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7초

Antioxidant Activities of Agrimonia pilosa Ledeb: In Vitro Comparative Activities of Its Different Fractions

  • Chen, Lei;Kang, Young-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2-649
    • /
    • 2014
  • The antioxidant potentials of the methanol extract and its various fractions from Agrimonia pilosa Ledeb were measured a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as well as the reducing power decreasing NO in vitro. The methanol extract of Agrimonia pilosa Ledeb showed significantly strong scavenging effects on free radicals of DPPH, ABTS, and NO. Hexane fraction (HF), ethyl acetate fraction (EF) and n-butyl alcohol fraction (BF) were prepared by solvent fractionation. By comparison of polyphenol contents among BF and HF, EF with high polyphenol contents showed the highest DPPH, ABTS, and NO scavenging effects with the value of 50.2%, 80.4%, and 65.7%, respectively, at the highest tested dose. HPLC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various phenolic compounds in EF of Agrimonia pilosa Ledeb.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 could be considered as natural antioxidant sources and dietary nutritional supplements to prevent oxidation-related disease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 Kim, Hoi-Kyung;Bang, Chan-Sook;Choi, Young-Min;Lee, Jun-S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02-806
    • /
    • 2007
  •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the antioxidative and anticarcinogenic effects of vegetables.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13 leafy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New-beet and ornamental kale contained >1,000 mg of polyphenolics/100g fresh weight (FW), which was the greatest amou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Ornamental kale also contained the greatest amount (232.84 mg/100g FW) of flavonoids. With the exception of chicory, values of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showed similar trends. New-beet was found to be the greatest antioxidant among the test vegetable extracts. New-beet exhibited the high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60%) against all tumor cells.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ntiproliferative activity and antioxidant contents or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samples.

톳(Hizikia fusiformis)에서부터 분리된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on Activities of Organic Solvent Fractions Obtained from Seaweed, Hizikia fusiformis)

  • 김민정;이혜현;서민정;강병원;박정욱;정영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1-367
    • /
    • 2013
  • Hizikia fusiformis을 80% EtOH 추출물을 용매의 극성에 따라 n-hexane, ethyl acetate, n-BuOH, Aqueous n-BuOH fraction으로 순차적으로 분리하였다. 분리된 4개의 분획물 중에 항산화 활성이 높은 n-BuOH 분획물을 reserve-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분리된 3개의 BA, BB, BC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가장 항산화능이 높은 BB 분획물은 모든 실험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데, 시료의 농도가 1.0 mg/ml일때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와 Reducing power activity는 $45{\pm}0.14%$, $1.34{\pm}0.23$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beta}$-carotene-linoleic acid activity와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도 $76{\pm}0.12%$$82{\pm}0.06%$로 가장 높았으며,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도 $65{\pm}0.17%$의 활성을 나타낸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최종 분리된 BB분획물은 높은 항산화능을 가진 물질을 함유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앞으로 새로운 천연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Acetobacter pasteurianus A11-2와 도라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식초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Fermented by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nd Acetobacter pasteurianus A11-2)

  • 길나영;황인국;권희민;여수환;김소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737-746
    • /
    • 2020
  • In this study, we developed vinegar depending on the quantity consumed and type of peeled and unpeeled roo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PG) using Acetobacter pasteurianus A11-2, analyzed vinegar samples using colorimeter and HPLC for 15 days to assess the characteristics on quality, and evaluated their antioxidant activity using 1,1-diphenyl-2-picry1 hydrazy1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major result in PG vinegar was the high acidity of 6.39~6.74% and alcohol was totally converted on the 15th day of fermentation. When we fermented vinegar from peeled roots of 8% PG with a starter culture, we observed high contents of acetic acid, platycodin D, and total polyphenol and high antioxidant activity. Moreover, the vinegar fermented using 8% peeled roots of PG had the high intensity on umami and sour taste and low salty, bitter, and astringent tastes. Consequently, we could develop the PG vinegar with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from 8% peeled roots and A. pasteurianus A11-2.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Bioactive Elastin Peptides from Poultry Skin

