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468/jksmee.2014.28.4.475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s and Relational Analysis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Kwon, Na Young (Inha University)
Jeon, Mi-Hyun (Graduate School of Sogang University)
Hwang, Kyuchan (Graduate School of Inh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v.28, no.4, 2014 , pp. 475-49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in a primary and a middle school in Incheon area. The questionnaires us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five affective domains of interest, self-efficacy, value, self-regulation, and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articipant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tended to be decreased by grades. Moreover, the gender differences were increase as the participant students grew older. Students who take the initiative in mathematics learning showed better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general than students who depends on other assistants.
Keyword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itiative in learning; Relational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07-79호.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3 박선화.문광호 (2009). 학교 교육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실행 방안 연구-수학과-. 연구보고 RRE 2009-4-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대엽.권주석.장대준 (2008). 수학 기초 학력 부진 아동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및 학습태도 연구, 발달장애학회지, 12(1), 1-19.
5 김선희 (2013). 수학 학습에서 초.중.고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대한 다각적 분석, 학교수학, 15(1), 61-75.   과학기술학회마을
6 김응환.최성은 (2006). 활동중심 수업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9(2), 209-227.   과학기술학회마을
7 박선화.김명화.주미경 (2010).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향상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I 2010-9.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6(1), 19-31.   과학기술학회마을
9 송미영.임해미.최혁준.박혜영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2013-6-1.
10 이민찬.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 성취 집단별 차이.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7(2), 147-158.
11 이희정.박천건.허난 (2012). 학생의 배경 요인이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TIMSS 2007 자료를 활용한 경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85-603.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정달영.김부윤.송상헌.우경수.황선욱.곽동애.조유미 (2013). 수학체험거점센터 구축 및 운영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8.
13 최계현, 한혜숙 (2013). 상호또래교수 활동이 고등학생들의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52(3), 423-44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14 최승현.구자옥.김주흔.박상욱.오은순.김재우.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연구보고 RRE 2013-18. 서울: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최승현.황혜정 (2014a).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6 최승현.황혜정 (2014b). 수학 교과에서의 학생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성취 실태-국내 중등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8(2), 235-253.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7 한경혜 (2005). 교수, 수업 변인과 학생 성취도의 상관관계 - TIMSS 1999 결과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4(3), 409-434.
18 Ai, X. (2002). Gender differences in growth in mathematics achievement: Three-level longitudinal and multilevel analyses of individual, home, and school influenc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4(1), 293-311.
19 Hidi. S. & Renninger, K. A. (2006).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41(2), 111-127.   DOI   ScienceOn
20 Krapp, A. (2002). Structural and dynamic aspect of interest develop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from an ontogenetic perspective. Learning and Instruction, 12(4), 383-409.   DOI   ScienceOn
21 Penner, A. M., & Paret, M. (2008).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Exploring the early grades and the extremes. Social Science Research, 37, 239-253.   DOI   ScienceOn
22 김경희.김수진.김남희.박선용.김지영.박효희.정송 (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연구보고 RRE 2008-3-1.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User, E. L., & Pajares, F. (2008). Sources of self-efficacy in school: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future direction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8(4), 751-79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