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lmology.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on Clothing lifestyle to raise awareness of Han Style(Korean Culture)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기술.가정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 Kim, Nam-Eun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Hyun-Jung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Han, Ju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Soon-Ju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Min, Eun-Hye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Choi, Mi-Sean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wak, Sun-Jung (The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Lee, Hye-Ja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남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이현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한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김순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민은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최미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곽선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 이혜자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1.05.03
  • Accepted : 2011.08.29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We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style(Korean cu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contents related to Han Style. We selected 5 major fields representing Han Style including Han-gul(Korean alphabet). Han-sik(Korean food).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es).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and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6 types of high school testbook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hose seven traditional clothing-lifestyle culture contents. Also we developed 14-period processes and materials(9 for teachers. 9 for students and 3 for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 Styl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pre-test. Students evaluated it positively that the classes could raise the pride on the Han-culture and provoke the interest in it through the direct experiencing activities. We suggest that the various themes on Han-style should be developed, and the theoretical classes on the identity as well as the experiencing activities on i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 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 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Keywords