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nthopanax koreanum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1초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섬오갈피 메탄올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Acanthopanax koreanum against Oxidative Stress)

  • 이상은;손동욱;윤여필;이상윤;이범종;이상현
    • 생약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44호
    • /
    • pp.16-20
    • /
    • 2006
  •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aqueous MeOH extracts of stem and root Acanthopanax koreanum Nakai against oxidative stress were investigate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tem extract of A. koreanum was observed in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IC_{50}=58.7\;{\mu}g/ml)$ and the SOD test $(IC_{50}=17.52\;{\mu}g/ml)$. According to data analysis of cell survival ratio of normal fibroblasts, the skin irritation by both extracts from A. koreanum was concerned. However, in the skin primary parch test, both extracts obtained Grade I, which means that there was no skin irritation. After induction of oxidative irritation, cell survival ratio of normal fibroblasts was also monitored and it turned out that stress-inducing group with both extracts had more increased cell survival ratio. The cell extension of the stress-inducing group treated with the stem extract was most dominant in morphological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em extract of A. koreanum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on normal fibroblast.

섬오갈피나무에서 SOD Isoenzyme의 식별 및 특성규명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D Isoenzymes in Acanthopanax koreanum Plants)

  • 오순자;박영철;김응식;고석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34-239
    • /
    • 1999
  • 두릅나무과 식물 6종의 잎으로부터 2개의 공통적인 superoxide dismutase(SOD) isoenzyme이 구분되었다. 이들 공통적인 isoenzyme(SOD 4와 SOD 6)의 패턴은 오갈피속 식물 중에서 민가시오갈피나무(A. senticosus for. inermis) 잎에서 가장 다양하였고, 그 활성은 섬오갈피나무(A. koreanum) 잎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SOD 4와 SOD 6은 $H_2O$$_2$와 KCN에 의한 선택적 저해로부터 각각 Fe-SOD와 CuZn-SOD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SOD isoenzyme의 패턴은 섬오갈피나무의 성숙한 잎과 수피, 근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그 활성은 조직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Fe-SOD는 근피에서, CuZn-SOD은 잎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CuZn-SOD나 Fe-SOD 모두 30-4$0^{\circ}C$에서 높은 활성 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활성이 저해되었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Kaurane Type Diterpenoids from Acanthopanax koreanum on TNF-$\alpha$ Secretion from Trypsin-Stimulated HMC-1 Cells

  • Cai, Xing-Fu;Shen, Guanghai;Dat, Nguyen-Tien;Kang, Ok-Hwa;Lee, Young-Mi;Lee, Jung-Joon;Kim, You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6권9호
    • /
    • pp.731-734
    • /
    • 2003
  • Five known kaurane type diterpenoids, 16$\alpha$H, 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1), 16$\alpha$-hydroxy-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2), paniculoside-IV (3), 16$\alpha$-hydroxy-ent-kauran-19-oic acid (4), and ent-kaur-16-en-19-oic acid (5)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canthopanax koreanum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nd reversed phase preparative HPLC.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stablished from physicochemical and spectral data. Among the isolated compounds 16$\alpha$H, 17-isovaleryloxy-ent-kauran-19-oic acid (1) show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IC_50$ value, 16.2 $\mu$ M) on TNF-$\alpha$ secretion from HMC-1, a trypsin-stimulated human leukemic mast cell line.

Inhibitory Lignans against NFAT Transcription Factor from Acanthopanax koreanum

  • Cai, Xing-Fu;Lee, Im-Seon;Dat, Nguyen-Tien;Guanghai-Shen;Kang, Jong-Seong;Kim, Dong-Hyun;Kim, Young-H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7호
    • /
    • pp.738-741
    • /
    • 2004
  • Three lignans isolated from the roots of A. koreanum (Araliaceae), namely eleutheroside E(1), tortoside A(2), and hemiariensin(4), were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inhibit NFAT transcription factor. Of these compounds, compound 4, possessing a diarylbutane skeleton,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y against NFAT transcription factor (($IC_{50}$ : 36.3${\pm}2.5{\mu}\textrm{M}$). However, the activities of 1 (($IC_{50}$:>500 11M) and 2 (($IC_{50}$: 136.1 ${\pm}9.4\mu\textrm{M}$), which possess bisaryldioxabicy-clooctane skeletons, were lower. As the lignan derivatives of the same skeletons, hinokinin (5) and (-)-yatein (6) with diarylbutane skeletons and(+)-syringaresinol (3) with a bisaryldioxabicy-clooctane skeleton were also studi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on NFAT transcription factor.

