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3-Degree Polynomial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5초

ON AN INEQUALITY OF S. BERNSTEIN

  • Chanam, Barchand;Devi, Khangembam Babina;Krishnadas, Kshetrimayum;Devi, Maisnam Triveni;Ngamchui, Reingachan;Singh, Thangjam Birkramjit
    • Nonlinear Functional Analysis and Applications
    • /
    • 제26권2호
    • /
    • pp.373-380
    • /
    • 2021
  • If $p(z)={\sum\limits_{{\nu}=0}^{n}}a_{\nu}z^{\nu}$ is a polynomial of degree n having all its zeros on |z| = k, k ≤ 1, then Govil [3] proved that $${\max\limits_{{\mid}z{\mid}=1}}\;{\mid}p^{\prime}(z){\mid}\;{\leq}\;{\frac{n}{k^n+k^{n-1}}}\;{\max\limits_{{\mid}z{\mid}=1}}\;{\mid}p(z){\mid}$$. In this paper, by involving certain coefficients of p(z), we not only improve the above inequality but also improve a result proved by Dewan and Mir [2].

ON THE BOUNDS OF THE EIGENVALUES OF MATRIX POLYNOMIALS

  • Wali Mohammad Shah;Zahid Bashir Monga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31권2호
    • /
    • pp.145-152
    • /
    • 2023
  • Let $P(z):=\sum\limits^{n}_{j=0}A_jz^j$, Aj ∈ ℂm×m, 0 ≤ j ≤ n be a matrix polynomial of degree n, such that An ≥ An-1 ≥ . . . ≥ A0 ≥ 0, An > 0. Then the eigenvalues of P(z) lie in the closed unit disk. This theorem proved by Dirr and Wimmer [IEEE Trans. Automat. Control 52(2007), 2151-2153] is infact a matrix extension of a famous and elegant result on the distribution of zeros of polynomials known as Eneström-Kakeya theorem. In this paper, we prove a more general result which inter alia includes the above result as a special case. We also prove an improvement of a result due to Lê, Du, Nguyên [Oper. Matrices, 13(2019), 937-954] besides a matrix extention of a result proved by Mohammad [Amer. Math. Monthly, vol.74, No.3, March 1967].

Number Field Sieve에서의 두 삼차 다항식 선택 (Two Cubic Polynomials Selection for the Number Field Sieve)

  • 조국화;구남훈;권순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0C호
    • /
    • pp.614-620
    • /
    • 2011
  •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공개키 암호시스템 중 하나인 RSA는 매우 큰 합성수 N의 인수분해가 어렵다는 것에 기반을 두고 있다. 120자리보다 큰 합성수를 인수분해하는데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으로 알려진 Number Field Sieve (NFS)는 법 N에 대하여 공통근을 갖는 두 다항식 선택한 후에, sieving, linear algebra, square root 단계를 차례대로 거친다. 최근의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항식을 얼마나 적합하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sieving step에서의 복잡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Sieving 다항식은 차수가 같은 두 다항식을 선택하는 것이 이상적이며 두 개의 2차 다항식을 선택하는 방법은 이미 Montgomery가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5항 등 비수열 방법을 이용하여 두 개의 3차 다항식 선택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F BRAMBLE-HILBERT LEMMA AND ITS RELATION TO $POINCAR{\acute{E}}'S$ INEQUALITY

  • Kuk, Se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제11권2호
    • /
    • pp.67-77
    • /
    • 2007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the proof of so-called Bramble-Hilbert Lemma. We present that $Poincar{\acute{e}}'s$ inequality in [3] implies one of results of Morrey which is crucial in the proof. In this point of view, we recognize that removing the average term in $Poincar{\acute{e}}'s$ inequality fulfills a crucial role in the proof of Bramble-Hilbert Lemma. It is accomplished by adding some polynomial of degree one less than the degree of the Sobolev space in the outset. So, the condition annihilating the set of polynomials $P_{k-1}$ of degree k - 1 is required necessarily in Bramble-Hilbert Lemma.

  • PDF

3차원 쐐기형 영역에서의 음향파 전달 이론 (Theory of Acoustic Propagation in 3 Dimensional Wedge Domain)

  • 성우제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3권2E호
    • /
    • pp.83-91
    • /
    • 1994
  • 쐐기형 영역에서 전파되는 음향파는 다음 3가지 성분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직접 전달 경로에 의한 성분, 경계면으로 부터의 반사에 의한 상(image) 성분 그리고 정점에 의한 산란 성분, 2개의 평면으로 경계가 구성된 쐐기(또는 봉우리) 영역에서 점원에 의한 3차원적인 시간 조화 장(field)에 대한 Helmholtz 방정식의 새로운 해를 구하였으며, 그 해는 위의 3가지 성분을 모두 내포하고 있다. 이 해는 정상모우드 들의 무한 급수로 이루어졌으며 각 모우드 계수는 Gegenbauer polynomial을 포함하는 유한적분으로 주어진다. 위의 해석해를 사용하여 봉우리 영역에서 음파의 분포를 계산하였다.

