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267/keses.2017.36.1.043

An Analysis on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Inquiry Activitie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Park, Jae-Keu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v.36, no.1, 2017 , pp. 43-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figuration changes of content elements and inquiry activities between 2009 and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 trends in achievement stand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content element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slightly decreased in comparison to 2009 revised one, but fell short of goal level for revision, that was to cut 20 percent of present achievement standards.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chievement standards were to enhance the relation to practical life, to integrate the content elements separated, and to adopt the achievement standard to introduce new concept. Second, the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lso slightly decreased, and to be linked with the change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some cases, the range of inquiry activity was adjusted, or the unit to present it was changed. Teacher should know exactly about the elements to be chang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it will be needed them to make an efforts in the cause of its smooth application.
Keywords
2015 revised national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 inquiry ac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2014). 모두가 행복한 교육, 미래를 여는 창의인재. 2014년 2월13일 발표 교육부 업무보고.
2 교육부 (2015).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3 김경자 (2004). 학교교육과정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김미나, 박재근 (2015). 초등과학 작은 생물의 세계 단원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생물교육, 43(3), 240-250.
5 김승호 (2004). 통합 교과 교수방법론. 초등교육연구, 17(1), 1-23.
6 김윤경, 김종영, 신명경 (2016). 한국 2009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3-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62-376.
7 김이경, 안지윤, 김현정, 김지혜, 유완 (2016). 2015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이 연수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19(1), 23-47.
8 송은정, 제민경, 차경미, 유준희 (2016).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사용된 서술어 분석 - TIMSS 인지적 영역 평가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07-616.   DOI
9 박준형, 전영석 (2014). 무게 단원 수업에서 겪는 교사와 학생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3), 295-301.   DOI
10 박한숙 (2011).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 분석, 교원교육, 27(4), 297-315.
11 송진웅, 나지연 (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12 윤지현, 강성주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과에 관해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이 기대하는 부분과 우려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5), 515-546.
13 이광우, 정영근, 서영진, 정창우, 최정순, 박문환, 이봉우,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박소영, 주형미, 온정덕, 이근호, 백남진, 김사훈 (2014). 교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설정 연구. 교육부.
14 이소영, 노석구 (2014). 우리나라 2009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과 핀란드 초등 과학교육과정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491-509.
15 임유나, 장소영 (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화 검토: 공통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437-460.
16 조광희 (2015) 통합적 탐구를 지향하는 고등학교 과학 및 사회교육과정의 성취 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3), 515-539.
17 최정인, 백성혜 (201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의 성취 기준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277-288.   DOI
18 Douglas, B. R. (2002). Making standards work: How to impl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s in the classroom, school, and district. Englewood, CO: Advanced Learning Press.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 National Academy Press.
20 Stigler, J.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Best ideas from the world's teachers for improving education in the classroom. NY: The Free Press.
21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 (6), 673-695.   DOI
22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