  • Nadalian, Mehdi;Kamaruzaman, Nurkhuzaiah;Yusop, Mohd Shakir Mohamad;Babji, Abdul Salam;Yusop, Salma Mohamad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66-979
    • /
    • 2019
  • Muscle-based by-products are often undervalued although commonly reported having a high amount of natural bioactive peptides. In this study, elastin was isolated from the protein of broiler hen skin while its hydrolysate was prepared using Elastase. Assessment of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lastin-based hydrolysate (EBH) was based on three different assays;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and metal chelating ability. The EBH was purified further using ultrafiltration, gel filtration and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The IC50 of ABTS radical activities for EBH were decreased as EBH further purified using ultrafiltration (EBH III; 0.66 mg/mL)>gel filtration (EB-II; 0.42 mg/mL)>RP-HPLC (EB-II4; 0.12 mg/mL). The sequential identification of the peptide was done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TOF-MS) of the potent fractions obtained from RP-HPLC (EB-II4). The presence of hydrophobic amino acids (Val and Pro) in the peptide sequences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of EBH. The sequences GAHTGPRKPFKPR, GMPGFDVR and ADASVLPK were identified as antioxidant peptides. In conclusion, the antioxidative potential from poultry skin specifically from elastin is evident and can be explored to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health and pharmaceutical purposes.

품종별 귀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Oat Cultivars)

  • 함현미;우관식;이병원;박지영;심은영;김병주;이춘우;김시주;김욱한;이준수;이유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60-166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개발된 귀리 품종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항산화 성분과 활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성분으로는 총 폴리페놀과 vitamin E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ABTS) 및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라디칼 제거능, 환원력, 금속이온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83.41~130.59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쌀귀리 품종의 총 폴리페놀 함량이 겉귀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vitamin E 함량은 0.54~1.90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중모 2005 품종을 제외한 모든 품종의 귀리에서 ${\alpha}$-tocotrienol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TS 라디칼 제거능, DPPH 라디칼 제거능 및 환원력은 대양 품종이 각각 116.14 mg TEAC/100 g, 38.58 mg TEAC/100 g 및 $A_{700}=0.92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성분과 활성 사이의 상관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라디칼 제거능(0.847, P<0.01), DPPH 라디칼 제거능(0.887, P<0.01) 및 환원력(0.653, P<0.01) 사이에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어 귀리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기여하는 성분은 폴리페놀성 화합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귀리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국내 개발 귀리 품종의 이용 증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한다.

쇠비름 물,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and ethanol extracts from Portulaca oleracea L.)

  • 김동규;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8-10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쇠비름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기능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탐색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을 이용한 총 항산화 효능 평가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고, ABTS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의 농도에서만 쇠비름 물 추출물의 활성이 더 높았다. 한편, 세포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쇠비름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해 대식세포에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4,000{\mu}g/mL$의 이하 농도까지는 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1.0{\mu}g/mL$ LPS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세포에 대해 쇠비름 물 추출물에 비해 에탄올 추출물이 더 효과적으로 농도의존적인 NO와 ROS 생성 억제 효과가 있었다. 추가적으로 세포의 항염증 효능의 지표 단백질로 알려진 TNF-${\alpha}$, IL-$1{\beta}$, IL-6의 발현을 확인하였을 때 LPS 단독 처리군 대비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에서 3가지 단백질 모두의 발현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쇠비름 에탄올 추출물은 물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추후 쇠비름의 유효성분 추출을 통한 항염증 물질의 연구와 염증 억제 성분의 분리 및 그 작용기전 연구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최일숙;문용선;곽은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301-307
    • /
    • 2012
  • 오디의 건강기능성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여 이용성을 증가하기 위해 '대성뽕', '수원뽕', '청일뽕'의 오디 3종과 함께 블루베리, 딸기를 시료로 사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시료 과실의 60% 에탄올 추출물의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함량 및 trans-resveratrol 함량은 '대성뽕'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원뽕'이 높았으며, 총 anthocyanin 함량은 '대성뽕' 다음으로 블루베리가 높았다. 공시된 과실 추출물의 DPPH 및 ABTS free radical 소거능, FRAP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총 anthocyanin 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성 성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내산 '대성뽕' 품종 오디는 국제적 건강기능성 과실인 블루베리보다도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아 이의 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여 오디 소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재배종 및 야생 산딸기의 기능성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 (Contents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ultivated and Wild Raspberries)

