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복수업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 분석: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중심으로 (Analysis on the Hanbok Image, Perception and Preference Type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Participation in Hanbok Classes and Gender)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한복 이미지, 한복 선호 유형, 전통한복 인식을 알아보고 성별 및 한복수업 참여 여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고등학생 438명의 자료를 수집한 후 SPSS를 사용하여 빈도 분석, 교차 분석, t-검정, F-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고등학생은 한복을 우아한 이미지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대중매체 및 온라인상에서 화려한 한복 디자인에 노출되어 한복에 대한 화려한 이미지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복 이미지는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확인되었다. 촌스러운 이미지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높은 비율을 보였고, 한복수업 미참여 남학생 집단이 수업 참여 남학생 집단에 비해 3배 이상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이 선호하고 있는 한복 유형은 전통한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퓨전한복, 생활한복, 패션한복 순으로 나타났다. 한복 선호 유형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패션한복에 대한 선호는 한복수업참여 집단이 미참여 집단에 비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전통한복에 대한 인식도는 보통 이상이었고 하위요소별로 살펴보면 심미성, 지속가능성, 실용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한복 인식은 한복수업 참여 여부, 성별, 한복수업 참여 여부 및 성별을 고려한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그리고 한복수업 참여 학생이 미참여 학생에 비해 전통한복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기술·가정과 한복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for Hanbok Education in High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 김상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7
    • /
    • 2020
  • 이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복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주제는 이해하기, 탐색하기, 실천하기 관련 내용으로 선정하였고 점진적 변화를 도모하여 학습목표가 달성되도록 하였다. 이론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의 탐구활동 및 사고과정에 중점을 두었고, 만들기 실습을 위한 교수-학습 활동은 학생들이 한복의 특징과 이미지를 활용하여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협업하면서 모둠작품을 제작하도록 하였다. 둘째, 수업의 효과는 학생들의 한복에 대한 지식, 인식, 태도 면에서의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비교한 값과 학생들이 작성한 수업소감문 및 수업자의 관찰일지에 대한 내용분석으로 확인되었다. 수업소감문 및 관찰일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수업을 통해 한복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습득하여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및 협업을 통한 만들기 활동은 자기주도적이고 책임감 있는 학습자, 창의적으로 행동하는 학습자로 변화·성장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 인식 고취를 위한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고등학교 1학년 '가정생활 문화의 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 to Raise youth's awareness of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 반윤자;김남은;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전통 의생활 문화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의생활 단원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 12종과 7차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정생활문화 변화'단원을 중심으로 '전통문화', '한복의 변천사', '한복의 색채', '한복의 문양과 소재', '한복의 세계화' 5개의 학습 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주제에 대해, 5차시의 교수 학습 과정안 및 48종의 수업자료(학생자료 22개, 수업자료 22개, 교사 자료 4개)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였다. 청소년들의 전통의생활 문화에 대한 인식도는 사전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의 교수 학습 과정안이 전통 의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외래문화에 대한 수용, 전통 문화에 대한 긍정적 자세 등 전통 문화 인식 고취에 효과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전통의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 또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전통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의생활 문화 교육과 관련하여 더 다양한 전통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뿐 아니라 식생활, 주생활 분야에도 전통문화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고 적용되는 등 다양한 전통문화 계승 교육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PDF

The study of hanbok course in Chinese university

  • Cui, Yu Hua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62
    • /
    • 2020
  •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interest develops across a set of tasks within a course defined by a specific knowledge domain.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elf-concept, self-efficacy, Korea-related factors, and evaluation, in the context of learning about the Hanbok costume at Chinese universities. A survey (n=300)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urvey website (www.sojump.com) from the 1st to the 25th of Jun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including total and specific forms of self-evaluation with Hanbok courses, showed that self-concep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fficacy. Conversely, K-culture interest and K-country imag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elf-efficacy in clothing, but positively affected Hanbok's self-efficacy. Meanwhile, the more self-efficacy perceived, the higher the level of evaluation. Overall, our findings imply that supporting the students' Korean culture interest, country image perception, and self-concept for regulation can enhance self-evaluation and self-realization succ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Hanbok courses are discussed.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한복과 창의적인 의생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Maker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Contents of 'Hanbok and Creative Clothing')

  • 김샛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 현장 실정에 맞춘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연구자가 구축한 의생활 메이커스페이스에서 실행해 가정과 메이커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과 메이커 교육 모형을 설계하고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메이커 교육 모형인 TMSI 모형과 Laster(1982, 2008)의 실천적 행동 수업 모형을 통합·수정하여 개발한 TPMS모형{팅커링(T: 4차시), 실천적 추론하기(P: 3차시), 함께 만들기(M: 4차시), 공유·확산하기(S: 1차시)}으로 총 12차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가정과 메이커 프로그램의 주제는 '창의적인 전통 의생활 문화(한복)의 실천과 확산'이다. 둘째, 가정과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가정과 메이커 수업이 5점 만점에서 체험적(4.26), 인지적(4.22), 감성적(4.18), 사회적(4.18), 실천적(4.10) 순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본 연구가 1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만들기 활동을 통해 다양한 교육적 목적을 꾀해온 가정 교과의 실습 교육에 기여가 되기를 기대한다.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기술.가정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lm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tyle to raise awareness of Han Style(Korean Culture))

  • 김남은;이현정;한주;김순주;민은혜;최미선;곽선정;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6
    • /
    • 2011
  •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 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 PDF

수업용 CD-ROM 제작 및 이를 적용시킨 효과적인 학습지도안 개발 -중학교 1학년 가정 한복 입기를 중심으로- (The Production of CD-ROM for the Class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Master Plan Applied by It -In the Point of Wearing Korean Traditioinal Costume for First Grade of Junior Middle School Students in Home Economics Teaching-)

  • 이은선;김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6
    • /
    • 1999
  • The goals of this research are for producing and optimizing the CD-ROM, effective and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 It consists of Wear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Home Economics Teaching. This research’s summarization is following. First, the multi-media material. CD-ROM making use of Powerpoint. Wear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 is produced to help the students learn the difficult contents in terms of video and audio. Second, it is introduced the model of Open Educatio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lass. Third, it is developed to proceed the class with the CD-ROM and small group study of place activity. Fourth, it helps students concentrate on the class with proper sound effect whenever the slide films are changed. And it helps to link the web sit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ostume. Finally, another kinds of suggestions are following. The effective verification of this software that is tested and applied at the field for a given period will be necessary. And, it is necessary to upgrade for the CD-ROM and the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in Korean Traditional Costum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