섬오가피에 대한 항돌연변이원 시험 (Antimutagenic Study on Acanthopanax Koreanum Nakai)

  • 조명찬;홍창의;유수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5-219
    • /
    • 2010
  • 본 연구는 섬오갈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하여 돌연변이 유발을 관찰하기 위해 S. typhimurium TA100, TA98, TA1535, TA1537과 E. coli WP2 uvr A를 이용해 Ames test을 하였고 또한 S. typhimurium TA100, TA98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 억제 시험을 시행하였다. Ames test에 필요한 시험물질들은 최고농도 결정을 통해 $5000\;{\mu}g$/plate, $2500\;{\mu}g$/plate, $600\;{\mu}g$/plate의 시험물질을 양성대조군, 실험군, 음성대조군을 비대사활성계와 대사활성계로 나누어 시험을 시행하였다. 시험 결과 모든 농도에서는 집락군의 일관성 있는 증가는 보이지 않았고 이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복귀돌연변이는 일어나지 않았고 음성으로 판정하였다. 항돌연변이원 시험에서는 양성물질의 농도결정과 시험물질의 최고농도 결을 통해 양성대조군, 실험군, 음성대조군을 비대사활성계와 대사활성계로 시험을 하였고 시험결과 S. typhimurium TA100, TA98 두 균주 돌연변이 억제를 보였으며 TA98에서 더 높은 억제율을 보였다. 시험결과로 섬오갈피의 뿌리는 항돌연변이 억제효과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탐라오갈피의 침출 중 유용성분의 변화 (Changes in Major Constituents by Soaking of Acanthopanax koreanum with Spirit Solution)

  • 임자훈;이상협;전봉수;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66-172
    • /
    • 2005
  • 제주자생 탐라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Nakai)를 리큐르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정농도를 각각 $30{\sim}95%$로 조절한 다음 0.5 cm 이하로 세절한 뿌리 및 줄기를 700 g/10 l의 비율로 첨가하여 70일간 침출시키면서 이화학적 특성 및 유용성분의 경시적인 변화를 검토하였다. 침출액의 pH 변화는 대체로 $5.5{\sim}6.5$ 범위였으며, 색도 b 값은 주정농도가 낮을수록, 침출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a값은 주정농도가 높을수록 - 값이 증가하였으며 주정농도에 의한 영향이 컸다. 가용성고형물의 변화는 침출기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주정농도 $30{\sim}70%$ 범위에서 줄기는 $0.6{\sim}0.7%(w/v)$, 뿌리는 $1.0{\sim}1.5%(w/v)$이었다. Eleutheroside B와 E는 침출기간 20일까지 급속히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줄기가 뿌리보다 함량이 많았다. 그리고 주정농도 30%에서 70%로 높아짐에 따라 eleutheroside B와 E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Acanthoic acid는 주정농도와 이용부위에 따른 함량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침출 후 $5{\sim}10$일에 급속히 용출되었으며, 줄기에서는 $3{\sim}25\;{\mu}g/ml$, 뿌리에서는 $46{\sim}1,700\;{\mu}g/ml$이 침출되었다. 따라서 탐라오갈피를 이용하여 약용주인 리큐르로 상품화하기 위해서는 뿌리 비율을 높게 하여 주정농도 $60{\sim}80%$ 범위에서 $30{\sim}50$일간 침출시킨 다음 13주간 숙성하여 블렌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되었다.

섬오갈피의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무기물의 함량 변화 (Changes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Free Amino Acids and Minerals by Harvest Time and Parts of Acanthopanax koreanum)

  • 좌창숙;양영택;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06-109
    • /
    • 2000
  • 섬오갈피(Acanthopanax koreanum Nakai)을 이용하기 위한 알맞은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수확시기와 부위에 따른 유용 성분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4년생 섬오갈피 나무의 성분 조성은 부위에 따라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이 각각 $2.98%{\sim}3.90%,\;1.93%{\sim}2.34%,\;3.52%{\sim}4.23%$이었다. 수확시기 및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은 평균적으로 K가 835.9 mg/100g, Ca 971.3 mg/100g, Mg 168.7 mg/100g, Na 38.8 mg/100g, Fe 18.6 mg/100g, Cu 8.5 mg/100g이었다. Ca는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줄기와 뿌리에서 무기성분 중에서 가장 많았다. 줄기에서의 당 함량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각각 $0.71{\sim}0.75%,\;0.31{\sim}0.03%,\;0.16{\sim}0.21%$이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381.0\;mg/100g{\sim}504.9\;mg/100g$으로 수확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12종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수확시기에 따라 $33.56\;mg/100g{\sim}48.60\;mg/100g$으로 9월에 수확한 것이 가장 높았다. 줄기에 함유된 주요 아미노산은 arginine, phenylalanine, glutamic acid이었다.