  • 이헌호;문용선;윤해근;박필재;곽은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115-122
    • /
    • 2014
  • 유용성분 함량이 많고 생리기능성이 우수한 산딸기 품종의 육성을 위해 국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7종의 산딸기와 야생에서 자생하는 2종의 산딸기를 복분자 연구소에서 재배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과실의 품질특성, 유용성분의 함량,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충남 아산의 야생 산딸기가 크기는 작았지만 당도는 16.20%로 시료 산딸기 중 가장 높고 산도는 가장 낮았다. 경북 울릉도의 야생 산딸기는 작은 크기에 당도 및 산도가 매우 낮아 과실로서의 이용가치는 매우 낮았으나, 총 페놀성 화합물과 ellagic acid 함량은 각각 182.97, $55.25mg{\cdot}100g^{-1}FW$로 시료 중 가장 높았다. 경남 김해에서 재배되는 산딸기 중 '왕딸'은 크기가 크고 당도는 12.80%로 다소 낮은 반면, 품종이 불명확한 다른 산딸기는 야생 산딸기 정도로 크기는 작지만 당도는 14.4%로 '왕딸' 보다 높았다. 김해 지역에서 재배되는 '왕딸'과 품종이 불명확한 산딸기의 총 페놀성 화합물(159.62, $165.94mg{\cdot}100g^{-1}FW$) 및 ellagic acid(45.7, $52.1mg{\cdot}100g^{-1}FW$) 함량은 울릉도 야생 산딸기보다 낮았으나, 총 플라보노이드 화합물(14.28, $14.90mg{\cdot}100g^{-1}FW$)과 총 안토시아닌(28.69, $30.48mg{\cdot}100g^{-1}FW$) 함량은 이보다 높았다. 경북 울릉도 야생 산딸기, 김해 지역의 '왕딸' 및 품종이 불명확한 산딸기는 FRAP법에 의한 항산화능과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도 다른 품종의 산딸기보다 현저하게 높아 육종 소재 및 기능성 성분 소재로서의 이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제주산 블루베리와 상동열매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증식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roximate compositions,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between blueberry and Sageretia thea (Osbeck) M.C.Johnst fruit produced in Jeju Island)

  • 고경아;고소예;류지연;김소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61-17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의 형태 및 풍미와 유사한 상동열매의 일반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열량, 조단백, 조회분,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상동열매가 블루베리에 비해 더 높았으며 수분은 블루베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동열매의 주요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maltose로 나타난 반면, 블루베리에서는 maltose가 검출되지 않았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를 각각 80% 메탄올로 추출한 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층으로 용매 분획하여 이들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상동열매 메탄올 추출물이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보다 폴리페놀 함량과 안토시아닌 함량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아울러 DPPH, alkyl,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또한 더 우수하였다. 용매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효능을 비교했을 때,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모두 폴리페놀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DPPH와 alkyl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우수했으며,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은 부탄올 분획물의 ABTS radical 소거 활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상동열매 부탄올 분획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블루베리 부탄올 분획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상동열매와 블루베리 메탄올 추출물은 피부세포에서의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냈으며, 블루베리와 비교하여 상동열매에서 그 효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헥산 분획물과 클로로포름 분획물이 위암(AGS)와 유방암(MDA-MB-231)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로 상동열매와 블루베리의 일반성분,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상동열매가 블루베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블루베리보다 우수하거나 그에 필적한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나타내고 있어,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 소재 로서의 활용가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