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standards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초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 김은주;이진숙;이훤;김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23
    • /
    • 2016
  •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역량, 기능, 성취기준 연계성 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Exploring improvement of curriculum on analysis of the connectivity between competencies,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357-371
    • /
    • 2020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이 '기능'과 '성취기준'으로 구체화되어 제시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 기능, 성취기준의 연계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섯 가지의 수학과 역량은 '기능'으로 고르게 제시되었으나, '기능' 중 일부는 성취기준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이해하기'와 같은 기능에 치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차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역량 구현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성취기준 통합 데이터 모델을 통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 모델링 (Modeling of an Achievement Evaluation Support System Using Achievement Standards-based Integrated Data Model)

  • 정현숙;김정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5-125
    • /
    • 2018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은 성취평가제의 적용과 확산으로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 평가에서 있어서 경쟁적인 상대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각각의 평가기준에 따라 어느 정도의 학업 성취를 달성하였는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 설계와 수행 및 평가 프로세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평가기준 및 성취수준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자료, 수업설계 자료, 학습내용 자료, 평가설계 자료, 평가결과분석 자료 및 피드백 자료들을 연계할 수 있는 통합 데이터모델을 설계하고 이에 기반한 성취평가 지원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한 통합 데이터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자 대쉬보드 웹페이지 프로토타입을 구현하고 학생평가지원포털과의 검색 기능을 비교함으로써 제안한 모델의 퀄리티를 평가하였다.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변화 분석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 박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1호
    • /
    • pp.43-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figuration changes of content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between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trends in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2009 revised one, but fell short of goal level for revision, that was to cut 20 percent of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to enhance the relation to practical life, to integrate the content elements separated, and to adopt the achievement standard to introduce new concept. Second,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lso slightly decreased, and to be linked with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ome cases, the range of inquiry activity was adjusted, or the unit to present it was changed. Teacher should know exactly about the elements to be chang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 will be needed them to make an efforts in the cause of its smooth application.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교과의 성취기준 중복성에 대한 분석 (Analysis for the Dupl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between Science and Other Subjects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재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8권2호
    • /
    • pp.231-24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와 타 교과목들 사이에 제시된 성취기준의 중복성 문제를 살펴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시사점과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분석을 위한 내용 범주는 '우리 몸과 건강', '생물과 환경', '생식과 발', '생물의 다양성', '기술의 세계', 그리고 '자연재해' 등이고, 이들 범주에 제시된 과학과의 성취기준들이 실과, 사회, 체육, 도덕 교과와 중복되어 있다. 이 중 '우리 몸과 건강', '생물과 환경', '생물의 다양성', '자연재해' 범주의 성취기준은 교과목간 중복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관련 교과목들이 공통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지만 교육과정에 진술된 세부적인 성취기준들이 해당 교과목의 본질적인 특성을 비교적 잘 반영하여 분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생식과 발생', '기술의 세계' 범주의 성취기준은 타 교과목과 중복성의 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관련 교과목들의 성취기준을 하나로 합치거나 통합하는 것과 같은 해결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하며, 또한 관련 교과교육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성취기준의 적절성에 대한 범교과적인 논의와 조정을 통해 각 교과목의 정체성에 부합하는 성취기준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본다.

  • PDF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역량 기반 개선 방안 탐색 : 한국과 호주 '수와 연산' 영역 비교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for Elementary School in Competency-Based: Focused on comparing 'Number and Arithmetic' in Korean and Australian Curriculum)

  • 이화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29-2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OECD의 DeSeCo 및 2030 프로젝트의 동향을 고려하였을 때 역량을 기르는 교육과정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예상하고 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성취기준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OECD 2030 프로젝트에서 새롭게 강조하는 역량을 살펴보고, 호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성취규준과 내용 해설에 어떻게 담아냈는지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호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매칭하고 수와 연산 영역의 내용을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역량이 성취기준에 반영되어 있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성취기준에 포함된 기능 동사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에 역량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과목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성취 및 평가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Unit of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 김경훈;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3-64
    • /
    • 2008
  •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은 2010년부터 적용될 예정이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의 포괄적인 성격으로 인해 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이나 평가 상황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도구들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상의 소영역을 기준으로 학생의 입장에서 진술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제사하였다.

  • PDF

과학과의 핵심성취기준에 근거한 단위시간 수업전략 효과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unit time based core achievement standard of science)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the effects on improvemen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ased on the core learning standards of science. The researcher selected experimenter and started this study as a graduate student who i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experimenter chose to study 48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B city for research group(24 students), Comparison group(24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the end of July 2014. The teacher who is doing activity of professor in research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s science education specialist. Researcher and experimenter frequently exchange their opinions for control variables of tea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based on core achievement standards class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 has difficulty in teaching for all subjects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Second,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based on core achievement standards classe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perception of students. Thus it can be seen that teaching strategies of unit time based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is effective to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The proposal for further study based on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teaching methods that have practical and theoretical study time and lesson application opportunity for teaching strategies of curriculum unit time. Second, experimental studies that using strategies of unit time based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are needed about lear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subjects.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방법의 제안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Suggestions for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 on the 'Earth and Space' Domain)

  • 손준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3-175
    • /
    • 2020
  •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수·학습 방향의 출발점이 되는 성취기준을 여러 가지로 분석하는 방법과 함께 실사례를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과학 교과의 본질에 맞는 성취기준 분석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과학과 중 '지구와 우주' 영역의 성취기준을 ① 경기도교육청이 제시한 성취기준 분석 방법, ② 백워드 설계의 이해 관련 수행 동사를 활용한 성취기준 분석, ③ 신교육목표분류 체계를 활용한 성취기준 분석 방법에 맞게 분석해 보고, 과학 교과의 특성을 살린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3가지 분석 방법의 장점을 살린 것으로, 내용과 수행 동사로 분리한 후, 수행 동사를 이해의 6가지 측면의 수행 동사로 세분화시킨 후, 성취기준을 재 진술하여 신교육목표분류체계의 이차원 틀에 의해 사고 수준을 고려한 과정 중심 평가 계획까지 연계짓는 심층적인 분석 방법이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들이 과학 교과의 성취기준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통해 교과의 본질을 살린 유의미한 교수·학습 방법을 전개해 나가길 기대해 본다.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관련 성취기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omputational Thinking in Korean and U.S. Curriculum)

  • 이은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15-23
    • /
    • 2019
  • 최근 컴퓨팅 사고력 교육에 관한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전 세계 교육과정이 개편되고,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국제 비교 연구가 추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정된 한국과 미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관련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컴퓨팅 사고력 요소와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성취기준의 수는 한국이 16개, 미국이 21개로 한국과 미국 교육과정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포함된 개념 요소는 비슷하나, 기능 수준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국은 '문제 분석 및 정형화' 측면에서 보다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다루는 반면, 미국은 '해결 방안 계획 및 평가' 측면에 중점을 둔 것으로 나타났다. '알고리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개발' 측면에서는 한국과 미국 모두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나, 기능적 측면에서 볼 때 미국 성취기준이 한국에 비해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모델링, 모듈 생성, 기술 평가 및 활용과 관련된 추가적으로 필요한 성취기준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교육과정 개정 시 내용 요소와 함께 기능적 측면의 개선 사항을 제안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