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휴양객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5초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연계를 위한 이용객의 선택속성 인식 연구 (A Study on Users' Recognition of Selection Attributes for Connection between Recreational Forest and Rural Tourism Village)

  • 이용학;조영은;강은지;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6-28
    • /
    • 2016
  •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로 이용객의 이용행태를 파악하여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당위성을 확인하고 여가목적지 선택을 위한 물리적 선택소성, 프로그램 선택속성, 서비스 선택속성의 인식차이와 중요도-만족도분석(IPA 분석)을 통해 연계방안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휴양림은 가족단위의 이용객이 휴식 및 정서함양을 위해 방문하고 단순 산림공익적 기능을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경험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체험마을은 가족, 친구 및 동료, 단체 및 동호회 등이 연중 다양한 프로그램을 경험하고 지역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방문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다변화한 국민의 여가수요 충족을 위한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단순 휴식이 주 방문목적이었던 자연휴양림 이용객에게 체험마을과 연계 시 긍정적인 방문의향이 나타났으며 체험프로그램 참여, 자녀교육, 안전한 숙박시설 확보 등 다양한 이용이 예측되었다. 즉, 자연휴양림과 체험마을의 연계는 실질적 수요와 이용객의 수준 높은 산림휴양활동을 야기하는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경우 모든 선택속성에 대하여 중요도보다 사후 만족도가 낮았으므로 전반적인 개선 필요했다. 특히, 프로그램의 다양성, 유익성, 홍보, 지역성(테마성)의 개선과 숙박 및 편의시설의 공급, 예약시스템 및 지역특산물 구입 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 운영관리인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했다. 반면, 체험마을의 프로그램 선택속성의 만족도는 높았으므로 체험마을 프로그램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활성화를 위한 주요 연계대상임을 알았다. 넷째, IPA 분석에서 이용객의 높은 기대와 만족을 주는 숙박 및 편의시설과 인근 관광지와의 적절한 연계는 유지해야 할 속성이었고 소득창출이 주요 목적인 체험마을의 목적을 달성하고 방문객의 예약시스템 및 특산품 판매기회 만족 증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됐다. 이 외에 자연휴양림 이용요금 체계의 유지, 체험마을 프로그램의 다양성 및 지역성의 유지가 이용객의 여가목적지 선택유도를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고찰되었다.

경북 동해안지역 전천후 해양리조트단지 조성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Ocean Resort Complex in all Seasons at the East Coast of GyeongBuk Province)

  • 이중우;이명권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205-209
    • /
    • 2009
  • 최근 국민소득 규모의 증가, 주 5일제 근무제의 확대에 따른 해외여행기획의 확대, 해외여행비용 부담 감소 및 항공노선 증대 등으로 해외여행은 지속적으로 두 자리 수의 증가 추세인 반면, 물가상승으로 가격경쟁력 상실, 국제적 수준의 관광인프라 부족 및 차별화된 관광매력이 미흡함에 따라 방한 외래객은 낮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다. 경상북도의 동해안 지역은 동해를 연접하여 광역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풍부한 해양자원 및 자연자원, 문화자원 등 다양한 관광자원이 동질적 특성으로 분포해 있어 자원간, 지역간 연계개발을 통해 관광산업의 집적 및 시너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이다. 동해안 지역의 국제적 성장 가능성과 지역의 자원 개발 잠재력을 토대로 지역간 연계를 강화하는 광역관광권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전천후 해양관광휴양단지를 추진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 및 국가균형발전 실현, 나아가 동북아 시대의 환동해권 중심지로의 도약에 기여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해양공간개발 및 활용 선진국의 전천후 해양공간활용실태를 조사 분석하고 해당지자체와 어울리는 해양종합리조트단지의 조성으로 관광휴양단지의 신공간개념을 제시코자 하였다.

  • PDF

관광호텔의 화재손해 위험관리방안 - 화재발생현황과 대형화재사례 분석 중심 (A study on Fire Case and Countermeasure of Tourist Hotel)

