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ustment to College Life

검색결과 269건 처리시간 0.026초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 김종운;김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248-259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4개의 4년제 대학교 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을 밝히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 애착, 모 애착, 사회적 지지 및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 모 애착과 친구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 학교와 학과, 대학 상담센터에서의 다양한 정책적인 연구와 부모-자녀 관계 개선과 친구지지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감 능력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Interpersonal Ability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Freshman in Nursing College: Mediation Effect of Empathy Ability)

  • 오윤희;박명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331-34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에 동의한 4개 대학의 간호학과 신입생 179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6월 11일부터 6월 18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 신입생의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고, 대인관계 능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을 높이는 방안으로 학생들의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력과 관련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Stress,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Residing in the Dormitory)

  • 이외선;홍민주;구혜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83-49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 우울 및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 C시에 소재하는 5개 대학교에서 기숙사에 거주하는 대학생 210명에게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9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ANOVA로 분석하였고, 피어슨의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기숙사에 거주하는 대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43점, 우울은 5점 만점에 1.88점, 대학생활적응은 5점 만점에 3.81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스트레스(t=-3.40, p=.001), 대학생활적응(t=3.38, p=.001)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고, 우울(t=-0.97, p=.334)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39, p<.001),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709, p<.001), 우울과 대학생활적응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788,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고 대학생활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숙사에 거주하는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 성별에 따른 심리적 적응의 차이를 이해하고, 대학생들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을 낮추며 대학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대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 Affecting Adjustment of Freshmen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 김은아;박경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4-24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 affecting adjustment of freshmen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265 nursing students six schools from all parts of the country from May 19 to June 4, 2010.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frequenc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gram. Resul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for college adjustment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and mother attachment. The strongest predictor of college adjustment was an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coping, and contact frequency for interview with professor accounted for 39.2% of variance in college adjustmen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in nursing students is important to college adjustment. Further research in improv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ping is warranted.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 정경순;박의정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3-263
    • /
    • 2019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degree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oregoing.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19 nursing students in B city from May to June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WIN 22.0 program. Results : The self-efficacy scor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as shown to be 2.95±0.32 points, major satisfaction score was shown to be 3.83±0.55 points, and college adjustment score was shown to be 3.52±0.55 points. The degrees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tudents as follows; grade (F=6.614, p=.000), health condition (F=13.384, p=.000), club activities (t=4.557, p=.000), happiness index (F=32.094, p=.000), part-time job (t=2.781, p=.006), and motive of major selection (F=7.300, p=.000).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students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r=-.196, p<.001) an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major satisfaction (r=.782, p<.001).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showed a weak negative correlation (r=-.185, p<.001). Conclusion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repetitive studies are necessary in relation to the self-efficac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and that interest in effort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improve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justment are necessary.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에 따른 대학생활적응 관련성 연구 (The Influence of Stress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65-71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정서조절,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기 위함이다. G광역시, J지역 보건계열학과 190명을 연구 대상으로 2021년 6월 2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긍정적 지각은 부정적 지각(r=-.286, p<.01), 정서조절(r=.296, p<.01), 대학생활적응(r=.520,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부정적 지각은 정서조절(r=-.619, p<.01), 대학생활적응(r=-.428, p<.01)과 부(-)의 상관이 있었다. 정서조절은 대학생활적응(r=.341, p<.01)과 정(+)의 상관이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 하위요인인 긍정적 지각, 부정적 지각, 정서조절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84%이었다. 그러므로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53-262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C시 지역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분석대상은 207명 이었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감성지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26.2%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관련성에서는 셀프리더십은 학년과 성적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감성지능은 학년과 인터넷사용시간,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인터넷사용시간에서 차이가 있었고,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학년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학생활적응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셀프리더십, 감성지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간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스스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속적인 과정인 셀프리더십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 김경남;김주영;김현정;김희정;문유빈;문혜진;박언설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17-142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eck the stress, stress and coping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justment. Method: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stress response, coping abilit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life adjustment.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ust 17 to 23, 2020, for one week, the researcher directly explains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study to 221 nursing college students nationwide, and online surveys to those who have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0.0 program. Results: Adaptation to colle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285, p<.001), stress response (r=-.258, p<.001), and coping ability (r=.512, p<.001)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the study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coping ability (β=.473, p<.001), followed by stress (β=-.185, p=.002) in the order of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was 28.9%.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means that nursing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s less stress and stress response, and higher coping ability increases college life adaptation.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adjustment to college life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llowed by stress. In order for nursing students to adjust to college life smoothly, it is thought that coping measures to reduce stress and stress responses and overcome them are necessary.

대학 1·2학년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of Freshman and sophomore year in university students.)

  • 정지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85-39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1·2학년생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J시에 소재한 2개 대학의 대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학생활 적응에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만족도, 직전학기 성적, 음주, 흡연, 회복탄력성의 하위변수인 긍정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수 중 물질적 지지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9.6%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활 적응능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멘토링이 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entoring program of college life adapting in freshman students)

  • 이선명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998-1008
    • /
    • 2017
  • Purpose. The effect of mentoring program on the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occupational therapy freshmen. Method. Pre-post-test design was performed, and 20 experimental group were selected. Six students in the senior grade of occupational therapy, who can serve as a mentor to experimental groups, were selected from March 28, 2017 to April 26, 2017 conducted a mentoring program. They used BDI, SACQ, Interpersonal relation 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the mentoring program was effective i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Conclusion. The mentoring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s on major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academic adjustment in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fresh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