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희망정도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Lim, Kyoung-Min;Park, Jung-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9
    • /
    • pp.195-205
    • /
    • 2018
  •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For this investig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2 to August 15, 2017. The collection was made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f nursing students in their 1st or 2nd year at one of eight colleges or universitie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U Metropolitan City and G City. Participants were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it. Of all the questionnaire sheets collected after the survey, those filled in by 205 participant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here, with those by others excluded because they were considered to have been inappropriately filled 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Nursing students surveyed in the stud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with respect to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depending on grade, health stat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desired career, academic achievement and family life level. Moreover, nursing students who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ore interactions with their professors were likely to adjust better to university life.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rs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had the biggest effect on their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Taken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nursing students in their 1st or 2nd year of school should continue to be provided with curricular or extracurricular programs designed to improve their major satisfaction and that they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with or counseling from their advisors or other nursing professors from the onset of university life.

A Study on User's Perception Survey for the Validity of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ies: Focused on Sasanggu in Busan (공공도서관 건립의 타당성을 위한 이용자 인식조사 연구 - 부산시 사상구를 중심으로 -)

  • Kang, Eun 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2
    • /
    • pp.79-104
    • /
    • 2020
  • This is a study to establish the feasibility in terms of the use of the J library, which will be built in Jurye-dong, Sasang-gu, Busan. Accordingly, this study conducted a community analysis and user survey to confirm the necessity of building a library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services that the library should provide in the future. To this end, a community analysis was conducted primarily on Sasang-gu, such as population distribution status, cultural institution status, and Sasang-gu vision. Afterwards, visitors to Sasang Library, Small Library, and Community Center were surveyed on the status of use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and the awareness of J Library to be built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necessity and intention to use J Library were found to be high, and the expectation for prompt provision of sufficient printed materials such as books and magazines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desired space, the demand for 'open space' and 'small meeting space(family room)' was high, In the case of specialized services, there was a high demand for humanities, arts & music, movies, etc., but it was shown that they showed a general interest in various fields.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원주지역 중학생의 패스트푸드 섭취정도에 따른 패스트푸드 이용태도 및 식습관 비교)

  • Kim, Bok-Ran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1 no.4
    • /
    • pp.19-3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st food consumption, awareness of fast food and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according to their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fast foods : frequent users($\geq$ 1 times/week, 29.5%) users(2~3 times/month, 50.7%), non-users($\leq$ 1 time/month, 19.8%). As for the purpose of eating fast food, many ate fast food between meals. The most favorite fast food was chicken regardless of intake frequency, followed by pizza, hamburger, the reason being that it tasted good. Regarding if there was any room for improvement,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asked for inexpensive price, irrespective of fast food intake frequency. Compared to users, non-users intake more diverse foods, vegetables, dairy products, fruits, protein foods and seaweed. Users or frequent users of fast food more felt drowsy, cold in the hand and foot, rough skin symptoms than non-users. In conclusion, frequent consumption of fast foods can lead unbalanced diet intak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who consumed fast foods frequently showed undesirable food habits in their daily meal.

  • PDF

Consumer 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Foods in Korea;2000-2001 (유전자재조합식품의 인지도 및 수용도에 대한 연차별 비교)

  • 김명희;김재욱;채경연;박세원;김연순;경규항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17 no.3
    • /
    • pp.157-165
    • /
    • 2002
  • A two-year survey of consumers'awareness and perception of genetically-modified (GM) foods was conducted during May through September of 2000 and 2001 with a random sample of Korean consumers. More than 68% of the respondents were exposed to some information related to GM foods. The greatest benefit of the development of GM foods was thought to be the remedy for the food shortage in the future. More than 90% of Korean consumers wanted GM foods to be labeled. About 18% of the respondents would buy GM foods voluntarily, whereas over 49% would not until they found out more. Only 40% of Korean consumers were found to realize that food items originated ken plants contain genes. Mor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would not buy herbicide-tolerant GM soybean but buy vitamin-enriched GM soybean. It seemed to be that many Korean consumers do not make decisions of acceptance or rejection of GM foods not on the basis of biotechnology but on the basis of the word(5) used to describe the products, such as herbicide and vitamin. Only 4% of Korean consumers responded that GM foods were the greatest safety-threatening factor of Korean foods.

