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초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 최계현;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423-442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mathematic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11 first graders in on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study lasted for 1 year in regular mathematics classrooms. According to the results, reciprocal peer tutoring wa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and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reducing mathematics anxiety. Especially, in high and low performing student group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ffective factors such as interest,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nxiety after reciprocal peer tutoring. However, average performing stud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ffective factors of interest and self-efficacy toward mathematics.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중학생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ading in Mathematics Classroom on Mathematical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 나기윤;손홍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83-1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독서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에게 정의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였다. 중학교 2학년 100명의 남학생을 대상으로 정의적 특성요소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 5개 요인을 조사해보고, 상 중 하 수준별 학생들에게 수학과 독서수업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또 사전 사후 검사 결과와 학생의 인터뷰를 통해 바람직한 독서를 활용한 수업 방안을 모색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 주도권과의 관계 연구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 권나영;전미현;황규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475-492
    • /
    • 201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조사하고 수학 학습 주도권과 정의적 특성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각 1개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은 수학에 대한 흥미, 자신감, 가치인식, 자기조절력, 수학 불안의 다섯 가지 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참가 학생들은 학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이 나빠지고 있는 경향을 보였고 성별에 따른 차이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주도권과 관련해서는 타인 의존적인 학생들에 비해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가 일반적으로 더 좋다는 결과를 보였다.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 권점례;권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3호
    • /
    • pp.199-217
    • /
    • 2023
  •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요인과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은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자신의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을 꼽았다. 그 외에 상 수준의 학생은 '수학 사교육'과 '대학 입시와 직업', 중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사교육', 하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아질수록 학생들의 수학 수업 참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그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에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A Study on Aims for Affective Development in National Curriculum of Mathematics)

  • 남진영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9-17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에 진술되는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정리하고, 우리나라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 교육과정까지 진술된 학교수학의 정의적 영역 목표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홍콩, 싱가포르, 핀란드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진술된 정의적 영역 목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진술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he Trend in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toward Mathematics and Its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 박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1호
    • /
    • pp.19-31
    • /
    • 2007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and the ways in which they have an effect on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s by using TIMSS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data of 1995, 1999, and 2003.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affective variables between boys and girls toward mathematics. The result of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have changed a little, but that its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increased a lot from 1995 to 2003.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study mathematics to get a job than to enter a university. However, girls have come to study it harder before going to college and it seems to have an impact on their mathematics scores; this happened in 1999. So we can infer from it that the decreasing in the difference between boys and girls in mathematics achievement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girls' learning motivation to go to college. Lastly, it should be said that another analysis is needed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devaluation of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mong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PDF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PISA and TIMSS)

  • 최승현;박상욱;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23-43
    • /
    • 2014
  • TIMSS와 PISA의 두 국제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경우, 수학 교과에 대한 인지적 영역의 성취도는 매우 우수한 반면 정의적 영역의 성취도는 참가국 중 최하위권의 순위를 기록하여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즈음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취약한 정의적 특성 요인의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 있은 일일 것이다. 이러한 취지하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PISA와 TIMSS 두 국제평가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 그리고 수학에 대한 가치 인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을 대상으로,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의 성취 실태 및 사례를 파악하여 이의 실천적 함양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최승현 외, 2013). 본고에서는 PISA와 TIMSS에 관한 선행 연구 재분석 및 통계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이에 초점을 두어 수학 교과에서의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YOO, Sang Eun;SON, Hong C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195-209
    • /
    • 2015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meaning of Jigsaw model applic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sis of Jigsaw models. Through related literature, properties of the tasks of the expert sheets in mathematics are examined. Then the advantages of the application of Jigsaw in mathematic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alizing mathematical connections and promoting positive affective outcomes of Korean students in mathematics.

서술 및 면담 평가를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Analyse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Underachievers by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 남미선;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9-2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fair assessment methods which took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underachievers. The researchers devised an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and applied them to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who could not reveal their achievements in the traditional assessment and then analyzed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lternative assessments. After selecting three students by the normal assessment made of simple subjectiv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general assessment were reflected to the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The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are comprised of descriptive narrations and informal interview questions. After the assessment, the teacher and students gave feedbacks one another. All the assessment activities were recorded by a camcorder to analyz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Throughout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showed the characteristics which didn't appeared in the normal assessment. They showed normal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ognitive area. Also they brought in positive result in most parts in the affective area. However, the student B displayed considerable ability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is over the average level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This implies that we can definite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differently when we use the detailed and relief assessment method instead of the traditional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one student tended to depend on the teacher and another student overheard what the others talk during the study. This defect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further studies about assessment method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lso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made for applying to the various mathematical underachievers. Many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learning for mathematical underachievers but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the assessment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However it is the fundamental way to reduce the number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that we construct consistent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s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 PDF

중학교 수학과 특별보충과정이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on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iddle School)

  • 원효헌;김명생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51-16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on self-efficiency and fear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For this study, the students involved in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in middle school took a pre-test and an pos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ents showed increased self-efficacy in mathematic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Second, the students showed a decreased fear of mathematics after the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acy and fear of mathematics.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ade 2 and Grade 3, and between Grade 1 and Grade 2 in the effect of Special Supplementary Mathematics Classes on self-efficacy in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