  • 한석만;손정현;김종원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62-375
    • /
    • 2012
  • 관광호텔은 숙박과 음식점, 운동, 휴양 등의 부대시설을 함께 갖춘 불특정 이용객과 투숙객 이 많은 복합시설로서 화재발생에 따른 인명피해와 재산손실에 매우 취약한 위험이 상존하는 시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광호텔의 화재발생 현황에 대한 2001년부터 2010년까지 10 년간의 화재통계분석과 대형 호텔화재사례 15건을 분석하였다. 화재발생 장소는 호텔 객실 (33.2%)과 음식점 주방(11.8%)가 주요 발생장소이며 주요 화재원인인 전기화재(40.8%), 담배화재(14.5%), 용접 등 화기작업(9.2%)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화재사례연구에서는 방화구획설치 및 관리 불량, 가연내장재 사용 등이 연구기간 동안 반복적으로 모든 사례에서 나타나서 주요 화재위험으로 분석되었다. 관광호텔은 이러한 화재위험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방화위험관리의 개발과 현장 운영이 필요하다. 예방점검, 사용자 교육 및 훈련, 투숙객의 화재예방안내 등의 적극적 예방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화재의 연소확대를 차단하기 위한 방화구획의 관리, 스프링클러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가 필요하며, 가연성 물질의 사용 을 자제하여야 하고, 투숙객 피난 안전에 대한 신속한 조치, 비상절차 등과 관련된 비상대응규정의 운용이 매우 중요하다.

국립공원(國立公園) 생태계(生態界) 보호(保護) 장기전략(長期戰略)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 - 설악산(雪嶽山) 국립공원(國立公園)에 대한 방문객(訪問客) 인식(認識) 조사(調査) - (A Basic Study for the Long Term Strategy for Protecting Ecosystems in National Parks - 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Visitors to Soraksan National Park -)

  • 윤영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3호
    • /
    • pp.299-308
    • /
    • 1999
  • 국립공원이 자연생태계 보호를 제대로 수행하려면 해당 사회의 국립공원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설악산 국립공원 방문객 인식조사는 이 질문에 답을 얻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인식유형과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통한 조사 결과, 국립공원은 감상지향형, 문화지향형, 휴양지향형, 경제지향형으로 설명되어진다. 처음 세 유형은 전통문화와 깊은 연관을 가진 인식유형이며 경제지향형은 생태계 보호에 항상 문제점으로 등장하는 유형이다. IUCN(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 요구하는 생태계 보호나 서구에서 유행하는 환경윤리는 우리 사회에 아직도 요원한 것으로 보이며, 국립공원 내 생태계 보호를 위한 장기전략 수립에는 공원관리 전반에 전통문화와의 접목이 필수적으로 보인다.

  • PDF

국내 의료관광의 정책적 과제와 제도적 개선방안 (The Political Challenge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of Medical Tourism in Korea)

  • 정순형;박종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115-118
    • /
    • 2015
  • 최근 평균수명이 증가와 더불어 삶의 질이 중요시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하는 인류의 염원은 보건의료라는 보편적 가치에 동반 상승할 수 있는 산업과의 결합이 의료관광이라는 새로운 관광시장을 형성하였다. 의료관광은 시장규모가 1억 달러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또한 외국인을 상대 의료관광은 체류기간이 길고 지출비용도 일반 관광객의 3배 이상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공헌을 하는 대표적인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보고 있다. 더불어 의료관광 추세가 의료서비스를 받으면서 휴양 레저 문화활동을 함께 즐기는 방향으로 발전될 것으로 예측하고 최근 단순 치료 목적이 아닌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그러나 국가 정책적 산업으로서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는 있으나 의료 기반시설이 열악하고 관련 규정 및 제도적 미비점이 지금의 의료관광 산업에 발맞추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는 주변 경쟁국에 비해 인식부족과 세계시장에 대한 마케팅 활동 부족 및 의료관광 상품의 다양성 부족 등과 함께 의료관광이 활성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제약이 되는 정책적 문제점들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에 대한 정책적 과제를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중국인을 위한 의료관광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cal Tourism System for Chinese.)

  • 김참별;주문일;김희철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07-509
    • /
    • 2017
  • 의료관광은 최첨단 의료 시설과 기술로 외국인을 유치해 단순히 시술이나 치료를 하는 것 뿐만 아니라 휴양이나 레저, 문화 활동을 관광과 연계하는 산업으로 21세기 건강 추구형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따라 블루오션으로 떠오르는 산업 분야 이다. 의료와 관광의 목적을 동시에 들고 입국하는 중국인들이 많다. 하지만, 의료관광에 대한 시스템이 제대로 지원되지 않고, 중국인을 위한 의료 보험혜택이 전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중국인들을 위해 안전한 병원과 가이드를 연결하고, 중국인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가 제공될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병원과 중국인 관광객, 중개인 간의 효과적인 연결방법에 대한 의료관광 서비스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월악산국립공원 이용자 만족요인 및 만족예측모형 분석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user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

  • 김동필;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9-143
    • /
    • 2005
  •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을 방문한 탐방객들의 탐방만족도를 통하여 만족요인과 예측모형 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만족도에서는 이용료부담감, 시설청결 및 부족, 바가지요금, 쓰레기 문제에 다소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요인으로는 '일반관리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예측모형에 있어서도 휴양활동의 안전, 주차문제, 쓰레기 문제 등이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지내 산악경관관리를 위한 조망점의 수직상향 동의 검증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of a Vertically Upward Shifting of the Landscape Control Point(LCP) for the Management of Cities Mountain Landscape)

