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 Environment

초등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6.30
  • Accepted : 2023.07.22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Affective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mathematics education, but students' confidence or interest in mathematic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affecting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which have not been studied so far. The study was surveyed 593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divided into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and social-environmental factors.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cited 'mathematics class at school' as the factor that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academic achievement. Excluding 'mathematics classes at school', upper level students said that 'private education' and 'college entrance exams and jobs',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Middle level students said that 'assessment at school' and 'private education'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ir affective characteristics. Lower-level students said that 'school evaluation' and 'mathematics textbook'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as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decreased,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decreased rapidly. Most students said that the mathematics content they were learning was too difficult for that reason. Considering these research results, it would be effective to apply methods according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o some extent in order to improve affective characteristics.

수학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는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따른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요인과 사회적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9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들은 학업성취도와 관계없이 자신의 정의적 특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을 꼽았다. 그 외에 상 수준의 학생은 '수학 사교육'과 '대학 입시와 직업', 중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사교육', 하 수준의 학생은 '학교에서의 평가'와 '수학 교과서' 순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아질수록 학생들의 수학 수업 참여도가 급격히 줄어들었으며, 그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배우는 수학 내용이 너무 어려워서라고 응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에서의 수학 수업'에서의 변화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따라 정의적 특성의 향상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고호경, 김형원, 카지시주오, 최수영(2017). 초등학생의 수학학습 포기 인식과 정의적 요인 연관성 분석. 초등수학교육, 20(2), 143-151.
  2. 교육부(2020). 생각하는 힘으로 함께 성장하고 미래를 주도 하는 수학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3.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교시 제2022-33호 [별책 8].
  4. 권점례(2022). 초, 중,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195-224.
  5. 권점례, 정혜윤, 주미경(2021). 학생의 정의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에서의 수학 교육 및 사회적 환경 요인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1-10.
  6. 김수진, 박지현, 김현경,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안윤경, 서지희(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MSS 2011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3.
  7. 김은형, 백석윤(2008). 초등학생의 수학 학습태도를 형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25-148.
  8. 김혜미, 김용석, 한선영(2018). 수학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요인과 사교육 참여 간의 관계에 관한 종단적 분석. 학교수학, 20(2), 287-306.
  9. 김혜숙, 함은혜(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10. 문교부(1987). 초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87-9 호․87. 6. 30.]
  11. 박선화, 상경아(2011).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특성 및 영향 요인. 학교수학, 13(4), 697-716.
  12. 박순길, 강지우, 고대용, 김다희, 임언미(2009).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에 대한 인식 태도 연구. 학교교육연구, 5(1), 235-250.
  13. 박인용, 이광상, 임해미, 서민희, 김부미, 전경희(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규준 및 지표 산출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6-14.
  14. 상경아, 김경희, 박상욱, 전성균, 박미미, 이재원, 민여준(2020).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 비교 연구: TIMSS 2019 결과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20-10.
  15. 서민희, 김경희, 이재원, 전성균, 김슬비, 이빛나(2021). TIMSS 결과로 본 우리나라 초.중학생의 정의적 특성과 변화 추이. 2021 KICE 이슈페이퍼, ORM 2021-40-17.
  16.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15). 교육학 용어사전(전정판). 하우.
  17.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18. 이광상, 임해미, 박인용, 서민희, 김부미(2016).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수학과 정의적 영역 설문 문항 개발. 교육과정평가연구, 19(4), 45-70.
  19. 이종희, 김수진(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20. 이환철, 김형원, 이지혜, 이현숙, 고호경(2017).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개발 연구. 학교수학, 19(2), 267-287.
  21. 조혜정, 김인수(2016). 수학 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0(1), 67-83.
  22. 최승현, 구자옥, 김주훈, 박상욱, 오은순, 김재우(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연구보고 RRE 2013-8.
  23. 최승현, 박상욱, 황혜정(2014). PISA와 TIMSS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성취 실태 분석: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23-43.
  24. 최지선, 상경아(2019). 수학 성취와 흥미에 영향을 주는 변인의 성취 집단별 차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2), 163-182. https://doi.org/10.30807/KSMS.2019.22.2.004
  25. 한혜숙, 최계현(2011). 중등 수학 교사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과 수업 실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4), 491-518.
  26. Middleton, J., Jansen, A., & Goldin, G. A. (2018). The complexities of mathematical engagement: motivation, affect, and social interactions. In J. Cai, (Ed.),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667-699). NC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