  • PDF

섬오가피로부터 분리된 acanthoic acid의 항치아우식효과 (Anticariogenic activity of acanthoic acid isolated from Acanthopanax koreanum $N_{AKAI}$ against oral pathogens)

  • 김홍준;정승일;이화정;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69-75
    • /
    • 2006
  • 치면세균막내의 미생물 중 Streptococcus mutans $N_{AKAI}$는 치면세균막형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Streptococcus mutans $N_{AKAI}$는 치아우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Streptococcus mutans $N_{AKAI}$균에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 acanthoic acid (AA, $C_{20}H_{30}O_2$)을 Acanthopanax koreanum $N_{AKAI}$의 클로로포롬 추출물에서 각종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추출분리하여 ms, 1H-NMR 그리고 13C-NMR 등을 이용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AA의 Streptococcus mutans $N_{AKAI}$에 대한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를 조사하였으며, 이 때 각각 2와 $4\:{\mu}g/mL$을 나타냈었다. 또한 다른 천연물에서 분리된 화합물인 tanshinone IIA는 8/16\;${\mu}g/mL$, 녹차의 추출물과 eucalyptoi은 $250/500\;{\mu}g/mL$이었다. 그리고 또 다른 치주질환의 원균인 Streptococcus sobrinus $N_{AKAI}$, Streptococcus sanguis $N_{AKAI}$ 및 Streptococcus gordonii $N_{AKAI}$의 최소억제 농도의 범위는 $4{\sim}32\;{\mu}g/mL$이었다. 우리의 연구결과에서 Acanthopanax koreanum $N_{AKAI}$에서 분리한 acanthoic acid 치주질환 원인균들을 억제하는 항균제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사염화탄소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섬오갈피 추출물의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Acanthopanax koreanum Kakai extract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Sprague-Dawley rats)

  • 양윤경;;권오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2호
    • /
    • pp.106-1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에 대하여 AE의 항염증 효과와 예방기전을 연구하는 것이다.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 Sprague-Dawley 쥐에서 간독성 지표,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사염화탄소에 의해 간손상이 유도된 실험동물에서 Acanthopanax koreanum Nakai의 에탄올 추출물 및 acanthoic acid 섭취로 혈장 ALT 활성이 유의하게 개선됨을 보여주었다. 간조직병리학적 분석에서는 사염화탄소 처리된 대조군에서 거대한 브리징 경화와 심각한 지방변성을 관찰하였는데, 이는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이 성공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용량군인 AE3이 저용량군인 AE1보다 간보호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보인다. AE는 단일물질인 AA보다 간독성에 대한 예방요인과 항염증 효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더 우세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사염화탄소에 의해 유도된 간손상에 대한 AE와 AA의 예방 효과가 항염증 성질에 부분적으로 관여하는 것을 제안한다. AE의 생화학학적 효과는 단일물질인 AA보다 우수하며 향후 연구에서 식이변경으로 AE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Glycosides of Araliaceaus Drug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Hahn, Dug-Ryong;Kasai, Ryoji;Kim, Jeung-Hee;Taniyasu, Shigenori;Tanaka, Osamu;Kim, Chang-Johng;Park, Myong-Ja
    • 생약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8-84
    • /
    • 1986
  • Among the Araliaceae plants indigenous to Korea, those whose medicinal usage are comparatively high have been selected in this serial studies. Chiisanoside and acanthoside D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Acanthopanax chinensis leaves and root bark. Chiisanoside and acanthoside D have been found to have the lowering S-GPT, S-GOT value and BSP-retention rate and survival rate, anti-histaminic effect in the toxic state through the bio-pharmacological experiments. ${\alpha}-hederin$, hederagenin pentaglycoside were isolated both stem bark of Kalopanax pictum Nakai var. magnificum and Kalopanax pictum Nakai var. Max. respectively. Syringoside, acanthoside D were also isolated from the root bark of Acanthopanax koreanum. The biological activity of ginsenoside $Rb_1$, $Rg_1$, Re were examined. Ginsenoside $Rb_1$, $Rg_1$, Re promotes the antileaking effect in X-ray (Co 60) irradiated toxic stat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