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활성 경로

검색결과 1,786건 처리시간 0.042초

김성수 교수의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와 그에 대한 반론 (Objections to Sungsu Kim's Defense of the Active Route Account)

  • 김세화
    • 논리연구
    • /
    • 제18권1호
    • /
    • pp.133-153
    • /
    • 2015
  • 김성수 교수는 최근 논문 "반사실적 인과론과 인과 구조식 접근법: 활성 경로 이론의 재검토"에서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를 펼친다. 활성 경로 이론은 반사실적 인과론의 핵심적 직관을 유지하면서 '실제로 벌어진 정황'에 주목함으로써 반사실적 인과론에 제기된 반례들을 극복하고자 제시되었다. 그러나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해서도 반례가 제기된 바 있다. 김성수 교수는 이 반례를 반박함으로써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변호를 펼치는데, 본 논문에서 필자는 김성수 교수의 반박이 성공하지 못했음을 밝힌다.

  • PDF

김세화 교수의 반론과 활성 경로 이론의 제한 및 확장 (The Active-Route Account Restricted and Expanded: A Reply to Seahwa Kim's Criticisms)

  • 김성수
    • 논리연구
    • /
    • 제18권2호
    • /
    • pp.265-289
    • /
    • 2015
  • 인과 관계가 결과와 원인 간의 반사실적 의존 관계로 분석될 수 있다는 직관은 설득력이 있다. 활성 경로 이론은 단순한 형태의 반사실적 인과 이론의 문제점을 피하면서도 이 직관을 유지하기 위해 제안된 이론이다. 하지만 이 이론 역시 심각한 반례에 직면한다. 김세화 교수는 최근의 논문에서 이러한 반례를 반박하고자 제시된 기존의 해결책이 갖는 문제점을 설득력 있게 비판하였다. 이 논문은 김세화 교수의 비판을 논의하고 더 나아가 활성 경로 이론에 대한 반례를 극복할 수 있는 또 다른 해결책을 논의한다. 특히 활성 경로 이론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고 이렇게 제한된 이론을 다시 확장하는 방식을 제시함으로써 활성 경로 이론을 그 반례로부터 방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스피루리나 효소가수분해물의 생리활성 탐색 (Investiga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nzymatic Hydrolysate of Spirulina)

  • 손민희;박근형;최아름;유귀재;인만진;김동호;채희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6-141
    • /
    • 2009
  • 스피루리나를 세포벽 가수분해효소와 단백질 가수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조제한 스피루리나 가수분해물(enzymatic hydrolysate of spirulina, EHS)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가수분해물의 유산균 증식효과, 항산화능, 암세포 증식저해 활성, 항혈전 활성을 분석한 결과 EHS는 유산균 증식활성과 항산화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궁경부암세포(HeLa)에 대해 1.42 mg/L의 농도에서 15% 미만의 증식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항혈전 활성을 공통 경로(common pathway),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로 구분하여 측정한 결과, 공통경로, 내인성 경로와 유사한 항혈전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통 경로를 thrombin time assay로 측정한 결과 EHS의 농도가 100 mg/L일 때 155.6초를 나타내었다. 내인성 경로는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ssay로 측정하였고, EHS의 농도가 1000 mg/L일 때 95.8초를 나타내었다. 외인성 경로를 prothrombin time assay로 측정한 결과 EHS의 농도가 1000 mg/L일 때 10.6초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스피루리나 효소가수분해물(EHS)이 항혈전경로 중 공통경로와 내인성 경로에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신규의 항혈전 기능성 원료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기대된다.

허브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 검색 (Screening of Anticoagulant Activities in Extracts from Edible Herbs)

  • 신동훈;이종임;이현순;전우진;유광원;홍범식;조홍연;양한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35-341
    • /
    • 2000
  • 허브를 비롯한 식용되는 채소류로부터 항응고 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93종을 대상으로 냉수(Fr. I), 메탄올(Fr. ll), 열수(Fr. lll)추출물을 각각 조제하였다. 내인성 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수용성 획분인 Fr. I과 Fr.lll를 대상으로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APTT)으로 검색한 결과 양파, 마늘, 정향, 쑥, 울금 등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외인성 경로와 공통경로에 작용하는 항응고 활성은 저분자임을 감안하여 Fr. I과 Fr. II를 대상으로 각각 prothrombin time(PT) 과 thrombin time(TT)으로 검색한 결과 민트, 이탈리안 시즈닝, 로즈메리, 타라곤, 울금, 백리향, 와사비는 공통경로에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였으나 외인성 경로에 단독으로 항응고 활성을 나타내는 시료는 없었다. 1, 2차 검색 결과 가장 높은 항응고 활성을 보인 정향(Eugenia caryophyllate, clove)을 대상으로 산지를 달리하여 항응고 활성을 검색한 결과 홀랜드산 정향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 PDF

한국잔디에 있어서 Amylase와 Nitrate reductase의 기관별 활성분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llocation of Amylase and Nitrate Reductase Acti ities among the organs Zoysia japonica Steud.)

