실제로 체내에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향후, 식물시료들의 항산화 효능에 대해서 이러한 ROS 발생억제 기전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일은 그 유용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