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Engagement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Home-based Course)

  • 김경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37-345
    • /
    • 2021
  •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H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32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은 학습참여(t=2.368, p=.019)이고, 이 요인의 결정계수인 R2은 .218로 21.8%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를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반영하는 융·복합 교수-학습 전략과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n Exploration of Learning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 LEE, Sunghye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5권2호
    • /
    • pp.143-170
    • /
    • 2014
  • As it was argued that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can be, at least in part, modified by individual or learning environmental factors, prior studies have attempted to identify the factors explaining the variability of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This literature review has shown that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can be altered by various element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such as factors related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sks and learning activities, teachers' behaviors during instruction, classroom goal structures, the integration of student oriented learning, action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nstructivist learning, and academic disciplines. Based on the review,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tudies are required to focus on understandings how the integration of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into courses and the levels of student cognitive engagement in these courses are related. Also, an investigation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learning environments taking into account students' personal factors would provide a more accurate pi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environmental factors and students' cognitive engagement.

Science communication matters: An exploratory study of academic public engagement in Vietnam using Bayesian statistics

  • Quang Anh Phan;Manh-Toan Ho;Quan-Hoang Vuong;Hiep-Hung Pham;Minh Huyen Vu;Thi Thu Ha Nguyen;Thanh Thao Thi Phan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23권1호
    • /
    • pp.35-57
    • /
    • 2024
  • The overarching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cademic public engagement in Vietnam. Data were obtained from a survey with 245 university lecturer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jointly with Bayesian statistics as tools for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at a significant proportion of university lecturers are not involved in public engagement, neither through the public press (66.5%) nor social media (49%). Those who have been active in public engagement use the public press and social networks to communicate science, with the latter being more used than the former.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ointed out that experienced scientists tend to engage with the public press, while early-career researchers often choose social networ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higher education policymakers and administrators.

Predicting Students'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Using Machine Learning

  • Alsirhani, Jawaher;Alsalem, Khalaf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9호
    • /
    • pp.159-168
    • /
    • 2022
  • No one denies the importance of online courses, which provide a very important alternative, especially for students who have jobs that prevent them from attending face-to-face in traditional classes; Engage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damental variables that indicate the course's success in achieving its objectives. Therefore, the current study aims to build a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to predict student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An online questionnaire was prepared and applied to the students of Jouf University in the Kingdom of Saudi Arabia, and data was obtained from the input variables in the questionnaire, which are: specialization, gender, academic year, skills, emotional aspects, participation, performance, and engagement in the online course as a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Kegel was used to build the model a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our variables (skills, emotional aspects,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and engagement in online courses. The model accuracy was very high 99.99%, This shows the model's ability to predict engagement in the light of the input variables.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Academic Engagement on Confidence in Performing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보라;정미라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10호
    • /
    • pp.151-158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학습열의가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J도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12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은 연령(F=5.52, p<.001), 간호사 직업 이미지(F=1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전공만족도는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r=.563, <.001)과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으며,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만족도(𝛽=.338 P<.001), 학습열의(𝛽=.195 P=.027)로 확인되었고, 변인들에 의한 설명력은 35%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tress and Academic Engagement on Resilience in Nursing Students)

  • 이상민;조호진;임민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90-399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열의 및 극복력의 정도와 그 관계를 확인하고, 스트레스와 학업열의가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 1개 대학 간호대학생 192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9년 12월 23일에서 26일까지이었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S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은 제 특성에서 성별, 학년, 대인관계, 지원동기, 전공만족도, 학점평균 평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극복력과 학업열의는 정상관관계, 스트레스와는 역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모형분석에서는 학업열의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주관적 건강상태 중 나쁨, 여성, 3학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3.0%이었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극복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정기수업시간에서부터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한 학습이 권장되는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과 학업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과 성취감을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학업열의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학업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PBL 등 교수법 활용을 통하여 극복력을 강화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How Resilience Affects Employee Engagement? A Case Study in Indonesia

  • AMIR, Muhammad Taufiq;MANGUNDJAYA, Wustari L.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147-115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 of resilience in academic engagement and also to evaluate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ilience and engagement. A survey of faculty members in 20 study programs from 12 universities in Jakarta was conducted, Where 24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from the 495 distributed. Furthermore, 240 valid data were available for evaluation in order to test the model, and a confirmatory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conducted, using AMOS 20. Criteria of goodness-fit demonstrated the relatively adequate model, and the coefficient of structural path describes the potential of the links. Three out of four paths available significantly showed the role of developmental persistency and positive emotions on work engag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 only constituted academics of private universities in Indonesia. Thus there is a need for better care in interpreting the level of resilience and engagement, as engagement may vary when used in a different context. The study suggests interventions for practitioners, not only for academia in the higher education context but also for other professionals in managing engagement at the individual or team level. Therefore, combining resilience and engagement programs may contribute to an enhancement in the productivity of employees.

대학생의 학사경고 예측요인 탐색: 학교참여도 변인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Predictors of Academic Probation in College : Focusing on Variables of Student Engagement)

  • 서은희;김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69-47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들을 밝혀 학사경고 위험이 높은 학생들을 사전에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으로 대학 내 정보시스템에 축적되어 있는 학생들의 학교 참여도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대학 학생 17,261명이다. 분석에 사용한 학교 참여 변인들은 개강 후 4주 동안의 수업 결석 시간 수, 학습관리시스템(LMS)과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 교수 상담 건수이며, 종속변인은 본 학기 학년평량평균(GPA)이었다. 통제변인으로 이전 학기 성적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성적에 대한 학교 참여도 변인들의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학사경고 여부에 대한 학교 참여도 변인들의 예측력을 검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생들의 성적을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 참여도 변인 중 수업 결석 시간,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학사경고를 예측하는 변인은 학교 참여도 변인 중 수업 결석 시간, LMS 접속 횟수, 비교과 시스템 접속 횟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학사경고를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사경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예방·지원하는 교육적 개입을 논의하였다.

Investigating Effects of Metacognitive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Managing Globalized Education

  • HUO, Naihean;CHO, Yoonche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5호
    • /
    • pp.17-26
    • /
    • 2020
  • Purpose: Previous studies rarel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on reading engagement, particularly in globalized higher education, while those studies examined reading problems and engagement with lower reading lev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including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on reading engagement that include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engagement in global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research questions: how do global reading,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reading strategies affect argentic, behavior, emotional, and cognitive reading engagemen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data via online survey in globaliz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applied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factor and regression analyse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reading engagement while they were reading class material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managerial implications in higher education by providing better strategies to enhance learning skills in global context. In particular,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that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supporting strategies could be improved by adopting better management systems in globalized education.

가정교과에 적용한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on Academic Engag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희수;장윤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20
    • /
    • 2016
  • 본 연구는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129명으로 거꾸로 수업의 효과를 타당하게 검증하기 위해 129명의 중학생들을 2개의 집단으로 나우어 9주에 걸쳐 연구를 하였다. 하나의 집단은 강의식 수업으로 13차시를 수업하였고, 다른 집단은 거꾸로 수업을 적용하여 13차시를 수업하였다.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고,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alpha}$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수업참여도가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교과는 실천교과로서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실제의 생활에 적용시켜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실천적 태도를 신장시켜 주는 교과이므로 이러한 본 연구의 거꾸로 수업의 효과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에 거꾸로 수업을 적용한다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