  • 장남기;김형기;유준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9-55
    • /
    • 1987
  • Zoysia japonica를 부위별로 나누어서 그들간의 amylase와 nitrate reductase의 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mylase의 활성은 관부에서 8.36~9.46 unit/mg.rotein/hr.로 가장 높았고 이삭에서 2.04 unit/mg.rotein/hr.로 가장 낮았다. 포복경, 뿌리, 잎에서의 amylase의 활성을 각각 5.42~5.82, 3.76, 2.32~3.16 unit/mg.rotein/hr.나타내었다. 2. Nirate reductase의 활성은 빛을 많이 받는 잎에서 0.35~0.66 n mole/mg.rotein/hr.로 가장 높았고 관부에서 0.06~0.10 n mole/mg.rotein/hr.로 가장 낮았다. 이삭과 포복경에서는 각각 0.31,0.27~0.63 n mole/mg.rotein/hr.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저장기관인 관부나 관부 절간에서 높은 amylase의 활성을 이용하여, 양분을 이삭으로 이동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itrate reductase의 활성은 chloroplast를 갖지 않는 기관보다 광합성기관에서 더 높았다. 잔디밭에서 같이 사는 크로버와 비교해 보면 amylase의 활성이 Zoysia japonica보다 2배가량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잔디밭에서 크로버가 더 생장력이 큼을 알 수 있었다.

  • PDF

온열요법이 면역활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Heat Therapy on Changes of Immune Activities in Human Body)

  • 이상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85-292
    • /
    • 2009
  • 본 연구는 온열요법, 그 중 습열(moist heat)과 건열(dry heat)의 적용이 면역 활성의 변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건강에 이상이 없는 연령 23${\sim}$32세, 신장 171.0${\pm}$1.2cm, 체중 68.0${\pm}$2.2kg의 남성 15명과 연령 22${\sim}$24세, 신장 159.5${\pm}$1.2cm, 체중 54.6${\pm}$2.4kg의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인체에 온열침수 (핫팩(KRS 12P, Karis Co., Korea))와 적외선 (발광 적외선등(Infrared, Ilshin Co., Korea))을 적용하여 보체와 같은 면역-활성 물질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로써, 온열침수와 적외선을 적용한 결과 온열침수와 적외선 적용으로 보체 성분의 변동은 온열침수 적용으로 C1q의 유의한 감소와 C3(여성의 경우) 및 C4의 감소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외선의 경우 C1q와 C3 및 C4의 증감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온열침수의 적용으로 보체계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면역-활성의 증가는 선택적 경로(alternative pathway)가 아닌 고전적 경로(classical pathway)를 통해 이루어짐을 추정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극히 부분적 결과를 나타내지만, 온열침수와 적외선 적용으로 면역-증강효과가 다소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사독(蛇毒)이 세포자멸사와 관계있는 Death Receptor를 통한 인간 대장암 세포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Snake Venom on Colon Cancer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Death Receptor Dependent Apoptosis)