  • PDF

비선형 감마 곡선 알고리즘 개선을 위한 구간 분할 다항식 곡선 접합 (The Segmented Polynomial Curve Fitting for Improving Non-linear Gamma Curve Algorithm)

  • 장정훈;조호상;장원우;강봉순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63-168
    • /
    • 2011
  • 본 논문은 감마보정을 위한 비선형 곡선 알고리즘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비선형 감마 곡선 생성 방법은 Gauss-Jordan 역행렬을 적용한 최소 자승 다항식(Least Square Polynomial)을 사용하였다. 이 방법은 다항식 계수 값 계산 과정 중 고차행렬의 역행렬 연산에서 $10^{-11}$ 이하의 매우 작은 값은 절단함으로써 곡선접합의 정밀도가 감소된다. 또한 입력으로 사용되는 샘플 포인트가 10-bit 기준으로 0~1023의 밝기 값에 대하여 고루 분포되어있는 경우에만 정확한 동작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차 다항식의 계수 값을 반데몬드 행렬(Vandemond Matrix)에 SVD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와 QR분해법(QR Decomposition)을 적용하여 행렬의 고유치와 직교성분만으로 연산하였다 또한, 입력 데이터의 구간을 분할하여 각 구간의 다항식을 생성하고, 새롭게 생성된 다항식을 이용하여 곡선 접합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입력 데이터와 곡선 접합결과의 평균제곱오차(Mean Square Error: MSE)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TD)를 통한 오차율 비교 결과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 에러 범위에서 MSE가 약 $10^{-9}$ 이고 STD는 약 $10^{-5}$로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유한 체 기반의 개선된 가역 비밀이미지 공유 기법 (An Improved Reversible Secret Image Sharing Scheme based on GF(28))

  • 김동현;김정준;유기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359-370
    • /
    • 2013
  • 2010년, Lin과 Chan은 가역 비밀이미지 공유(reversible secret image sharing) 기법을 최초로 제안했다. 이 기법의 장점은 쉐도우 이미지(shadow images)의 왜곡 비율(distortion ratio)이 작고, 비밀이미지의 삽입량(embedding capacity)이 기존의 기법들에 비해 높으며, 가역(reversible)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들의 기법은 몇 가지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첫째, 나머지 연산(modular operation)에 사용하는 소수 m에 의하여 전체 참가자들의 수가 제한된다. 둘째, 비밀 공유 과정 내 양자화 값(quantized value)과 다항식의 결과 값의 덧셈 연산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다항식 최고차항의 계수가 0이 되어 t-1명의 참가자로도 비밀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Lin과 Chan이 제안한 기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쉐도우 이미지의 왜곡 비율이 작고 비밀 이미지의 삽입량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GF($2^8$)상에서의 다항식 연산을 통해 전체 참가자 수의 제한과 오버플로우 문제를 해결하고, 다항식 최고차항의 계수 중 MSB 4-비트를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계수가 0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실험결과에서는 Lin과 Chan의 기법에서 PSNR과 삽입량이 서로 반비례하지만 제안한 기법의 경우 삽입량이 증가하더라도 PSNR은 45dB 이상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다.

아르스 마그나와 프린키피아에 나오는 수치해석적 기법

  • 이무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34
    • /
    • 2002
  • This paper explains methods of numerical analysis which appear on Cardano's Ars Magna and Newton's Principia. Cardano's method is secant method, but its actual al]plication is severely limited by technical difficulties. Newton's method is what nowadays called Newton-Raphson's method. But mysteriously, Newton's explanation had been forgotten for two hundred years, until Adams rediscovered it. Newton had even explained finding the root using the second degree Taylor's polynomial, which shows Newton's greatness.

  • PDF

ON PARTIAL-ARMENDARIZ RINGS

  • Nam, Sang Bok;Piao, Zhelin;Yun, Sang Jo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19-727
    • /
    • 2019
  • This article concerns a generalization of Armendariz rings that is done by restricting the degree to one. We shall call such rings, as to satisfy this property, partial-Armendariz. We first show that partial-Armendariz rings are between Armendariz rings and weak Armendariz rings. The basic structures of partial-Armendariz rings are investigated, and the relations between partial-Armendariz rings and near related ring properties are also studied.

A NEW CLASS OF INTERPOLATORY HERMITE SUBDIVISION SCHEMES REPRODUCING POLYNOMIALS

  • Jeong, Byeongseon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365-377
    • /
    • 2022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class of interpolatory Hermite subdivision schemes of order 2 reproducing polynomials. Each member in this class, denoted by Hn for n ≥ 1, preserves polynomials of degree up to 4n + 1 admitting the approximation order of 4n + 2. Furthermore, it has free parameters which provide flexibility in designing curves/surfaces. H1, the simplest and the most attractive scheme in this class, achieves C4 smoothness with the parameters in certain ranges, and its performance is demonstrated with numerical ex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