A Study on the Effect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novation on Companies' Decision on Employment: Focused on Course-base Qualification (국가기술자격제도의 혁신이 기업의 고용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과정평가형 자격을 중심으로)

  • Jang, Seok-Keun;Bong, Kang Ho;Park, Jaem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278-286
    • /
    • 2018
  • The existing test-based qualification system does not sufficiently reflect the demand for skills in industries and there exist concerns regarding its efficacy. In response, an innovativ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which uses a course-based qualification system, has been introduced to supplement the test-type qualification syst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on companies' decisions concerning employment by analyzing survey data from companies that employed persons who obtained course-based qualifications. Analysis results found the degree of company demand for skills had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employment decisions. Especially, it was highly likely for those companies that experienced loss due to the lack of technology in the past to decide continued employment and expansion of employ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ystem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technological skills of each industry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 Estate Holdings and Firm's Value : Comparisons between KOSPI and KOSDAQ Companies (부동산보유비중의 기업가치 관련성 : 코스피기업과 코스닥기업의 비교)

  • Lee, Chan-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1
    • /
    • pp.353-36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Corporate Real Estate Ratio affects Firm's Value for KOSPI Companies and KOSDAQ Companies. The period of analysis is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2007-2008),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2009-2011), and the perio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FRS (2012-2016). The samples of 2761 KOSPI Companies years and 3719 KOSDAQ Companies years a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r Corporate Real Estate Ratio is, the more negative Firm's Value is. In the comparison of markets, both KOSPI Companies and KOSDAQ Companies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Although KOSDAQ Companies had a greater negative effect on the Firm's Value than KOSPI Companies right after the Financial Crisis, KOSPI Companies have had a greater negative influence on the Firm's Value than KOSDAQ Companies since the introduction of IFRS. Therefore, each corporation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dentifying the appropriate amount of their Corporate Real Estate Ratio and should continue to analyze and make decisions on the most efficient use of real estate which is owned by each company. This study shows speciality in dividing into three period, such as the period of the Financial Crisis,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perio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IFRS and comparing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 KOSPI Companies and KOSDAQ Companies for the each period. I hope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mpany's real estate polic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Geological Heritage and the Necessity for its Education (예비 교사들의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

  • Kim, Tae Hyeong;Kong, Dal-Yong;Lim, Jong-Deo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7 no.2
    • /
    • pp.32-4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aise a cognition and necessity of effective geoheritage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We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f 190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 Chung-buk province, 2013. The survey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did not recognize and explain geoheritatges well due to lack of education even though they have heard about 'geoheritages' through broadcast media. Although most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trained for geoheritage courses, some of them were educated from thei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However, even the trained pre-service teachers have insufficient cognition for geoheritages, either. Some of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significance of geoheritages and responded to a necessity of geoheritage education.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education for geoheritages is not included in present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um, even though education of geoheritages by teachers at school would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Furthermore,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tha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raise much curiosity and provide effective learning for geoheritage education even though negative views are present such that students may have to spend considerable time for geoheritage education. Finally, the pre-service teachers expect to experience with field activities for geoheritage education as a present curriculum, and responded that they would prefer video aids for education provided from professional geoheritage organization.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we provide strategy for introducing to Pre-service teachers about value and preciousness of geoheritage.

The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East Coast Poong-O-Je Festival (동해안풍어제의 원형미학적 연구)

  • Sim, Sang-Gyo
    • (The) Research of the performance art and culture
    • /
    • no.41
    • /
    • pp.321-352
    • /
    • 2020
  • Donghaean Byeolsingut itself reflects the ideals and dreams of seaside life. Imagination and interest in water are fully reflected in Donghaean Byeolsingut as a living in a seaside town. For the beach people, water is the foundation of life and the object of fear. It is the water of life and the water of death. It projects the whole process of life into the imagination created by the world encompassed by the sea. The beach's imagination is an existential insight into the whole process of life and a reflection of existential agony. At Poongeoje, the villagers hope for a specific blessing from God. People are free only when God's retribution comes down. The villagers feel free because of the virtue of the shaman's blessing. Individual trauma is experienced to a certain extent by gaining mental freedom.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 of aesthetic pleasure experienced by creating an art work by itself and the nature of aesthetic pleasure experienced through Pungeoje and Byeolsingut are not different. The prototype of Poongeoje is a free spirit, and a religious aesthetic to strengthen the free spirit is the core of the aesthetic.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and Posttraumatic growth among North Korean refugees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외상 경험 이후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

  • Kim, Hyun-Kyoung;Jeon, Woo-Taek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0 no.2
    • /
    • pp.363-39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rrelation and predictors of posttraumatic growth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in 7year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105 North Korean refugees in 7 years with questions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 social variables, psychological trauma in North Korea and stress experience in South Korea. The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was analysed. Result indicated that hope for future, perceived satisfaction, and acculturative stress had influence on the total quality of life in the South. And total quality of life affected PTG, especially emotion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during the early 3years living in the South affected PTG.. Additionally not only emotional but also soci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also affected PTG with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South in 7 years. Finally, social and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s for North Krean refugees was discussed.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