  • 오명진;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1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蛇毒)이 인간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 세포에서 세포주기진행, death receptor 의존적 세포자멸사 경로 관련단백질 발현 및 NK-${\kappa}B$와 STAT3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장암 세포 성장에 대한 억제와 그 기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사독을 처리한 후 HCT116의 세포주기를 분석하기 위해서 FACS analysis를 시행하였고, apoptosis 평가에는 TUNEL assay를 시행하였으며 death receptor 의존적 세포자멸사 경로 관련단백질 및 NF-${\kappa}B$와 STAT3 활성 변동 관찰에는 RT-PCR 및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0.1, 0.5 및 $1{\mu}g/m{\ell}$ 등의 사독을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HCT116 대장암 세포활성의 억제가 나타났다. 2. 0.1, 0.5 및 $1{\mu}g/m{\ell}$ 등의 사독을 처리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자멸사 활성세포의 증가가 나타났고, SVT $1{\mu}g/m{\ell}$에서는 60-70%의 대장암세포 억제 효과가 나타났다. 3. 0.1, 0.5 및 $1{\mu}g/m{\ell}$ 등의 사독을 처리한 결과 약한 G1 arrest와 강한 G2/M arrest가 나타났고, G0/G1 또는 G2/M 관련 cyclin D, E 및 B1의 증가가 나타났다. 4. 0.1, 0.5 및 $1{\mu}g/m{\ell}$ 등의 사독을 처리한 결과 death receptor4, 5의 발현증가와 그에 따른 세포자멸사 촉진 Bax, PARP, caspase-3, -8, -9 발현 증가 및 세포자멸사 억제의 Bcl-2의 발현 감소 등이 나타났다. 6. 0.1, 0.5 및 $1{\mu}g/m{\ell}$ 등의 사독을 처리한 결과 NF-${\kappa}B$와 STAT3의 활성변동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연구에서 사독은 death receptor 의존적인 세포자멸사를 촉진하여 대장암의 화학치료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생각되지만 보다 심화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로슬래그 기반 알카리 활성 결합재의 콘크리트 2차 제품 적용성 평가 (Practical Application of GGBS-Based Alkali-Activated Binder to Secondary Products of Concrete)

  • 심재일;양근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4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로슬래그에 기반한 알카리활성 결합재를 이용한 벽돌, 호안용 블록 및 인터록킹 블록을 실험하여 친환경 무시멘트 콘크리트 2차 제품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알카리활성화제의 종류와 양은 한국산업규격와 시방서의 콘크리트 2차 제품에 대한 요구성능에 따라 결정되었다. 실험결과 고로슬래그에 기반한 알카리활성 콘크리트 2차 제품은 한국산업규격과 시방서의 요구성능을 만족하였다. 특히, 고로슬래그에 기반한 알카리활성 결합재를 사용한 호안용 블록의 pH는 중성에 가까운 수준으로 어류의 식생에도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고로슬래그 기반 알카리활성 결합재는 $CO_2$를 감소하는 친환경 콘크리트 2차 제품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제2감수분열 중기에서 발달정지된 돼지 난자의 인위적 난활성 (Artificial Activation of Pig Oocytes Arrested at meiotic Metaphase II)

  • ;김재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5-412
    • /
    • 1997
  • 포유동물의 난자는 제 2 감수분열 중기에서 배란되어 수정된다. 일반적으로 포유동물에서의 수정은 inositol triphosphate (IP3) 또는 cyclic adenosine diphosphoribose (cADPr)에 의해 조절되어지는 세포질내 칼슘변화에 의해 일어난다. 난활성이 일어나면 세포질내 고농도의 MPF (maturation promotion factor)는 감소하고, 전핵이 형성되고, cytoskeleton이 재구성되고, 단백질합성이 조절되어진다. 이러한 모든 과정이 정상적으로 일어난 후 수정란은 종특이한 발달경로로 배발달을 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돼지난자의 인위적인 난활성 유도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신호전달(signal transduction) 경로에 의한 하나의 기전이 돼지난자에서 확인되었는데, 이 경로의 자극은 난활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기자극에 의한 난활성방법에 의해 12일까지 정상배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정자가 어떠한 기전에 의해서 배발달을 시작하게 하는지를 밝혀내야 한다고 본다.

  • PDF

에탄올 농도별 당유자 잎의 최적추출조건 및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for Dangyuja (Citrus grandis) leaves and investigation of optimal concentrations extracted by alternative ethanol concentrations)

  • 나카무라 마사야;라종환;김주성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45-55
    • /
    • 2019
  • 제주도 특산물로 알려진 당유자의 잎을 이용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용매 농도별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측정한 연구는 지금까지 보고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된 당유자 잎에 대한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수율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 에탄올, 물 추출물이 가장높은 함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수율을 보인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페놀 함량이 나타나 수율에 비하여 많은 페놀 함량이 확인되었다. 환원력과 ABTS radical 소거능 실험 결과 물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 ${\alpha}$-glucosidase, ${\text\tiny{L}}$-tyrosine을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에서 가장 우수한 활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ext\tiny{L}}$-dopa를 기질로 한 tyrosinase 저해 활성과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뛰어난 활성을 촉진시켰고 미생물 생육을 억제하는 능력이 60%, 80% 에탄올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에서 항산화 효과를 얻고자 할때는 물이나 80% 에탄올로, 그 외 생리활성(${\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항미생물 활성, ADH 및 ALDH 활성)에서는 60~8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당유자 잎을 신소재 개발 원료로서 사용하는데 하나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