  • 정정섭;권상준;조태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66-374
    • /
    • 2004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유인속성과 관리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분석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관광객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효율적인 강원 관광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경포대 및 낙산해수욕장, 그리고 원주시 간현국민관광지를 목적지로 선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99매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관리속성으로서 사회환경, 자원환경. 관리환경, 시설환경의 21개 속성들에 대해 방문객들이 느끼는 중요도와 현재의 질적 상태를 의미하는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전 속성에서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각 관광지별 전체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유사했으나 성취도는 경포$.$낙산 지역이 가장 낮았고 간현국민관광지의 경우는 보통 이상 수준을 보였다. 속성별로 실행격자상에 위치화한 결과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6개(자연자원의 상태. 휴식 및 숙박시설의 상태, 환경오염 정도, 관리자의 친절도, 관광지 안전문제)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되어야할 속성이 4개(위생 및 편의시설의 상태. 관광지 물가수준, 교통시설 이용 편의성), 저 우선순위가 7개(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수준 관광안내시설의 상태, 관광객의 혼잡수준, 다른 관광객들의 행위, 호객행위, 특징적인 먹거리 및 살거리), 과잉노력 지양 속성이 5개(역사문화 자원, 휴양기회 제공의 다양성, 이용규제 수준. 안내시설, 지역주민의 환대성)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측정도구. 조사지역과 조사시기의 제한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의 단위별 관리전략의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기초로 한 관광지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를 중심으로- (Destination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 Case Study in Kangwon-do Province, Korea-)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6-284
    • /
    • 2003
  • 본 연구는 관광지의 유인속성과 관리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분석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을 통해 관광객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보다 효율적인 강원 관광지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는 강원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설악산국립공원. 경포대 및 낙산해수욕장, 그리고 원주시 간현국민관광지를 목적지로 선택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입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총 399매를 유효표본으로 하였다. 관리속성으로서 사회환경, 자원환경. 관리환경, 시설환경의 21개 속성들에 대해 방문객들이 느끼는 중요도와 현재의 질적 상태를 의미하는 성취도를 측정한 결과 전 속성에서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각 관광지별 전체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유사했으나 성취도는 경포$.$낙산 지역이 가장 낮았고 간현국민관광지의 경우는 보통 이상 수준을 보였다. 속성별로 실행격자상에 위치화한 결과 지속적인 관리노력이 필요한 속성은 6개(자연자원의 상태. 휴식 및 숙박시설의 상태, 환경오염 정도, 관리자의 친절도, 관광지 안전문제)로 나타났으며 우선 시정되어야할 속성이 4개(위생 및 편의시설의 상태. 관광지 물가수준, 교통시설 이용 편의성), 저 우선순위가 7개(입장료 및 시설사용료 수준 관광안내시설의 상태, 관광객의 혼잡수준, 다른 관광객들의 행위, 호객행위, 특징적인 먹거리 및 살거리), 과잉노력 지양 속성이 5개(역사문화 자원, 휴양기회 제공의 다양성, 이용규제 수준. 안내시설, 지역주민의 환대성)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는 측정도구. 조사지역과 조사시기의 제한으로 인한 연구의 한계점에도 불구. 강원도 소재 관광지의 단위별 관리전략의 수립에 있어 유용한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공원(國立公園) 입장료(入場料) 폐지(廢止)에 따른 국립공원(國立公園) 관리정책(管理政策) 수립(樹立) 방안(方案) (Establishment of National Park Management Policy with Elimination of Entrance Fee)

  • 이주희;배민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1호
    • /
    • pp.96-10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장료 폐지가 국립공원의 탐방만족도 및 휴양자원, 공원시설, 교통, 탐방서비스, 탐방정보, 탐방분위기라는 국립공원의 관리부문에 미칠 영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국립공원 관리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6년 가을 가야산 국립공원 탐방객 336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기술적 통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72.6%가 찬성하였다. 2) 입장료가 폐지되면 자연훼손과 쓰레기 투기 등 탐방분위기가 가장 많이 나빠질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상업 숙박시설, 특산품 판매, 축제, 탐방정보 제공은 입장료 폐지 후 개선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3) 응답자들은 입장료가 폐지됨에 따라 탐방만족도가 상당히 저하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탐방만족도 저하에 가장 기여도가 큰 변수는 탐방분위기 변화수준이며, 가장 영향력이 작은 변수는 휴양자원 변화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입장료 폐지 후 국립공원 관리정책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